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공공도서관 지역정보서비스의 실태와 개선방안 - 지역대표도서관의 온라인서비스를 중심으로 -

Current Status of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in Korean Public Libraries - the Case of Online Service of Regional Central Libraries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8, v.49 no.3, pp.383-406
https://doi.org/10.16981/kliss.49.3.201809.383
이은주 (동의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지역정보서비스의 용어에 대한 근본적인 접근을 통해 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돕고, 지역정보서비스의 현 실상을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서비스의 의미에 부합되게 제공되는지를 충분히 검토한 뒤, 의미에 적합한 지역정보서비스 제공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1) 지역정보서비스 관련 용어의 추이를 살펴보면서 지역정보서비스가 도서관서비스에서 가지는 의미를 분명하게 제시하고, (2) 국내 공공도서관의 지역정보서비스의 제공 실태를 조사한 뒤, (3) 지역정보서비스가 서비스 의미에 부합하게 제공되기 위해 우리 학계와 도서관계가 고민해야 할 과제와 전략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실시하였고, 사례조사는 국내 12개 지역대표도서관의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keywords
지역정보서비스, I&R서비스, 지역대표도서관 온라인서비스, 지역대표도서관, 공공도서관, 지역정보,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Information and referral services, I&R services, Regional central library, Local government representing library, Public library, Community information, Local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analyse the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in Korean public libraries. Regarding this matter, this study first extensively analysed terms related to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and clearly defined the meaning of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in the public library.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s of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In this study, literature studies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and the case to be discussed is online service of regional central libraries in Korea.

keywords
지역정보서비스, I&R서비스, 지역대표도서관 온라인서비스, 지역대표도서관, 공공도서관, 지역정보,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Information and referral services, I&R services, Regional central library, Local government representing library, Public library, Community information, Local information

참고문헌

1.

김다은, 차미경. 2016. 고령자를 위한 공공도서관 지역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2): 213-233.

2.

김보일, 김명수, 안창호. 2015. 공공도서관의 지역정보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4): 109-137.

3.

김세훈. 2004. 『지역 지식정보서비스 활성화 지원 방안』.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4.

김혜령. 2010. 『공공도서관 지역정보서비스 운용에 관한 분석 연구』.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5.

노경란. 1994. 공공도서관의 지역사회 정보봉사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25(2): 61-94.

6.

박준식. 2011. 『정보서비스론』. 개정 3판. 대구: 계명대학교출판부.

7.

박철순. 2004. 『정보·의뢰봉사(I&R)에 관한 공공도서관 사서의 인식도 조사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8.

손연옥. 1993. 도서관의 정보의뢰봉사에 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20: 187-216.

9.

조명희, 박준식. 1995. 공공도서관의 정보 및 안내봉사 도입을 위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23: 183-209.

10.

차미경. 2001. 인터넷을 활용한 공공도서관 지역정보봉사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2(1): 157-169.

11.

한국도서관협회. 2010. 『문헌정보학 용어사전』.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2.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4. 『지역 지식정보서비스 활성화 지원 방안』.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3.

Alliance of Information and Referral System Home page. <https://www.airs.org/i4a/pages/index.cfm?pageid=1> [cited 2018. 6. 30].

14.

Croneberger, Robert Jr. and Carolyn Luck. 1975. “Defining information and referral service.” Library Journal, 1: 1984-1988.

15.

Day, Rosalie. 2007. “Information connecting people with services: the information and referral role of community service organisations.” Australasian Public Libraries and Information Services, 20(3): 103-117.

16.

Durrance, Joan C. 1984.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an innovation at the beginning of its second decade.” Advances in Librarianship, 13: 99-128.

17.

Gadagin, B. R. and V. T. Kamble. 2009. “Status-Quo of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in bellary district.” SRELS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46(1): 81-85.

18.

Jaba, J and Dr. P. Panneerselvam. 2015.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A solution to Information Poverty.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80244522_Community_Information_Services_in_Public_Libraries_-A_solution_to_Information_Poverty> [cited 2018. 6. 30].

19.

Kahn, Alfred J. et al. 1966. Neighborhood information center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School of Social Work.

20.

Karkee, Prabin and Krishnapada Majumder. 2013.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through Public Libraries in the Hilly areas of Darjeeling district of west Bengal.” e-Science World, 5(3-4): 89-97.

21.

Koontz, Christie and B. Gubbin. 2010. 『IFLA 공공도서관 서비스 가이드라인』. 장혜란 역.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2.

Library Association. 1980. Community Information : What Libraries Can Do? London: The Library Association.

23.

Mukhopadhyay, P.S. 2004.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through Web and CDROM.” Proceedings of the Xxi iaslic national conference, 171-186.

24.

OCLC. 2003. The 2003 OCLC Environmental Scan: Pattern Recognition. Dublin, Ohio: OCLC

25.

Pettigrew, Karen E. and Margaret Ann Wilkinson. 1996. “Control of Community Information: An Analysis of Roles.” The Library Quarterly, 66(4): 373-407.

26.

Poe, Jodi. 2006. “Information and referral services: a brief history.” The Southeastern Librarian, 54(1): 35-41.

27.

Public Library Association. 1997. Guidelines for Establishing Community Information and Referral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Chicago: Amefican Library Association.

28.

Satpathy, S. K. 2006.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 (CIS) through public libraries: a realistic approach. <http://eprints.rclis.org/8384/1/COMMUNITY_INFORMATION_SERVICE_%28CIS%29_THROUGH_PUBLIC_LIBRARIES_A_REALISTIC_APPROACH.pdf> [cited 2018. 6. 3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