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공공도서관 음식물 반입제한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the Food and Drink Restriction in Public Librarie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8, v.49 no.3, pp.33-53
https://doi.org/10.16981/kliss.49.3.201809.33
윤희윤 (대구대학교)

초록

많은 공공도서관은 다양한 이유를 근거로 음식물 반입을 제한(또는 금지)하고 있는데, 그것이 정당한지 아니면 부당한지를 논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대구시민 485명을 대상으로 음식물 정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사회 사조 측면에서 음식물 제한정책에 대한 전향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이용자 기본권 보장 차원에서는 이용자의 음식물 반입을 허용하는 것이 공공도서관의 존재가치와 사회적 역할을 정당화하고 생태계를 강화하는데 유리하다. 셋째, 장서 및 시설공간의 이용촉진 측면에서 음식물 허용에 따른 역기능보다 순기능을 강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자치조례나 도서관 규정에 모든 또는 대다수 음식물을 제한하는 전체주의적 사고는 지양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공도서관은 음식물 반입을 허용하되, 공간별로 섭취 가능한 종류를 규정하고 이용자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공공도서관, 공공도서관정책, 음식물 정책, 음식물 반입제한(금지), 인식조사, Public library, Public library policy, Food and drink policy, Restriction and prohibition of food and drink, Perceptions' survey

Abstract

Many public libraries have restricted or forbidden most food and drink on the basis of a number of reasons, and it is necessary to demonstrate that it is legitimate or unfair. To this purpose, the researchers surveyed 485 public library users residing in Daegu City on the perception of food and drink policy. Based on survey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ed improvement directions from various perspectives. First, public library should proactive review the restriction policy in terms of social paradigm. Second, allowing food and drink is a strategy and a right way to justify the existing value and social role of public libraries and strengthen the ecosystem in terms of guaranteeing basic rights of users. Third, it is desirable to emphasize the pure function rather than the dysfunction due to food and drink allowance in terms of facilitating the collection and space use. Fourth, the totalitarian thinking that restrict all or most food and drink in the bylaws or library regulations should be avoided. Finally, public library should allow all food and drink, but it is necessary to prescribe a kind of the food which can be consumed by space, and actively promote to the user.

keywords
공공도서관, 공공도서관정책, 음식물 정책, 음식물 반입제한(금지), 인식조사, Public library, Public library policy, Food and drink policy, Restriction and prohibition of food and drink, Perceptions' survey

참고문헌

1.

黛崇仁. 2008. 図書館内での水分の補給: 利用者のマナー. 『薬学図書館』, 53(2): 144-147.

2.

도서관연구소. 2014. 『공공도서관 표준운영규정 개발 연구: 도서관연구소 2014년도 하반기 자체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3.

相模原市. 2016. 『平成28年度 市政に関する世論調査』. <http://www.city.sagamihara.kanagawa.jp/dbps_data/_material_/_files/000/000/034/812/chosahyo.pdf> [cited 2018. 5. 20].

4.

薬学図書館編集委員会. 2008. 図書館における飲食マナー: 図書館における飲食マナーアンケート集計報告. 『薬学図書館』. 53(2): 148-165.

5.

윤희윤. 2017. 국내 공공도서관 생태계의 담론적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1(1): 5-27.

6.

河本 毬馨. 2015. 図書館内 飲食可否 関 実態調査. <http://klis.tsukuba.ac.jp/archiv “ のにする”es/2015/s1413128-20160218142434A.pdf> [cited 2018. 6. 11].

7.

Abba, Stephanie. 2016. “Snacks in the Stacks : Food and Drink in North American Libraries.” The iJournal, 2(1): 1-13.

8.

Clements, E. & Scott, P.A. 1994. “No Food, No Drink, No Noise.” College & Research Libraries News, 55(2): 81-83.

9.

Kawamoto, Marika and Tsuji, Keita. 2016. “Effects of Allowing Food and Drinks in Japanese Libraries.” 2016 5th IIAI International Congress on Advanced Applied Informatics(July 10-14, 2016 Kumamoto, Japan): 43-48.

10.

Lyons, Dianne Boulerice. 2000. “No Food, No Drink-No More? A Study of Food and Drink Policies and Practices in Public Libraries." Public Libraries, 39(6): 338-347.

11.

Soete, G.J. 1998. Managing Food and Drink in ARL Libraries: A SPEC Kit, 237. Washington, DC: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