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권호 목록

상담자 발달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심흥섭(한국심리상담연구소) ; 이영희(숙명여대 교육학과) pp.1-28
초록보기
초록

상담자 교육에는 이론교육, 상담실습, 수퍼비젼이 필수족이다. 대부분의 교육이 피교육자의 발달수준을 고려하듯 상담자 교육도 상담자의 발달수준에 맞게 이루어지는 것이 효율적이다. 따라서 상담자 발달수준을 평가하는 일은 상담자 교육에 선행되어야 할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이같은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한국의 수퍼바이저들이 상담자 발달수준을 평가하는 데 사용하는 준거개념을 밝혀내고 한국 상담자들의 발달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고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한국 수퍼바이저들이 상담자 발달수준을 평가하는데 사용하는 준거개념은 상담대화기술, 알아차리기, 사례이해, 상담계획, 인간적ㆍ윤리적 태도의 다섯 가지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자 발달수준 총점과 다섯가지 하위영역 각각에 있어서 초보 상담자, 중간수준 상담자, 숙련상담자 세 집단간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보았다. 상담자들이 자가평가한 상담자 발달수준 총점은 초보 상담자와 숙련상담자 집단, 그리고 중간수준 상담자와 숙렬상담자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수퍼바이저들이 평가한 상담자 발달수준은 초보 상담자, 중간수준 상담자, 숙련 상담자 세 집단이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자의 이론교육, 상담경험, 수퍼비젼 경험 중 이론교육이 상담자 발달수준과 가장 낮은 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내용을 근거로 상담자 교육에서 고려되어야 할 문제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Abstract

As increasing number of people seek counseling for help in this troubled world of crisis, many graduate students are attracted to counseling profession. It is well recognized that professional counselors should be qualified and equipped with both theory and practice. Most counselor educators agree that counseling supervision is an essential part of counselor education and training. Studies on counseling supervision suggest that the content and method of supervision must address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rainees, which differ across the developmental levels of trainees. The present study was an attempt to measure the developmental levels of Korean counselors by developing the Korean Counselor Level Questionaire(KCLQ). For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investigated. [Problem 1] What constructs are used to assess the development level of counselors by Korean supervisors? [Problem 2] Does the counselors' perception of their development level correlate to the training levels: the length of educational experience, counseling experience, & supervision experience? [Problem 3] Does the counselors' perception of their own developmental level differ between the beginning. intermediate and advanced counselors? [Problem 4] Does the supervisors' assessment on counselors' level for differ between the beginning, intermediate, and advanced counselors? To investigate [Problem 1], six supervisors were interviewed who have at least fifteen years of counseling and five years of supervision expeeriences. The contents fifteen years of counseling and five years of supervision experiences. The contents of interview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and the items of the KCLQ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KCLQ was sent out to 107 counselors to investigate [Problem 2], and [Problem 3]. To investigate [Problem 4], 59 supervisors were chosen and respond to the KCLQ and two vignettes. The vignettes were randomly sampled from those presented by beginning, intermediate, advanced counselors. They consisted of the abstracts of five sessions and one session of full transcription. Statistical techniques of ANOVA(analysis of variance). Scheffe-test for multiple comparision, F-test, and simple regression were utilized to examine the research proble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roblem 1]. Five domains were used by the Korean supervisors to assess counselors' developmental levels: Counseling skills & techniques, case conceptualization, emotional awareness, strategy (treatment planning, goal setting, interventions), humanistic and ethical attitudes. [Problem 2].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length of educational experience and the developmental level of counselors: however, the length of counseling experience highly correlates to the developmental level of counselors. Furthermore, the length of supervision experience and the developmental level of counselors are highly correlated. [Problem 3]. The beginning, intermediate and advanced counselors perceived their own developmental level differently. [Problem 4]. Supervisors assessed the counseling session of the beginning, intermediate and advanced counselors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al level of the counselo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developmental levels of counselors reflect their counseling experience level, and also suggest that the curriculum of counselor education emphasize on both clinical experience and supervisionin a good graduate program. And the program of counselor education and training has to be organized according to counselors' developmental levels. The KCLQ developed for this study was useful in assessing counselors' developmental levels.

