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권장도서목록을 활용한 독서토론활동의 설계 - D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

Design of Reading and Discussion Activities using Recommended Book List: The Case of D University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20, v.51 no.3, pp.325-350
https://doi.org/10.16981/kliss.51.3.202009.325
윤유라 (동의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은주 ( 동의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대학생에게 독서란, 단순히 자신의 인격을 수양하고 즐거움을 위한 개념을 넘어 사회의 변화를 인식하고 적응해나갈 수 있는 힘을 길러 줄 수 있는 중요한 인성 교육이자 진로 교육의 방법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학에서는 독서관련의 교양수업을 개설하거나 필수 학점을 구성하는 등의 강제적인 지도에서부터 대학생에게 적합한 인문·교양도서를 선정하고 그 목록을 제공하는 등의 간접적인 지원활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대학생의 독서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독서지원방법 중 권장도서목록과 이를 활용한 독서활용방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대학의 권장도서목록과 독서토론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기존의 권장도서목록은 주제분야와 자료가 현시대상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제공되는 목록에 대한 정보도 서지사항정도에 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권장도서목록을 활용방법에 대한 제안도 부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제분야의 다양한 구성과 참조정보를 보완한 권장도서목록을 제안하였고, 하브루타를 활용하여 독서토론방법을 구조화하였다.

keywords
독서교육설계, 독서토론, 권장도서목록, 독서교육, 하브루타, 젠더

Abstract

For University students, reading is one of the important way of character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that can give students the power to recognize and adapt to changes in society. The university supports the reading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 in various ways, such as opening liberal arts courses related to reading or setting up required credits. In addition, it supports activities such as selecting the recommended book list for university students and providing the li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university's recommended book list and methods of using reading, and to propose improvement plans. To this end, using D University as an example, the current status of the recommended book list and reading discussion program were identified, and problems were investigated. In the current recommended book list, the subject area and list did not properly reflect the times, and the information on the provided list was very simple. Also,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uggestion on how to use the recommended book list. Through this, the recommended book list with the addition of bibliographic information and composition of the subject area was proposed. In addition, the reading discussion method was structured using Havruta.

keywords
독서교육설계, 독서토론, 권장도서목록, 독서교육, 하브루타, 젠더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