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에서는 심리극과 사회극 프로그램에서 비행청소년의 성장과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상담효과 요인을 알아보고 상담회기평가를 통해 두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깊이와 순조로움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OO기술 전문학교(P소년원) 학생 24명을 대상으로 하여 심리극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사회극 프로그램을 각각 12명을 대상으로 총 10회씩 실시하였다. 이렇게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극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비행청소년들이 지각한 상담효과 요인은 5회기 후에는 가족재구조화, 집단응집력, 자기이해, 실존적 요인, 보편성 요인의 순으로 10회기 후에는 가족재구조화, 집단응집력, 희망의고취, 정화, 실존적요인의 순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심리극 집단에서는 깊이와 순조로움이 전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후반부로 갈수록 유의미하게 보다 깊이 있고 순조롭게 평가하였다. 또한 깊이와 순조로움이 정적인 상관추세를 보인다. 둘째, 사회극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비행청소년들이 지각한 상담효과 요인은 5회기 후에는 실존적 요인, 보편성, 집단응집력, 가족재구조화, 희망의고취 요인의 순으로 10회기 후에는 보편성, 실존적요인, 가족재구조화, 이타주의, 자기이해의 순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사회극 프로그램에서 집단원들은 전반적으로 깊이 있고 순조롭게 회기를 평가하였다. 그러나 깊이와 순조로움의 평가가 정반부와 후반부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깊이가 순조로움도 차이가 없었다. 셋째, 심리극과 사회극 프로그램을 경험한 비행청소년들이 지각한 상담효과 요인을 비교하기 위해 순위차를 내어보면 5회기 후에 측정한 순위들간에는 차이가 없는 반면 10회기 후에 측정한 상담효과 요인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심리극과 사회극 프로그램의 회기평가를 비교해 보면 심리극 집단이 사회극 집단보다 깊이와 순조로움의 평가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to compare the therapeutic factors of psychodrama and sociodrama for juvenille delinquents and to compare two groups. To perform this study. 10 sessions of time-limited(two hours and half) group counseling were carried out for each group. And the subject was composed of 24 juvenile delinquents who were inprisoned in a P juvenile reformatory.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Yalom's Therapeutic factors and Session Evaluation Quationaire(SEQ). The Therapeutic Factors List of Yalom was given to members of two groups following the 5th and the 10th sessions. The SEQ were given at the end of each sess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rist, at the end of 5 session. the rank order for psychodrama's therapeutic factors were: ① family reenactment, ② group cohesiveness, ③ self-understanding and ④ existential factors. At the end of 10 session, the rank order were: ① family reenactment, ② group cohesiveness, ③ instillation of hope, and ④ catharsis. The result of SEQ shows the depth and smoothness during psychodrama were high. The score differences between the 5th and 10th sessions evalu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t the end of 5 session, the rank order for sociodrama's therapeutic factors were: ① existential factors. ② universality, ③ group cohesiveness, and ④ family reenactment. At the end of 10 session, the rank order were changed to ① universality, ② existential factors. ③ family reenactment, and ④ altruism. The result of SEQ, the depth and smoothness of the sociodrama process were high. The score differences between the 5th and 10th session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rank order of therapeutic factors at the end of 5 session, bu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rank order of therapeutic factors at the end of 10 session.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The result of comparison for two groups' SEQ, the psychodrama shows Higher scores in smoothness and depth than sociodrama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