한국과 벨기에, 프랑스, 독일, 이스라엘, 미국의 심리치료자들이 치료시 겪는 어려움과 대처방안
주은선(덕성여자대학교) pp.29-42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심리치료자들에 관한 주요 다국적 합동연구인 "심리치료자 자질개발을 위한 국제연구(International Study of the Development of Psychotherapist: ISDP)" (Orlinsky et al., in press, a)의 한 부분으로 이 중에서 한국과 벨기에, 프랑스, 독일, 이스라엘, 미국 치료자들이 심리치료시 치료자로서 겪는 어려움과 그에 따른 대처방안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도록 한다. 공통 핵심 질문지(Common core Questionnaire: CCQ)를 사용하여 치료장면에서 겪는 어려움 20문항과 대처방안의 26문항에 대한 방응을 요인분석과 변량분석 등의 통계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주요 결과로 치료자의 국가젹 배경에 따른 유의한 정도 차이는 다른 국가 치료자들에 비해 미국치료자들은 "내재적 해결방안모색"을 자주하고, 독일치료자들은 "치료장면 외에서 어려움을 해소"하려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치료자들은 다른 국가 치료자들에 비해 "치료를 그만두기를 고려"하는 방안을 자주 경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앞으로의 보충연구 등이 논의 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is a part of "International Study of the Development of Psychotherapists" which is a large scale multi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 effort designed to study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sychotherapists(Orlinsky et al., in press, a). The stud specifically explores the difficulties in therapeutic practice experienced by psychotherapists from six different countries, belgium, France, Germany, Israel, America and Korea. It also examines what kinds of coping strategies these therapists employ when they encounter difficulties in their practice. The data for this study was obtained by using a subset of elements from the Development of Psychotherapists Common Core Questionnaire (CCQ). Using factor analysis and analyses of variance, the twenty items surveying "Difficulties in Therapeutic Practice" and Twenty-six items concerning "Coping Strategies" were statistically analize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nr some differences in degree as to how therapists from different countries report experiencing difficulties and using coping strategies. American therapists perceive themselves to "Seek an Internal Solution" more than therapists from Germany and Korea. German therapists report "Seeking Relief away from Therapy" more than therapists from America and Korea. Also, Korean therapists report that they tend to "Consider Resigning from Case" more than therapists from Germany and America. Several discussions on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is presented.

내담자의 분노에 대한 상담자의 반응
구자경(서울대학교 교육학과) ; 박성수(서울대학교 교육학과) pp.43-6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내담자가 상담자 자신에 대한 분노를 표현할 때 내담자의 분노에 대한 상담자의 반응이 상담자 자신의 특성에 따라서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내담자가 상담자에게 분노를 표현하는 내용을 담은 비디오테이프를 보면서 상담자가 반응하는 모의상담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분노불편감이 높은 상담자일수록 분노한 내담자에 대하여 불안을 많이 느끼며, 분노한 내담자의 진술을 왜곡하여 지각하였다. 둘째, 상담경력이 많은 상담자일수록 분노한 내담자에 대하여 불안을 적게 느끼며 회피반응을 적게 나타내며, 분노한 내담자의 진술을 왜곡하여 지각하였다. 셋째, 여자 상담자가 남자 상담자에 비하여 불안을 적게 느꼈다. 넷째, 나이가 많은 상담자일수록 분노한 내담자에 대하여 불안을 적게 느끼며 분노한 내담자의 진술을 왜곡하여 지각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내담자의 분노를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한 훈련이 필요한 사람이 누구인지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며, 상담자의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훈련과정과 방법을 적용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unselor's anger proneness and anger discomfort on counselor's reactions to an angry client. The effects of counselor experience, gender, and age on couselor's reactions were also examined. Counselor's reactions include inaccurate perception of angry client's statements, anxiety with, anger toward, and avoudance response to an angry client. Fifty-five counselor traine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unselor first completed the measures of counseling experience, anger proneness and anger discomfort, after which they viewed and gave their reactions to an angry client-actor on videotap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Counselor's anger proneness was not related to counselor's reactions to an angry client significantlys. Counselor's anger discomfort was positively related to state anxiety and distortion of inaccurate perception. 2) Counselors with high anger proneness and high anger discomfort showed more state anxiety than counselors with high anger proneness but low anger discomfort did. 3) Some experience factors were negatively related to state anxiety and avoidance response but were positively related to distortion of inaccurate perception. Age was negatively related to state anxiety but was positively related to distortion of inaccurate perception. Female counselors showed more state anxiey than male counselors did. 4) Anger discomfort partialled out the variance explained by some experience factors, gender, and age still accounted for a significant amount of variance for state anxiety. After partialled out the variance explained by some experience factors and age, anger discomfort still accounted for a significant amount for distortion of inaccurate perception. Several discussions on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presented.

