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癸未字本 『四時纂要』의 書誌的 硏究

An Bibliographic Analysis on the Gyemi Metal Type Sasichanyo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8, v.49 no.2, pp.25-58
https://doi.org/10.16981/kliss.49.2.201806.25
남권희 (경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agriculutral book Gyemi Metal Type Sasichanyo which was produced in Jujaso(鑄字所), by early Joseon dynasty’s king Taejo(太宗). It is the most advanced edition of Sasichanyo(『四時纂要』) among whole east-northern Asia, which contains miscellanies about monthly agricultural plan(月令式 農家雜錄) and the themes are; agriculture, production·spin-off processing, sanitation and medicine, tool fixing and conservation, business management. This research divided all letters appeared in Gyemi metal type Sasichanyo(『四時纂要』) by three categories; small letters, smaller letters, smallest letters to define its’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and estimated the value of Sasichanyo(『四時纂要』). Also in the aspect of typeface of letters and typesettings, this study compared all editions of Sasichanyo(『四時纂要』) with Gyemi metal type Sasichanyo(『四時纂要』).

keywords
Gyemi Metal Type, Small Letters of Gyemi Metal Type, Smaller Letters of Gyemi Metal Type, Smallest Letters of Gyemi Metal Type, Sasichanyo(『四時纂要』), 계미자, 계미자소자, 계미자극소자, 계미자특소자, 사시찬요

참고문헌

1.

김성수. 2017. “계미자 번각본의 간행에 관한 분석적 연구.” 『동아시아 금속활자 인쇄문화의창안과 과학성 2』.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

藤本行夫. 2017. “일본 현존 계미자 활자 인본 십칠사찬고금통요 권11,12에 대하여.” 『동아시아 금속활자 인쇄문화의 창안과 과학성 2』.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3.

藤本行夫.2017. “일본 현존 계미자 활자 인본 찬도호주주례 권1,2에 대하여.” 『동아시아 금속활자 인쇄문화의 창안과 과학성 1』.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4.

손보기. 1970. “韓國印刷技術史.” 『韓國文化史大系 Ⅲ』 ; 科學 ‧ 技術史. 서울: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5.

옥영정. 2017. “신간유편역거삼장문선과 여말선초의 금속활자 인쇄.” 『동아시아 금속활자 인쇄문화의 창안과 과학성 1』.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6.

윤병태. 1992. “朝鮮의 活字印刷 出版文化.” 『恒心尹炳泰博士停年紀念論文集 ; 韓國書誌學論集』.

7.

이승철. 2017. “계미자 대,소자의 자형에 대한 연구.” 『동아시아 금속활자 인쇄문화의 창안과과학성 2』.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8.

조병순. 1992. “癸未字 字本에 對하여.” 『季刊書誌學報』 第7號.

9.

조병순. 1993. “癸未字 字數와 小字 起源에 대한 考察.” 『季刊書誌學報』 第11號.

10.

조병순. 1990. “癸未字本 組版術의 殘影과 印出能力 ; 계미자본 조판술의 잔영과 인출능력.”『季刊書誌學報』 第1號.

11.

조병순. 1996. “高麗書籍院 活字에 대한 硏究 ; 所謂 癸未字本 組版術을 中心으로.” 『書誌學報』第18號.

12.

天野元之助. 1995. “唐の韓鄂 『四時纂要について』.” 東洋史硏究, 第24卷 第2號.

13.

천혜봉. 1994. “癸未字本 ≪宋朝表牋總類≫ 解題.” 『奎章閣』 第16輯.

14.

천혜봉. 1974. “癸未字와 그 刊本 ; 國寶指定 및 新發見 刊本을 포함한 綜合的 考察.” 『書誌學』第6號.

15.

천혜봉. 1986. “癸未子本 <十七史纂古今通要> 解題.” 『奎章閣』 第9輯.

16.

김두종. 1974. 『韓國古印刷技術史』. 서울: 탐구당.

17.

渡部武. 1982. 『四時纂要 譯注稿 ; 中國古歲時記の硏究その二』. 東京: 安田學園.

18.

閔成基. 1988. 操船農業史硏究. 서울: 一潮閣.

19.

石聲漢 著, 渡部武 譯. 1984. 『中國農書が語る2100年 ; 中國古代農書評介』. 東京: 思索社.

20.

손보기. 1982. 『새판 한국의 고활자』. 서울: 寶晉齋.

21.

千惠鳳. 1990. 『韓國典籍印刷史』. 서울: 汎友社.

22.

韓鄂 原編, 繆啓愉 校釋. 1981. 『四時纂要校釋』. 北京: 農業出版社.

23.

韓鄂. 1961. 『(影印本) 四時纂要』. 東京: 山本書店.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