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대면집단에서의 언어반응 변화 추세와 자아개념 변화에 관한 연구 - 선불교적 소집단훈련(동사섭)을 중심으로 -

THE STUDY OF VERBAL RESPONSE CHANGE TREND AND SELF-CONCEPT CHANGE IN ENCOUNTER GROUP.

초록

본 연구는 동사섭 소집단 훈련의 언어적 상호작용 과정을 분석하고 자아개념의 변화를 측정하여 훈련효과와 과정변인을 연결짓고자 하는 시도적 연구로서 앞으로의 연구에 대한 방향 설정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훈련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소집단 훈련에 참여한 처치집단(n=14)과 대기집단(n=14)을 짝짓기(Matching)하여 자아개념 검사로 사전, 사후, 추수검사를 실시하였다. 처치 집단은 총25회기로 이루어진 숙박형태의 집중적 과정에 참여했으며 그중 20회기는 비구 조화된 상황에서의 자기 노출과 귀환반응 과정에 적극 참여하도록 촉진 되었다. 대기집단은 같은 기간동안 아무 훈련도 받지 않았다. 자아개념 변화량을 종속측정치로 하여 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즉각적 효과에서는 총자아긍정 점수와 6개의 하위척도가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고 15주후의 장기효과 검중에서는 자아긍정 총점수 그리고 4개의 하위척도에서 효과가 유지되고 있었다. 집단과정에서의 언어반응은 90% 정도가 자기노출과 귀환반응이었으며 이것도 소집단 훈련과정이 자기노출과 귀환반응을 변화의 중요한 요소로 하고 있음을 보여주었고 전체 집단참여자들의 평균적 변화 양상이 반응유목별로 제시되었다. 동일한 집단과정을 경험한 참여자들이 구분 가능한 3가지 형태의 언어반응 변화 양상을 보였으며 언어반응 변화양상에 따른 3집단 중 1집단은 Tuckman & Jensen(1977)의 발달모형과 일치 되었다. 이 발달모형에 부합된 집단의 자아개념 변화량은 다른 집단에 비해 변화량의 평균 점수가 즉각적 측정에서 다른 두집단에 비해 높았다. 자기노출과 귀환반응 변화양상에 따라 구분한 세집단이 훈련효과 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분석 하였으나 의미가 없었다.

keyword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erbal interactional process in the small group training and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small group training process on the training effect. The training effect was measured by the change in the scores on the self-concept test, which was performed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15weeks after the training. The participants were distributed into the treament group(n=14) or the waiting list group(n=14). The treatment group experienced the residential intensive process which consisted of 25 sessions, and were encourag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self-disclosure and feedback process in the nonstructured situation. In contrast, the waiting list gruop were not given any training during the same period. ANOVAs, based on the degree of change in the self-concept, indicated that in the immediate training effect the total score on self-affirmance and the scores on six subscales changed signifi­cantly, and in the follow up test self-affirmance and four subscales kept the training effect. About 90 percent of the verbal responses in the group process was self-disclosure and feedback, which implied that self-disclosure and feedback were important factors in the small group training process. The participants, though they experienced the same group process, differed in their verbal response patterns. Individual verbal response patterns divided the whole participants into three groups and one of these groups was congruent with the Tuckman & Jensen(1977)'s development model. This group indicated higher mean change score than the other two groups in the immediate self-concept test. These three group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training effect, bu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keyword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