내담자의 방어성에 따른 상담 상호작용 형태와 작업동맹
신의천(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이장호(서울대학교 심리학과) pp.63-8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내담자의 방어성에 따른 상담 상호작용 양상과 작업동맹의 형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상담자와 내담자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상호작용 형태와 작업동맹의 상관을 살펴본 후, 내담자의 방어성에 따라 작업동맹 점수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서울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에 자발적으로 찾아온 내담자들 중에서 연구에 협조하기로 동의한 30명을 대상으로, 초기 3회기를 수집하여 그 중 한 회기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상담사례는 축어록으로 작성된 후 Penman 분류도식(1980)으로 부호화되었다. 각 언어반응 유목의 기본율과 상담자의 반응에 후속하는 내담자의 반응의 유목연계의 강도를 나타내는 Kappa값을 구한뒤, 각각 작업동맹 점수와의 상관을 구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방어성과 관련하여, 첫째 내담자의 방어성 수준에 따라 동일한 상담자 반응이 작업동맹과 각기 다른 상관을 보인다는 점이다. 예컨대, 높은 대인권력을 지닌 유목인 상담자의 '주도' 반응의 경우, 방어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작업동맹과 부적인 상관을 보인 반면, 방어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작업동맹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작업동맹의 형성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기여하는 반응 유목이 방어성의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르다는 점이다. 셋째, 방어성의 정도에 따라 유의미한 유목연계 형태가 다르게 나타나며, 이는 내담자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넷째, 방어성의 수준에 따라 작업동맹 측정치가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방어성에 따른 일관된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In order to assess the influence of the client's defensiveness on counselor-client interation and working alliance, this paper analyzes the verbal interaction between counselor and clien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is interaction and working alliance. The taped records(first three counseling sessions) of the 30 college student client who agreed to participate inthe study were collected. and one session's full verbatims of each client were coded according to the Penman classification scheme. The base rate for each verbal response category and the related Kappa values were foun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of these values and working alliance scores were foun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1) The correlation between working alliance and counselor reaction was var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client defensiveness. For example, while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counselor's 'initiative' reaction and working alliance in the high defensiveness group, a postive correlation was shown in the low defensiveness group: 2) The counselor reaction category measures positively or negatively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working alliance, were also var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client defensiveness. 3) The significant sequence pattern were also var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client defensiveness. which could be interpreted as reflecting client characteristics: 4) Although the working alliance scores did not significantly vary accordings to the level of client defensiveness, the clients with normal range defensiveness tended to form relatively high working alliance.

심리학적 봉사에서의 의사소통 채널이 관계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컴퓨터 매개조건과 대면조건의 비교
문성원(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최동원(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이은정(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한종철(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강홍렬(통신개발연구원) pp.83-93
초록보기
초록

컴퓨터가 매개하는 의사소통관계가 대면 의사소통을 통해서 형성하는 관계에 비해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3주 동안, 24명(대면조건 15명, 컴퓨터 매개조건, 9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관계적 의사소통의 발달을 측정하였다. 즉각성/애정, 유사성/관계심도, 수용성/신뢰, 정서적 이완, 형식성, 지배성, 동등성의 7차원으로 이루어진 관계적 의사소통 척도를 이용하여 발달을 측정한 결과, 컴퓨터가 매개하는 조건에서 처음에는 유사성/관계의 심도, 수용성/신뢰 차원에서의 평정치가 대면조건에 비해서 낮았지만, 3주의 상호작용후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수준까지 컴퓨터 매개조건의 평정치들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정서적 이완성과 동등성 차원은 첫 측정시나 3주측정시 모두 유의미하게 컴퓨터 매개조건이 놓은 평정치를 보였다. 각 처치조건에 따른 발달 양상과 응용적 의미에 관해서 논의되었다.

Abstract

Development of relational communication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was measured in order to compare with that in face-to-face communication for 3 weeks with 24 college students. The aspect of development was ecaluated with the relational communicational measure which include seven dimensions: Immidiacy/affection, similarity/depth, receptiveness/trust, composure, formality, dominace, equality. On mediated condition, the results of similarity/depth and receptiveness/trust dimension were lower than those of face-to-face condition at the first observation. But, their difference bedame non-significant at the second observation. Composure and equality of computer-mediated condition were significantly superior than those of face-to-face condition at both observation. The aspect of development on communication channe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as discussed.

