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청소년의 자율 협력적 독서실행에 따른 독서유효성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Reading Effectiveness by Collaborative Reading Practice of Teenager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8, v.49 no.2, pp.79-104
https://doi.org/10.16981/kliss.49.2.201806.79
김명희 (도서문화재단 씨앗)
조현양 (경기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청소년의 자율 협력적 독서실행 모형을 제시하고 협력적 독서방식이 청소년의 독서유효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8개 지역, 61개 중·고등학교에 68개 독서클럽을 조성하고 연구집단을 독서미흡집단, 독서양호집단, 독서혼합집단으로 구분하여 청소년의 자율 협력적 독서실행을 4개월 동안 실시하였다. 독서유효성의 설문지를 제작하여 사전과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들의 독서유효성은 긍정적으로 향상되었으며 독서미흡집단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의 독서행동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독서유효성의 변화는 독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keywords
협력적 독서, 독서효과, 청소년 독서실행, 독서클럽, 자율적 독서활동, Collaborative reading, Youth reading, Reading effectiveness, Reading club

Abstract

This study was to present a model of cooperative reading practice and verify reading effectiveness on youth. For this purpose, 68 reading clubs were established in 61 districts and 8 high schools. The research groups were classified as the poor reading group, the good reading group, and the mixed-skill reading group. The cooperative reading groups were carried out for four months.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on Reading effectiveness conducted it pre- and post–test, and analyzed the results through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We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the reading effectiveness of youth and overall—the highest effectiveness was found in the poor reading group. In addition,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the reading behavior of youth. The change of reading effectiveness was found to affect reading behavior.

keywords
협력적 독서, 독서효과, 청소년 독서실행, 독서클럽, 자율적 독서활동, Collaborative reading, Youth reading, Reading effectiveness, Reading club

참고문헌

1.

강미. 2010. 『모둠독서활동의 개념과 수업 연구에 관한 이론적 고찰』.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교육대학원.

2.

김성일. 1996. 글 이해과정에서 흥미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8(2): 273-301.

3.

류보라, 2012. 『청소년 독자의 문식성 실행과 정체성 구성 연구』.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대학원.

4.

문화체육관광부. 2015. 『국민독서 실태조사』.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5.

문화체육관광부. 2012. 『전국독서동아리실태조사』.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6.

박영민. 2007. 중학생 읽기 동기의 구성 요인.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16: 297-334.

7.

박지예. 2017. 『2016년책톡!900 독서클럽(초등) 사업평가연구보고서』. 경기도: (재)도서문화재단씨앗.

8.

백혜선. 2013. 『독서토의에서의 협력적 의미 구성 양상 연구』.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9.

안영이. 2010. 『독서동아리 활동이 중학생의 읽기 동기와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10.

이병기. 2015. 자기결정성 동기 이론에 의한 독서동기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3): 311-332.

11.

이선영. 2008. 『모둠 독서활동을 통한 독서능력 및 태도 향상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12.

이순영. 2006. 독서 동기와 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16: 359-382.

13.

정대근. 2014. 『청소년의 독서 유효성 영향 요인 연구』. 박사학위 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14.

정옥년. 2007. 독자의 정의적 영역과 독자의 발달.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17: 139-181.

15.

최인자. 2006. 청소년 문학 경험의 질적 이해를 위한 독서 맥락의 탐구-학교에서의 다양한 문식적 클럽들을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16: 163-197.

16.

하시모토 다케시. 2012. 『슬로리딩』. 서울: 조선북스.

17.

Bintz, W. P. 1993. Resistant readers in secondary education: Some insights and implications. Journal of Reading, 36: 604-615.

18.

Davila, D. & Patrick, L. 2010. Asking the Experts: What Children Have to Say about Their Reading Preferences. Language Arts, 87(3): 199-210.

19.

McKenna, M. C. Kear, D. J.& Ellsworth. R. A. 1995. Children Attitude Toward Reading:A National Survey. Reading Research Quarterly, 30(4): 934-956.

20.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e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1.

Wigfield, A. Guthrie, J. & McGough, K. 1996. Questionnaire Measure of Children’s Motivations for Reading. College Park, MD: National Reading Research Center.

22.

Wikipedia Cooperation Home page. <https://simple.wikipedia.org> [sited 2017. 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