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466-2542
본 연구는 은둔형 외톨이의 사회적 재통합을 위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개발을 목적으로 은둔형 외톨이 서비스 사례를 분석, 공공도서관이 은둔형 외톨이의 사회적 포용과 재통합을 위한 거점으로 기능할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을 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공공도서관은 보편적 접근성을 바탕으로 은둔형 외톨이를 위한 정보 제공, 심리․정서적 지원, 교육 및 자립 지원, 안전한 공간조성 등 다층적 역할수행이 가능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며, 역할 수행을 위해 첫째, 정보 격차 해소를 위한 맞춤형 정보 제공 및 상담 서비스 확대, 둘째, 온라인 독서 모임 및 비대면 프로그램을 통한 사회적 연결 기회 제공, 셋째, 공공도서관을 심리적 안정 공간으로 조성, 익명성을 보장하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 은둔형 외톨이가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넷째, 도서관의 평생학습 기능을 활용하여 은둔형 외톨이의 자립을 지원하는 직업교육 및 학습프로그램을 확대, 마지막으로 서비스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한 도서관법 개정 및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지원 조례 마련 및 다 부처 협력을 통한 종합적 지원 체계 구축 등의 서비스 혁신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cases of reclusive loner services to develop public library services for social reintegration of reclusive loner. As a result, public libraries need to play a multi-layered role through service innovation such as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and counseling services to close the information gap for reclusive loner, providing social connection opportunities through online reading meetings and non-face-to-face programs, creating public libraries as psychological stability spaces, providing customized services to ensure anonymity, expanding vocational education and learning programs to support reclusive loner self-reliance, revising the Library Act for service sustainability, preparing ordinances to support local governments, and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support system through cooperation between multiple minis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