대인관계적 상보성과 상담성과
정남운(서울대학교) ; 이장호(서울대학교) pp.95-11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인관계적 상보성의 측면에서 상담상호작용을 관찰하여, 상담자의 반응이 내담자의 행동과 상담단계에 따라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지를 알아본 것이다. 연구 1은 상담자의 상보성과 내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초기에는 긍정적 상보성은 작업동맹과 정적상관이, 부정적 상보성은 부적상관이 있음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중기에는 상보성과 작업동맹 사이에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연구 2는 한 상담자의 비교적 성공적인 사례와 조기종결된 사례를 종단적으로 추적하여 상담자의 상보성이 회기의 진행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관찰하였다. 그 결과 '성공' 사례에서는 부정적 상보성은 저-고-저의 2차곡선적 관계성을 보였고, 긍정적 상보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고-저-고의 변화 경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성공' 사례에서는 특정한 패턴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부정적 상보성이 상담 초기부터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담 초기에는 긍정적 상보성은 많이, 부정적 상보성은 적게 보이는 것이 유익하지만, 본격적 작업기인 중기에는 부정적 상보성을 서서히 높히고 긍정적 상보성은 낮추어 변화의 압력을 가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how a counselor's interpersonal complementarity have to change over the counseling stages. Study 1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ing alliance and the counselor's complementary responses. It was found that in the early stage there was not on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working alliance and positive complementarity but also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working alliance and negative complementarity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relation was found in the middle stage. Study 2. a longitudinal researcch on a relatively 'successful' and an 'unsuccessful' cases, examined how counselor's complementarity pattern changed over the sessions. In the 'successful' case, there was a signifcant 'low-high-low' negative complementarity pattern, while there was a tendency of a 'high-low-high' positive complementarity pattern. In the 'unsuccessful' case. although there was no specific pattern, the level of negative complementarity was generally high from the early sessions. The results imply that in the early stage it is helpful to keep the level of positive complementarity high and negative complemntarity low. But in the middle stage it might be necessary to make negative complementarity gradually high and to lower positive complementarity.

과잉행동아의 비학습행동 감소를 위한 무상토큰 반응대가의 효과
장정주(영남대) ; 천성문(춘해대) ; 김보경(경북대) pp.121-14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학령기 과잉행동증 아동의 대표증상인 부주의, 과잉행동, 그리고 총동성을 실제 학교장면에서 학습에 방해주는 행동으로 보고, 그러한 행동들을 행동수정기법의 무상토큰 반응대가를 통하여 과잉행동증을 감소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피험자는 과잉행동증을 보이는 초등학교 7~8세 아동, 6명(남아 4명, 여아 2명)이었다. 피험자들은 총 12회기의 행동수정기법 중 무상토큰을 이용한 반응대가 기법훈련을 받았다. 그 결과는 과잉행동증 아동들의 교사의 지시를 따르지 않는 행동, 자리이탈 행동, 교수방해 행동 등 과잉행동증 처치 후 의미있게 감소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free token response cost procedures in reducing disruptive behavior of hyperactive children in a elementary school Six hyperactive children, tested by the Conners Teacher-Parent Rating Scale, were administered by the free token response cost procedures. 12 sessions consisted of baseline I(2 sessions), free token response cost I (3 sessions), baseline II(2 sessions), free token response cost II(3 sessions) and follow-up (2 sessions). The free token response cost procedure reduced significantly nonccompliance with teacher, out-of-seat, interference with class of hyperactive children.

