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로컬 거버넌스의 실현가능성에 대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 도서관서비스를 위한 협력을 중심으로 -

The Mediating Effects of Sense of Community on the Possibility of Local Governance - Focused on the Cooperation between Libraries and Public Administration Field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9, v.50 no.1, pp.199-224
https://doi.org/10.16981/kliss.50.1.201903.199
박성우 (광주대학교)
홍소람 (전남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거버넌스에서 도서관의 역할을 규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거버넌스는 사적 행위자가 정치행정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성립되는데, 현대 사회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주체의 협력을 중시하기 때문이다. 공동체는 공공성을 가진 사적 행위자로서 거버넌스가 직접민주주의를 실현하게 돕는다. 또한 도서관은 공동체를 육성하는 기관이기도 하고 때로는 공동체 그 자체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공동체와 거버넌스의 관계, 도서관과 공동체의 관계를 규명한다. 그리고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실증연구를 수행하여 도서관과 거버넌스의 관계를 규명한다.

keywords
로컬 거버넌스, 지역공동체, 공공도서관, 작은도서관, Local governance, Community, Public library, Small library

Abstract

The study is to establish the role of libraries in governance. Governance is valid when private actors participate in it. Because it emphasizes the cooperation with actors in diverse sectors for solving complex problems in society. Communities as private actors with publicness help governance actualize direct democracy by participating in governance. Libraries are institutes that foster communities, but in some cases libraries are communities themselves. Therefore, the study reviews literature to 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ies and govern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ibraries and communities.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views, the study conducts the survey to proves the relationship between libraries and governance.

keywords
로컬 거버넌스, 지역공동체, 공공도서관, 작은도서관, Local governance, Community, Public library, Small library

참고문헌

1.

곽현근. 2015. 주민자치 개념화를 통한 모형 설계와 제도화 방향. 한국행정학보, 49(3): 279-302.

2.

김수영, 오찬옥, 문경주, 류지선. 2014. 마을공동체 형성의 인과구조 분석.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9: 337-381.

3.

김영정. 2008. 지역거버넌스와 공동체 운동. 지역사회학, 9(2): 5-33.

4.

김의영. 2011. 굿 거버넌스 연구 분석틀: 로컬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 20(2): 209-234.

5.

김이수. 2016. 지방자치단체 주민들의 주관적 웰빙의 결정요인 연구 – 공동체 의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회보, 30(2): 157-180.

6.

박상필. 2018. 경기도사례이천시쓰레기소각장건설: NIMBY 현상의갈등해결. 수록: 박상필엮음. 2018. 로컬 거버넌스의 성공모델. 서울: 대영문화사, 35-62.

7.

박성우. 2014. 공공도서관의 사회자본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1): 197-215.

8.

곽현근. 2017. 지방자치 원리로서의 ‘주민자치’ 재해석을 통한 생활자치 개념화와 제도모형 구성. 현대사회와 행정, 27(2): 1-29.

9.

국토교통부. 2018. 도시재생뉴딜사업신청가이드라인. <http://www.city.go.kr/portal/business/newDeal/businessPlan/generalAcceptNotice/view.do> [인용 2018. 5. 2].

10.

김경준, 김성수. 1998.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23(2): 211-232.

11.

김미영. 2015. 현대사회에 존재하는 공동체의 여러 형식. 사회와이론, 27: 181-218.

12.

김병준. 2015. 지방자치론 (제2수정판). 파주: 법문사.

13.

김학린. 2017. 지역사회 조정활동 참여가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분쟁해결연구, 15(1): 107-136.

14.

박성우. 2016. 실행공동체 사례연구를 통한 공공도서관 역할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7(4): 339-358.

15.

박성우. 2018. 주민자치와의 협력을 통한 한국형 공공도서관 실행공동체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9(2): 301-326.

16.

서재호. 2013. 주민자치활동참여와공동체의식: 부산광역시4개동주민자치센터주민의인식조사를 토대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4(2): 437-459.

17.

양영균. 2012. 도시 지역공동체 형성과 작은도서관: 용인시의 사례. 정신문화연구, 35(2): 35-67.

18.

이종수. 2015. 공동체: 유토피아에서 마을만들기까지. 서울: 박영사.

19.

오수길, 이춘열. 2018. 주민자치와 로컬 거버넌스 사례 연구: 고양시 자치도시 실험을 중심으로. 국정관리연구, 13(2), 125-158.

20.

오수길. 2018. 서울시 사례: 서울시 도봉구 대전차방호시설 공간재생 사업. 수록: 박상필 엮음. 2018. 로컬 거버넌스의 성공모델. 서울: 대영문화사, 11-34.

21.

유창복. 2009. 도시속마을공동체운동의형성과전개에대한사례연구─성미산사람들의‘마을하기’. 석사학위논문, 성공회대학교 시민사회단체학과.

22.

이성신, 성희자, 이세나. 2018. 지역사회 공동체 중심으로서의 작은도서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9(1): 77-97.

23.

임유경, 김수빈, 김지현. 2017. 우리 함께 만드는 공공도서관 - 구립 구산동도서관마을. 세종: Auri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4.

전지훈, 정문기. 2017. 공동체인식과행복의영향관계분석- 충청남도마을기업구성원을대상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9(1): 137-166.

25.

최문형, 정문기. 2015. 공동체의식이주민참여에미치는영향. 한국행정학보, 49(2): 273-306.

26.

최성욱. 2011. 참여거버넌스와 공동체의 이질성. 국정관리연구, 6(2): 1-31.

27.

최재연. 김찬호. 2015. 지역 커뮤니티 거점으로서의 작은도서관의 특성과 역할. 국토계획, 50(4): 165-184.

28.

Ansell, Chris. and Gash, Alison. 2008.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ory and Practice.”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18(4): 543-571.

29.

Boyte, Harry. C. 2005. “Reframing Democracy Governance, Civic Agency, and Politics.”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5(5): 536-546.

30.

Hufty, Marc. 2011. “Governance: Exploring four approaches and their relevance to research.” In: Wiesmann, U., Hurni, H., et al. editors. Research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undations,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Bern: Geographica Bernensia: 165-183.

31.

Long, D. Adam. and Perkins, Douglas. D. 2003.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Sense of Community Index and Development of A Brief SCI.”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1(3): 279-296.

32.

McMillan, David. W. and Chavis, David. M. 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 6-23.

33.

Mulhall, Stephan. and Swift, Adam. 2002.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김해성, 조영달 공역. 서울: 한울아카데미.

34.

Stoker, Gerry. 1998. “Governance as Theory: Five Propositions.” International Social Science Journal, 50: 17-28.

35.

Thompson, Edmund. R. and Phua. Florence. T. T. 2012. “A Brief Index of Affective Job Satisfaction.” Group & Organization Management, 37(3): 275-30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