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466-2542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통계 데이터 업무를 담당하는 담당자들이 겪는 경험과 고민,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영남 지방의 A 광역시와 B 도 산하의 공공도서관에서 통계 업무를 담당하는 사서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담당자들은 데이터 수집 - 내부 검증 - 입력 - 외부 검증으로 이어지는 체계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확립하고 있었다. 또한 통계 총괄 담당자와 각 부서의 수집 담당자 간 긴밀한 소통을 통해 업무를 분담하고, 데이터 수집 기준과 방식을 논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 통계는 단순한 데이터 입력을 넘어 도서관 운영평가 및 정책 수립의 핵심 자료로 활용되므로, 담당자들은 업무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백데이터 활용, 내부 협의, 외부 문의 등의 전략을 통해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려 노력하고 있었다. 그러나 조사 항목 해석의 차이, 자료관리시스템의 불안정성, 데이터 입력 오류 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 본 연구 결과는 공공도서관 통계 업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조사 방식과 업무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periences and concerns of public librarians responsible for statistical data management and explores strategies to address related challeng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librarians handling statistical tasks at public libraries in Metropolitan City A and Province B in the Yeongnam region. Findings revealed that librarians had established a systematic workflow involving data collection, internal verification, data entry, and external verification.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the overall statistics coordinator and department-specific data collectors ensured efficient task distribution and discussions on data collection standard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public library statistics in performance evaluation and policy development, they employed strategies such as utilizing backup data, conducting internal consultations, and addressing external inquiries to maintain data accuracy and consistency. Despite these efforts, issues such as varying interpretations of survey items, unstable data management systems, and data entry errors were reported. This study’s findings are expecte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public library statistical tasks and contribute to enhancing survey methods and workflow proce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