진로결정상태모형에 의한 대학생의 진로결정상태의 유형화
이혜성(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홍혜경(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pp.143-16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진로상담 내담자에 대한 차별적 진단의 한 벙법으로서, 진로결정상태를 유형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Jones와 Chenery(1980)의 삼차원적 진로결정상태모형을 이루는 결정성, 편안성, 이유의 세 차원에 대한 군집분석을 통해 이 모형의 적용가능성, 이 모형에 따른 유형화의 결과 및 각 유형들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연구방법은 대학생 330명(남학생 176명과 여학생 154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프로파일의 결정성척도 및 편안성척도, 진로결정수준검사, 특성불안검사, 진로정체감검사, 내-외 통제 척도를 실시한 후 상관분석, 군집분석 미 분산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진로결정상태모형을 이루는 결정성, 편안성, 이유읭 세 차원은 대학생의 진로결정상태를 요약하고 유형화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정 유형은 여섯 개로 나타났다. 각 유형에는 그 특성에 따라 안정결정형, 다재다능형, 잠정결정형, 불안결정형, 혼돈미결정형, 수행불안형의 명칭이 부여되었다. 또한 분산분석 결과 이 여섯 개의 유형은 군집분석에 포함된 모든 변인 및 특성불안, 진로정체감, 통제소재 등 외적 변인들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군집 분류의 타당성을 지지하는 한편, 유형들간의 차이를 부각시켜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선행연구들과 관련지어 논의한 후, 대학생 진로상담에 주는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언급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out subtypes of the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status according to the Vocational Decision Status Model, proposed by Jones and Chenery(1980). Applying cluster analysis to three dimensions of the Vocational Decision Status Model, this study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to the typology of career decision status, subtypes of the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status, and differences among subtyp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0 students(male 176, female 154) from three universities in Seoul. A set of questionaiers(Decidedness scale and Comfort scale of Career Decision Profile, Indecision scale of Career Decision Scale. Trait-Anxiety Inventory of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Identity scale of My Vocational Situation, and Internal-External Control Scale) was administered.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means of correlation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is model is applicable to the typology of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status. The resulting 6-cluster solution described subtypes of the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status. These six subtypes were named as confident decided type, multipotentialed type, tentative decided type. anxious decided type, confused undecided types, and implement anxious type. These subtyp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incluster analysis and in trait-anxiety, vocational identity, and locus of control. Implications for vocational counseling and future research on the typology of career decision status discussed.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개인적 특성 및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이기학(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한종철(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167-1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고등학생들의 개인적 특성 및 심리적 변인에 의한 진로 태도성숙 정도를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수도권지역의 인문계 및 실업계 남녀 7개교의 2007명을 대상을 개인적 변인-성별, 계열별, 학년별- 및 심리적 변인-자아존중감, 직업가치, 내외통제성-과 진로태도성숙구인-결정성, 목적성, 확신성, 준비성, 독립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진로태도성숙 정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알려졌으나, 진로태도성숙을 하위차원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본 연구에서는 다소 다른 결과를 보였다. 목적성과 준비성에서는 여학생이, 반면에 확신성과 독립성에서는 남학생이 높은 진로태도성숙 정도를 보였다. 계열별에서는 이전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인문계 학생이 실업계 학생보다 높은 진로태도성숙 정도를 보였고, 고등학교 내에서는 학년에 의한 진로타도성속의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한편, 심리적 변인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높은 진로태도성숙 점수를 보였다. 또한, 직업가치를 외적인 경제적인 보상보다는 성취감이나 대인관계와 같은 내적 가치에 둘수록 높은 진로태도성숙 점수를 보였으며, 내적 통제성이 높은 학생이 더 높은 진로태도성숙 전수를 보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degree of career attitude maturity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2007 students from 7 high schools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We measur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s of career attitude maturity-decisiveness, goal orientation, confidence, preparation, and independence-and personal characteristics-sex differences, curricular, and the grade level-and psychological variables-self esteem, work value, and locus of control-. The results of the degree of career attitude maturity in this study was different to previous studies. Generally, female students had a high scores in career sttitude maturity than male, but the results of this study seems that female tend to score higher on the construct fo goal orientation and preparation and that male tend to score higher on the construct of confidence and independence.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tend to score higher tha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re was no differences in the grade level of high schoolers. As a result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psychological variables, the students in high self-esteem tend to score higher than low self-esteem. and intrinsic work value to score higher than extrinsic, and internal locus of control to score higher than external locus of control.

학교 진로상담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현림(영남대학교 교육학과) pp.191-225
초록보기
초록

