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도서의 대출정보를 활용해 가중네트워크(PFNET :PathFinder Network)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특수 계층으로서 남녀 노령자에 의해 자주 읽히는 도서의 주제와 특성을 이해하고 이들의 독서 양태가 일반 성인 남녀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노령자와 일반 성인 남녀로 구성된 4개 집단을 대상으로 도서관 빅데이터의 인기 대출도서를 기반으로 동시대출도서 행렬을 산출하고 이를 활용해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PNNC(Parallel Nearest Neighbor Clustering) 알고리즘으로 대출도서 군집을 형성한 후 대출도서에 계산된 중심성지수를 기반으로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을 수행해 집단간의 상관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자기계발, 재태크, 육아 등 다양한 분야의 도서를 대출하는 일반 성인 남녀에 비해 노령자 계층은 한국현대소설에 집중된 독서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정 인기 저자의 저작에 집중된 도서 대출 경향을 보였다. 한편 여성 노령자가 일본소설, 영미소설을 포함해 상대적으로 다양한 분야를 대출하는 반면 남성 노령자는 극단적으로 한국대하소설에 집중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상관분석에서도 남성 노령자는 성인 남성과 r=-0.222의 약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다른 모든 집단과도 음의 방향성을 보여 대출 도서의 중심성이 반대 경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This study understand the subject domain of book which has been read by men and woman elderly by analizying the PFNET using library big data and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adult at age 30-40. This study extract co-occurrence matrix of book lending on the popular book list from library big data, for 4 group, men/woman elderly, men/woman adult. With these matrix, this study performs FP network analysi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based on the Triangle Betweenness Centrality calculated on the loan book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among the 4 clusters which has been created by PNNC algorithm. As a result, reading trend which has been focused on modern korean novel has been revealed in elderly regardless gender, among them, men elderly show extreme tendency concentrated on modern korean long series novel.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male elderly showed a weak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dult male of r = -0.222, and the negative direction of all the other groups showed that the tendency of male elderly’s loan book was opposite.
国立国会図書館. 2017. 超高齢社会と図書館~生きがいづくりから認知症支援まで. <httpL:// ndljp/pid/10338812>. [cited by 2019. 2. 13].
국민일보. 2015. 60세 이상 노인층 독서실태 보니… 책 읽는노인들 너무 적다. 국민일보. 12월 20일.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364757>. [cited by 2019. 2. 13].
김보일, 김선호. 2017. LibQUAL+를적용한공공도서관노인서비스품질평가에관한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8(1): 319-344.
김종은. 2013. 커뮤니티 : 고령화시대노인의 독서경향과과제-은세계도서관을중심으로-. 디지틀 도서관, 71: 140-144.
도서관정보나루. <https://www.data4library.kr/>. [cited by 2019. 2. 13].
서울특별시. 2019. 장노년층 서울시 공공도서관 이용에 대한 설문조사. 서울도서관. dataset. <http://data.seoul.go.kr/dataList/datasetView.do?infId=OA-15557&srvType=F &serviceKind=1¤tPageNo=1>. [cited by 2019. 2. 13].
이재윤. 2006. 지적 구조 분석을 위한 새로운 클러스터링 기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3(4): 215-231.
이재윤. 2013. tnet과WNET의가중네트워크중심성지수비교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4): 241-264.
임성관. 2011. 노년기 치료적 독서 활동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1): 79-93.
조은주, 장혜란. 2010. 독서치료프로그램이노인스트레스감소에미치는효과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7(4): 259-281.
최지향. 2015. 평생학습으로서의노인독서프로그램현황분석.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교육대학원.
파이낸셜뉴스. 2019. 공공도서관, 고령자 삶의 질 책임져야, 파이낸셜뉴스, 1월 22일. <http://www.fnnews.com/news/201901220836232581>. [cited by 2019. 2. 13].
한국출판연구소. 2017. 국민독서실태조사.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체육관광부, 2017.
허정무. 2018. 국내노인독서프로그램연구동향분석.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일반대학원.
홍을표. 2007. 노인정신질환치료를위한독서치료의적용가능성에대한고찰. 석사학위논문,차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황인담, 박준식. 2010. 독서요법이 경증 치매노인에게 미치는효 과.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4): 383-402.
Erikson, Erik H. 1959. Identity and the Life Cycle.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Luyt, B., Ann, H.S. 2011.“Reading, the library, and the elderly: A singapore case study.” Journal of Librarianship and Information Science, 43(4): 204-212.
Luyt, B., Chow, Y.H., Ng, K.P. and Lim, J.b., 2011. “Public library reading clubs and Singapore's elderly.” Libri, 61(3): 205-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