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고등학생의 DLS 검색행태 분석을 통한 학교도서관 자료 접근성 향상 방안 고찰

A Study on Improving of Access to School Library Collection through High School Students' DLS Search Behavior Analysi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20, v.51 no.2, pp.355-379
https://doi.org/10.16981/kliss.51.2.202006.355
정영미 (동의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강봉숙 ( 대구 다사고등학교)

초록

학교도서관업무지원시스템(DLS)은 학교도서관 자료에 대한 핵심적 접근 도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DLS에서의 학생들의 정보검색행태 분석을 통해 학교도서관 자료 접근성 향상 방안을 탐색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이에 학교도서관에서 DLS 검색을 시도하는 학생 42명을 대상으로 DLS 검색과정을 녹화하고 정보요구 전반에 대한 검색-전 질문지와 검색과정과 결과에 대한 검색-후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평소 DLS 이용의 주목적이 단순 여가 독서인 경우, 정보요구가 상대적으로 모호한 경우, 그리고 검색과정에서 복잡한 상황을 겪는 경우 등에서 검색 성공률과 검색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검색 만족도는 검색시간 충분성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검색 결과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기타 의견으로 정보 통합 검색, 관련 자료추천, 소장 위치 출력, 모바일 앱을 통한 음성 인식, 검색 실수 자동 교정 기능 등 요구가 있었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이 제언할 수 있다. 첫째, 진학 및 진로정보 제공에 대한 교육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DLS 역시 진학 및 진로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보완해야 한다. 둘째, 일반적 정보 검색 시스템 수준으로의 DLS 기능 개선이 필수적이다. 셋째, 학교도서관 현장 인력과 DLS 관리 당국 간 긴밀한 협력을 위한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한다.

keywords
정보검색행태, 정보추구행태, 이용자, 접근성

Abstract

Digital Library System(DLS) for the school library is a key access tool for school library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materials through analysis of students' information search behavior in DL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recording of 42 participants' DLS search process, and questionnaire. As a result, the search success rate and search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lower when the main purpose of DLS is simple leisure reading, information needs are relatively ambiguous, and when user experiences the complicated situations in the search process. The satisfaction level of search time sufficiency was the highest, and the search result satisfaction was the lowest. Besides, there was a need to improve DLS, such as integrated search of other library collection information, the recommendation of related materials, the print output of collection location, voice recognition through mobile apps, and automatic correction of search errors. Through this, the following can be suggested. First, DLS should complement the function of providing career information by reflecting the demand of education consumers. Second, improvements to DLS functionality to the general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level must be made. Third, an infrastructure must be established for close cooperation between school library field personnel and DLS management authorities.

keywords
정보검색행태, 정보추구행태, 이용자, 접근성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