초ㆍ중ㆍ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의식 및 그들 학부모의 진로의식에 대해 분석하여 효율적인 진로교육의 자료로 제공하며, 학생들에게 일에 대한 소중함과 건전한 직업의식을 심어주며, 학부모에게 있어서는 자녀를 위한 올바른 진로상담자의 역학을 담당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이를 토대로 하여 바람직하고,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학교 진로상담의 개선책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존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학생 뿐만 아니라 학부모가 어떻게 진로선택이라는 과업을 잘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한 효과적인 학교 진로상담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학부모들은 진로상담의 의미와 중요성을 깨달아 지적 발달에 편중되지 않고 자녀의 진로의식 발달에도 관심을 가져야 하며, 학교나 가정에서 공부뿐만 아니라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직업과 관련된 다양한 매체에 대하여 어릴 때부터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둘째, 직업에는 귀천이 없다는 직업관을 심어주고, 정신적인 노동이 육체적 노동보다 좋은 직업이라는 사고방식을 지양해야 하며 이는 현 우리나라 현실에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이다. 어떤 직업이든 자신이 종사하는 직업에 대해 긍지를 갖고 그 일 자체에 가치와 의미를 부여해 주는 사회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한다. 이에 발맞추어 학교에서도 각각의 직업의 특성 및 중요성에 대해 체계적인 진로교육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학부모와 학교는 학생이 원할 때면 언제든지 올바르고 새로운 직업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도록 부단히 노력하여야 한다. 넷째, 우리 나라 학부모의 진로의식 역시 체계적인 교육을 받아 재정비되어야 한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the trends of career counseling for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awareness levels, student gender, and school level.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provide effective methods and basic materials of career education to students, in order to improve the career awareness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valuable information concerning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in schools. This research was executed through survey research. To be the subjects of the study, 631 parents and 650 of their children were chosen at random in Taegu and Kyongpook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as computer processed using the SAS program.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derived from quantitative data, and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from non-quantitativ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elf-understanding of career awareness, boys and girls comparatively responded positively. Most major problems of student concern were found associated with grade level and career knowledge. The student's career counselors were mostly their parents. (2) Parents recognized work and occupation as important, but evaluated professional jobs more highly than non-professional jobs. Parents showed very negative responses to the offer of job information from the school. Parent's attitude toward occupations and stereotypical roles by sex was conservative. Student's and parent's interests in career imformation was very grea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more career deucation at schools. School counseling has to improve the development of career awareness by giving better imformation on job skills and occupations. In order to develop better career awareness, an effort to seek the cooperation of parent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parents affect their children to a great extent in the development of their career awareness.

MBTI에 나타난 비행청소년 성격유형과 행동특성 비교 연구
심혜숙(부산대 교육학과) ; 김명권(경상대 심리학과) pp.227-25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에 나타난 보호관찰 대상 비행청소년 (N=593)의 성격유형 분포 및 이들의 성격유형과 행동특성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성격유형에서 높은 비율을 보이는 경향은 E(60%), S(86%), T(76%), P(68%), ST(66%), SP(57%), ESTP(24%), ESTJ(18%), ISTP(18%)이었다. 성격유형과 비행청소년들의 14개 행동특성간의 관계를 볼 때, I는 정서적으로나 부모와의 관계에서 더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P는 거의 모든 행동특성들에서 J에 비해서 부정적으로 나타나 비행청소년에게 특히 P의 부정적인 속성을 보완하는 교육이 매우 필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모든 행동특성들에서 T와 F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고, S와 N간에는 무절제 특성을 제외한 모든 특성들에서 차이가 없었다. 네 가지 유형 분류에 있어서는 SP와 IP가 다른 유형들에 비해서 부정적인 양상이 심했으며, 16가지 성격유형에서는 ISTP가 다른 유형들에 비해서 정서적인 곤란을 더 많이 겪었고, 그외에 ESTP가 더 충동적이고 신분에 어긋난 행동을 많이 하는 거으로 나타났다. SP와 ESTP는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지만, 일반비행의 정도가 다른 유형들에 비해 더 심하지는 않았다. 성비행, 학업스트레스, 부정직 및 약물사용의 특성들에선 각 선호경향들이 배합된 각각의 네 가지 유형들이나 16가지 성격유형들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아 이 특성들은 비행청소년들의 특정성격유형과 거리가 먼 것으로 밝혀졌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the psychological types of the juvenile delinquents on probation. In relation to psychological type the subjects show higher tendency in being extroverted(60%), Sensing(86%), Thinking(76%), Perceiving(68%), ST(66%), SP(57%), ESTP(24%), ESTJ(18%), and ISTP(18%). The study shows that the Introverted(I) juvenile delinquents tend to have emotional difficulties with their parents. Perceiving(P) preferences show negative attitudes in almost subscales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comparison to Judging(J) prefered ones. Thus it calls for a special need for Perceiving juvenile delinquents when the program is developed in order to complement their ineffective adjusting behavio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sychological functions(TF/SN) and delinquent behavioral characteristics, except SP and IP who showed a little higher tendency in negative attitudes. It also shows that ISTP more than any other 16 types tends to have emotional difficulties. There is a higher rate of being ESTP and SP, yet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no higher delinquent behaviors than other types.

