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부적응 청소년집단의 애착유형연구

Attachment Style of a Group of Juvenile Delinquency

초록

본 연구에서는 비행과 가출과 관련된 부적응 청소년들의 애착양식을 파악하여 이들을 상담할 때 도움을 주고자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상담소와 사회복지기관, 보호관찰소 등에 있는 13세에서 18세의 부적응 청소년들의 애착양식을 이해하기 위해 일반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비교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부적응 청소년 집단은 일반 청소년 집단과 비교해 볼 때 애착 요인 구조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둘째, 애착 하위요인에 있어서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두 집단 간의 애착 유형분포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애착 요인구조에 있어서는 일반 청소년 집단이 부적응 청소년과 비교했을 때, 불안 요인에 더 많은 문항으로 묶이어 유의하게 높은 점수 차이를 보였다. 부적응 청소년은 일반 청소년 집단에 비해 친밀과 의존이 합해진 요인에서 더 많은 문항으로 유의하게 높은 결과가 나타났으나 불안요인을 제외한 친밀과 의존요인의 신뢰도는 현저하게 낮았다. 또한 애착을 4 유형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부적응 청소년은 일반 청소년에 비해 안정애착은 적고 회피애착과 불안양가 애착에 있어서 더 많은 비율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기초 자료가 되어 부적응 청소년뿐만 아니라 일반 청소년들을 상담할 때 다양한 문제의 관계 측면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keywords
부적응 청소년, 애착유형, 청소년 상담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attachment style of group of juvenile delinquency in comparison to averag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135 adolescents in juvenile delinquency program in counseling centers, social welfare offices and probation offices in Seoul and Kyung-ki area were selected. For the comparison group of average adolescent sample, a total of 375 students from the 8th grade of junior high school (male: 157, female: 200) in Seoul and Kyung-ki area were selected. Adult Attachment Scale(AAS) developed by Collins & Read(1990) was used in this study. AAS consisted of 18 questions based on Hazan & shaver(1987) and it was translated by Kim (1999) in Korea. In this study, three questions are asked. First, how are the factors of Adult Attachment Style different from a group of juvenile delinquency compared to average adolescents? Second, how are the specific Adult Attachment Style different from a group of juvenile delinquency compared to average adolescents? Third, how are the distribution of 4 attachment styles different between these two groups? The results show that the anxiety factor was different between groups and unexpectedly, the average adolescent group showed high in anxiety factor compared to the group of juvenile delinquency. Also, the group of juvenile delinquency was significantly high in closeness & dependency style compared to the average adolescents. Further comments were suggested for the development of counseling juvenile delinquencies.

keywords
juvenile delinguency, attachment style, adolescent counseling
투고일Submission Date
2001-09-29
수정일Revised Date
2001-11-26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1-12-04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