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버스사고 피해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인지 - 행동 집단치료의 효과

The Effects of Cognitive - Behavioral Group Therapy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for Bus Accident Victims

초록

본 연구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이하 PTSD)의 중재를 위한 인지-행동 집단치료를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며, 치료과정에서 효과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버스사고를 경험한 대학생 피해자 52명을 대상으로 임상가용 PTSD 척도를 실시하여 진단하였다. 이들 중 PTSD와 부분 PTSD로 분류된 피험자 31명을 대상으로 총 10회기의 인지-행동 집단치료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후 3개월 추후 평가까지 마친 피험자들은 치료집단에서 11명, 통제 집단에서 12명 이었다. 인지-행동 치료 프로그램에는 이완 훈련, 인지적 재구성, 스트레스 면역 훈련, 심상 노출, 현장 노출이 포함되었으며, 불안과 우울, 적극적 대처, 인생 목표 및 실존문제들을 다루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교통사고 추후 면접지, 임상가용 PTSD 척도 사건 충격 척도, Beck 우울 척도, 상태-특성 불안 척도, 상태-특성 분노 척도를 사전, 중기, 사후, 추후로 실시하여 두 집단을 비교하였으며 쌍별 t-검증을 적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치료전기까지는 치료집단이 우울, 상태-불안 및 PTSD 관련 측정치(사건 충격 척도, 임상가용 PTSD 척도, 태만 죄책감, 비현실감)에서 유의미한 호전을 보였으나, 행동 측정치로서 운전/승차 행동에서는 유의미한 호전을 보이지 않았다. 치료 후기에서는 모든 PTSD 관련 종속측정치에서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단지 운전/승차 행동에서 '유사한 길 회피', '사고 지역 회피', '속도에 대한 예민성'이 치료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어 사고 공포 증상이 호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3개월 후 추후평가에서는 치료집단과 통제집단의 모든 주관적, 객관적 측정치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아서 인지-행동 집단치료의 효과가 통제집단의 자발적 회복을 능가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행동 집단치료의 효과에 영향을 주는 치료 요인으로 집단 응집력, 보편성, 감정정화 순으로 치료에 도움이 된 것으로 평정되었다. 사례연구를 통해서 인지-행동 집단치료의 과정 변인들을 찾아보고자 치료 효과가 큰 사례와 효과가 작은 사례의 치료과정을 제시, 중상 변화를 비교해 보았다. 이 두 사례는 집단치료 내에서 의사소통 방식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치료 효과가 큰 사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선도를 많이 사용한 반면, 치료 효과가 작은 사례는 의사소통에서 주장과 불신을 유의미하게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keywords
버스사고, 교통사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인지-행동 집단치료, 사례연구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and explore the effectiveness and process variables of treatment. Clinician Administrated PTSD Scale was administered for diagnosis of 52 undergraduates victims who experienced the same bus accident. A total of 31 undergraduates victims who classified as full PTSD and subsyndromal PTSD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of ten weekly sessions were administered. The members of victims who completed the 3 months follow up assessment were 11 in treatment group and 12 in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composed of teaching relaxation training, cognitive restructuring and stress inoculation training, treating image exposure and in vivo exposure, and dealing with anxiety, depression, active coping, life goals and existential problems. To examine the treatment effect, all victims completed the Clinician Administrated PTSD Scale, Impact of Event Scale, Beck Depression Inventory, State-Trait Anxiety Scale, State-Trait Anger Scale for pretest, middle test, post test and follow-up test. And paired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outcome.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prior phase,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depression, state anxiety and measures related PTSD(Impact of Event Scale, Clinician Administrated PTSD Scale, negligent guilt and derealization), but not significantly improved driving/riding behaviors as behavior measures. In the posterior phas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ll of measures related PTSD between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but improved 'avoidance of certain roads', significantly only in 'avoid accident area', 'sensibility of speed' of driving/riding behaviors in treatment group and it could interpreted as the improvement of accident phobic symptom. In follow up assessm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ll of subjective and objective measures between the two groups. It was indicated that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could not exceeded spontaneous recovery of control group in follow up assessment. Second, therapeutic factors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behavioral group treatment were rated to be effective group cohesion, universality and catharsis. The most improved member and the least improved member were selected for case study to investigate process variables in cognitive-behavioral group treatment and their treatment process and change of PTSD symptom were prescribed by phenomenical form. These two members were differentiated in communication styles. The most improved member used more leading responses than the least improved member and the least improved member used assertion and insincerity responses than the most effective member in cognitive-behavioral group treatment. The sugges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of futur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bus accident, motor vehicle accident, PTSD, 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case study
투고일Submission Date
2001-09-29
수정일Revised Date
2001-11-18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1-12-04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