심리극과 사회극의 상담효과 요인 및 상담과정 비교분석 -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
심혜숙(부산대학교 교육학과) ; 이정희(부산대학교 교육학과) pp.251-27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심리극과 사회극 프로그램에서 비행청소년의 성장과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상담효과 요인을 알아보고 상담회기평가를 통해 두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깊이와 순조로움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OO기술 전문학교(P소년원) 학생 24명을 대상으로 하여 심리극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사회극 프로그램을 각각 12명을 대상으로 총 10회씩 실시하였다. 이렇게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극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비행청소년들이 지각한 상담효과 요인은 5회기 후에는 가족재구조화, 집단응집력, 자기이해, 실존적 요인, 보편성 요인의 순으로 10회기 후에는 가족재구조화, 집단응집력, 희망의고취, 정화, 실존적요인의 순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심리극 집단에서는 깊이와 순조로움이 전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후반부로 갈수록 유의미하게 보다 깊이 있고 순조롭게 평가하였다. 또한 깊이와 순조로움이 정적인 상관추세를 보인다. 둘째, 사회극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비행청소년들이 지각한 상담효과 요인은 5회기 후에는 실존적 요인, 보편성, 집단응집력, 가족재구조화, 희망의고취 요인의 순으로 10회기 후에는 보편성, 실존적요인, 가족재구조화, 이타주의, 자기이해의 순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사회극 프로그램에서 집단원들은 전반적으로 깊이 있고 순조롭게 회기를 평가하였다. 그러나 깊이와 순조로움의 평가가 정반부와 후반부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깊이가 순조로움도 차이가 없었다. 셋째, 심리극과 사회극 프로그램을 경험한 비행청소년들이 지각한 상담효과 요인을 비교하기 위해 순위차를 내어보면 5회기 후에 측정한 순위들간에는 차이가 없는 반면 10회기 후에 측정한 상담효과 요인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심리극과 사회극 프로그램의 회기평가를 비교해 보면 심리극 집단이 사회극 집단보다 깊이와 순조로움의 평가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to compare the therapeutic factors of psychodrama and sociodrama for juvenille delinquents and to compare two groups. To perform this study. 10 sessions of time-limited(two hours and half) group counseling were carried out for each group. And the subject was composed of 24 juvenile delinquents who were inprisoned in a P juvenile reformatory.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Yalom's Therapeutic factors and Session Evaluation Quationaire(SEQ). The Therapeutic Factors List of Yalom was given to members of two groups following the 5th and the 10th sessions. The SEQ were given at the end of each sess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rist, at the end of 5 session. the rank order for psychodrama's therapeutic factors were: ① family reenactment, ② group cohesiveness, ③ self-understanding and ④ existential factors. At the end of 10 session, the rank order were: ① family reenactment, ② group cohesiveness, ③ instillation of hope, and ④ catharsis. The result of SEQ shows the depth and smoothness during psychodrama were high. The score differences between the 5th and 10th sessions evalu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t the end of 5 session, the rank order for sociodrama's therapeutic factors were: ① existential factors. ② universality, ③ group cohesiveness, and ④ family reenactment. At the end of 10 session, the rank order were changed to ① universality, ② existential factors. ③ family reenactment, and ④ altruism. The result of SEQ, the depth and smoothness of the sociodrama process were high. The score differences between the 5th and 10th session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rank order of therapeutic factors at the end of 5 session, bu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rank order of therapeutic factors at the end of 10 session.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The result of comparison for two groups' SEQ, the psychodrama shows Higher scores in smoothness and depth than sociodrama group.

심리극과 굿의 비교
공개신경일(부산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pp.273-295
초록보기
초록

