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국내 공공도서관 프로그램의 내용분석에 관한 연구: 정독도서관을 중심으

A Study on Content Analysis of Domestic Public Library Programs: Focusing on Jeongdok Library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24, v.55 no.2, pp.29-53
https://doi.org/10.16981/kliss.55.2.202406.29
이수상(Soo Sang Lee)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김수빈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김나은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공공도서관의 프로그램은 문화적 기능을 수행하며 지역사회 소통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돕는 도구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기관의 프로그램을 통합적으로 안내하는 웹사이트가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프로그램을 기술하기 위하여 정해진 기술 체계가 없는 상황이다. 이에 프로그램의 정보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 기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정독도서관의 프로그램들을 사례로 내용분석을 진행하였다. 내용분석 도구인 MAXQDA를 사용하여 유형, 주제, 특별구분, 이용대상의 항목들에 대한 범주코드들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정독도서관 프로그램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형에서는 강습, 강의와 같은 프로그램이 많으나, 견학, 공연/상영, 운영체험 관련 프로그램은 적게 나타났다. 주제는 독서, 예술에 해당되는 프로그램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나, 북큐레이션, 시상, 환경 관련 프로그램들은 적게 나타났다. 이용대상의 경우, 성인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으며, 고등학생, 중학생, 도서관 관계자를 위한 프로그램은 적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정독도서관의 프로그램 범주코드들을 참조하여 개별 공공도서관에서 현재 운영되는 프로그램들을 분류하는 것뿐만 아니라 국내 공공도서관 프로그램에 대한 서비스 플랫폼을 개발하는데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keywords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내용분석, 정독도서관, 프로그램 서비스 플랫폼

Abstract

Public library programs serve a cultural function and are a tool for community interaction.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websites that integrate the programs of various institutions, but there is no set framework to describe the programs. Therefore, in order to prepare a framework for program information, we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of Jeongdok Library programs as an example. Using MAXQDA, a content analysis tool, category codes for type, topic, special classification, and target audience were derived. Based on this,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Jeongdok library programs as follows. In terms of type, there are many programs such as classes and lectures, but fewer programs related to tours, performances and screenings, and operational experiences. In terms of topic matter, programs related to reading and the arts were dominant, while programs related to book curation, awards, and the environment were less common. In terms of target audience, the most common programs were for adults, with fewer programs for high school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and library staff. The framework of Jeongdok library program can be used not only to classify the programs currently operated by other public libraries, but also to develop a service platform for public library programs in Korea.

keywords
Public Library, Program, Content Analysis, Jeongdok Library, Program Services Platform
투고일Submission Date
2024-05-23
수정일Revised Date
2024-06-04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4-06-1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