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청이 주도하는 독서진흥사업의 사례를 분석하고 향후 발전방안에 대해 고민해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울산광역시교육청에서 실시하고 있는 ‘울산학생 책읽는데이~’사업을 중심으로 조사 분석 하였다. 조사내용은 사업의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실태조사와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업의 평가 및 효과성에 대한 분석으로 이루어져있다. 문헌조사를 통해 진행한 사업의 내용분석은 사업의 도입단계부터 정착단계에 이르기까지 어떤 변화가 있어왔는지에 대해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 교사 및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 내용은 학교 현장의 사업 수행 실태, 사업에 대한 평가 및 성과, 사업에 대한 요구사항 등으로 구성하였다. 조사 결과, ‘울산학생 책읽는데이~’사업은 현장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향후, 담당 인력의 확보와 독서환경의 정비,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 마련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study aims to explore ’reading promotion projects’ led by the Korean Education Office and to ponder meaning of the projects, and then to propose the future directions for the projects. To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selected to analyze a reading promotion project called as "Ulsan Students’ Reading Day~" by Ulsan MetropolitanCity Office of Education as a case and sample for the study. The study was designed to use two research methods and phases to explore the project in detail: documentary research and survey method. First, th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the literatures and contents related to the projects but focused on examining progresses of the project such as situations from the introduction stage to the settlement stage. Second, the study conducted survey to collect data from teachers and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project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detailed contents of questionnaires contain current states of the project in each school, assessment of the project, and requirements for the project. The study found that the project resulted in positive influence to students’ reading skills and education. In spite of these positiv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ltenatives to solve some limts in the current states of the project. Reading promotion projects, in long run, need to have profeissional staffs with responsbility for managing the projects, to improve environments for reading promotion, and to encourage students’ voluntary participation to the projects.
교육과학기술부. 2012. 초・중등학생의독서실태진단및활성화방안연구.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10. 어린이․청소년독서문화진흥선진화방안연구.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권은경. 2012. 독서태도와읽기성취도분석이시사하는학교도서관독서교육의방향.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4): 249-269.
길호현. 2016. 독서 평가의 실제성 범주에 대한 연구. 독서연구, 38: 97-129.
김경자. 2016. 내년부터 순차 도입되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안착방안과 전망. 교육개발, 198: 28-34.
김종성. 2006. 효과적인 독서교육 방향 정립을 위한 학생 독서실태 조사연구. 인문학논총, 11(2): 235-263.
김혜숙, 백순근. 2007. 성과측정중심의교육정책평가: ‘교육정보화’를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8(2): 67-89.
문화체육관광부. 2007. 2007 독서진흥에 관한 연차보고서.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박주현, 이명규. 2015. 독서태도 모델 개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4): 271-297.
변우열. 2012. 독서태도모형분석을통한독서태도조사설문내용개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4): 139-159.
서수현, 정혜승. 2012. 중학생의 읽기 태도 양상. 독서연구, 27: 258-283.
이성영. 2014. 독서정책의 목표와 수단. 독서연구, 32: 213-243.
이연옥. 2011. 초등학교학생들의독서태도에관한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3): 293-309.
이제환. 2012. 한국대학도서관정책의추이와과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4): 317-346.
이제환. 2016. 한국 공공도서관정책의 추이와 과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7(1): 21-46.
임여주, 정연경. 2014. 공공도서관어린이독서프로그램의효과측정영역개발에관한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2): 89-107.
정대근, 홍현진. 2014. 청소년 독서유효성 영향요인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3): 271-295.
Athey. 1985. “Reading research in the affective domain.” Singer and Ruddell, Theoretical models and processes of reading, 3rd. ed.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527-557.
Beck, Michael. 1977. “What are pupil's attitude toward the school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Journal, 78: 73-78.
Busse, Gisela von. 1999. Das Bibliothekswese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ein Handbuch. 3., völlig neu bearb. Aufl. Wiesbaden: Harrassowitz.
Mckenna, M. C., & Dennis J. K. 1990. “Measuring attitude toward reading: A new tool for teachers.” The Reading Teacher, 43(9): 626-639.
Mckenna, M. C. 1994. “Toward a Model of Reading Attitude Acquisition.” In: E. H. Cramer and M. Castle.(eds), Fostering the Love of Reading: The Affective Domain in Reading Education. New Jersey: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McKenna, M. C., Kear D. J., & Ellsworth, R. 1995. “Children Attitude Toward Reading: A National Survey.” Reading Research Quarterly, 30(4): 934-956.
Walberg, & Tsai. 1985. “Correlates of reading achievement and attitude : A national assessment study.”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78: 9-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