본 심리극과 굿은 상실로 인한 미해결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상당히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있다. 굿과 심리극은 전혀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지지만 상실로 인한 미해결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유사한 심리적 과정과 기제를 가지는 것으로 보이며 그 치료적 효과 역시 매우 비슷하다. 굿 특히 진오귀굿과 씻김굿에서 치료료과를 가져오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과정 중에 심리극과 공통되는 것은 준비단계와 나눔단계의 설정, 구체화ㆍ상징화기법의 사용, 놀이정신을 기초로 하는 점, 죽은 자와의 심리적 분리 강조, 의식(ritual)을 통한 불안의 해소, 무의식의 활용, 이중자아 기법의 사용, 소도구의 사용 등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 의해 발생하는 치료요인 중에서 공통되는 것은 희망의 고취, 카타르시스와 교정적 정서체험, 정보와 교육, 대인관계 학습과 사회적 기술의 훈련, 보편성, 집단응집력, 이타주의 등이며 자기이해와 책임의식의 자각이라는 측면은 굿의 심리극에 비해 부족하다. 그러나 이것은 집단과 가족을 중시하는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여 평가되어야 한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and Kut is a Korean shamanistic ceremony. Kut is a effective therapeutic modility for people suffering from the loss od a loved one. Especially JinogiKut and SsitKim Kut are devoted to a promising futeure for a dead person. as well as for the living survivors. And to bid final farewell before the dead person goes on his journey to the other side. Psychodrama was developed by Dr. Moreno, from the West's distinctive culture background and belief system. Not unlike the Kut ceremony, psychodramatic therapy on death and bereavement centers on finishing unfinished business with the dead person. Both modalities are effective, enen though stemming from very different background, because they share common psychological mechanisms, processes that are effective in promoting healing after the loss of a loved one. Common therapeutic factors and processes that Kut and psycholdrama have as follows : needs of stage for warm-up and closing spirit of play, techniques of concretization and symbol, utilizing of unconsciouness, double, using properties, catharsis, corrective emotional experiences, interpersonal learing, universality, altruism. Differences are lack of insight and self resposibility.

한국 학교상담 형성과정 연구 - 해방후 중등학교 중심으로 -
유정이(서울대학교 교육학과) ; 박성수(서울대학교 교육학과) pp.297-31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해방 후로부터 1960년대 말에 이르는 20여 년간의 학교상담의 형성과정을 탐구하였다. 한국 학교상담은 해방 후 "민주교육"의 실천과 "교육과학회"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전쟁 이후 급속하게 늘어나는 학생범죄문제로 인하여 기존의 훈육에 대한 비판이 높아지고 생활지도와 상담이 요청되었다. 학교상담의 추진 과정에서 교도교사들은 학생들의 고충을 수용하려고 노력하는 한편, 비행학생에 대한 단속과 교칙준수를 위한 훈육 또한 병행해야 하는 상호모순되는 역할 사이에서 혼란을 느꼈다. 또한 교도교사들은 많은 업무에 시달리고 있었으며 전문성의 부족으로 인한 갖가지 어려움에 처해 있어서, 학생들이 당면하고 있는 고민과 문제를 해결하기도 어려웠다 학교상담의 형성 및 변천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 문헌자료의 분석과 면접방법을 활용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early development of school counseling during 1945 though 1970 in Korea. The study raises three major questions : ① In what context school counseling emerged ; ② How school counseling has been conceptualized thoughout this period? ; ③ How school counseling has been practiced thougout this period? Literature analysis and interview with counselors who worked at school during 1945 - 1970 are imployed. After the 1945 Liberation, Korean education faced two urgent tasks: "Eradicating Japanese colonial education" and "Building new education" which indicates "Democratic education" and "student-life-individuality" oriented education. At that time, many educators were greatly concerned with guidance and counseling as one of democrati educational methods. After the Korean War. the major public concern was the expansion of schooling system and increasing number of problem students. Traditional discipline method was criticized, and thus moral education was emphasized. Also guidance and counseling was recognized as one of democratic educational methods and a new solution to the student problems. "Guidance Program" which was held by the Seoul Council on Education was found to be official beginning school counseling. "Guidance Program" included organization of guidance committee, placement of school cunselors, and participation of all school teachers in guidance program. Many teachers did not recognize the role of school counselor. They perceived the role of school counselor as directive problem solution and punishment of students violating school regulations. They did not respect professionality of counselor and did not coorperate in guidance program. With respect to student's perception of school counseling, many of students did not recognize school counselor's professional role either. Actually, school counselors provided counseling services such as individual counseling, psychological testing, punishment, and discipline. One of diffiulties that school counselors have experienced was a conflict resulting from mixed nature of school ounseling which put an emphasis on discipline as well as directive problem solution. In providing counseling at school, they were found to use non-directive counseling approach to support students' development. Psychological testings were carried out in many schools. However the results of testing were not used in guidance and counseling activities. In providing disciplinary activities, school counselors had troubles with discipline teachers. School counselors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overresponsibilities and lack of professi nality. Also they were challenged by other teachers and education administrators because of low outcome of school counseling. In addition, counselor education emphasized more theory, than practical application, therefore even counselor education was not helpful for school counselors to practice counseling. There were counselor's role confusion with school teachers, especially with class teachers and disciplinary teachers. Besides, finacial aid and administrative support were not enough to support the activities of school counseling. In conclusion, the school counseling in Korea has been facing great impasse from the beginning.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