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88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비판 성향이 강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마음챙김-자기자비 집단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Neff와 Germer(2013)의 MSC 프로그램에 기초하고 자기비판 성향의 사람에 적합하도록 수정한 6회의 마음챙김-자기자비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서울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227명 중 자기비판 척도에서 상위 30%(자기비판 원점수 41점 이상)에 해당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집단에 16명, 무처치 통제집단에 19명을 할당하였다. 연구 측정치로는 자기비판, 마음챙김, 자기자비, 긍정/부정정서 및 심리적 안녕감이 사용되었다. 이들은 사전/사후검사, 그리고 종결시점 1개월 후 추수검사에 응답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참가자를 대상으로 주관식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음챙김-자기자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마음챙김과 자기자비가 증가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비판과 부정정서는 감소하고 심리적 안녕감은 증가하였다. 반면 긍정정서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마음챙김과 자기자비의 변화량은 자기비판, 부정정서, 심리적 안녕감의 변화량과 중간-높은 정도의 상관을 보였다. 최근 대학생들이 극심한 취업난으로 고통 받는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 구성한 마음챙김-자기자비 프로그램은 자기비판 성향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6-week Mindful Self-Compassion (MSC) group program on reducing self-criticism among college students. Participants with high scores on the self-criticism scale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N=16) and the control group (N=19). Self-criticism, mindfulness, self-compassion, positive/negative affe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ores were all measured. The participants rated the scales three times, right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one month following program completion. Open-ended questions were asked and analyzed as well. The study found that,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mindfulness,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well as significant reductions in self-criticism and negative affect. There were also upper intermediate correlations between the increments of mindfulness, self-compassion and the variation of self-criticism, negative affe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indings show that this type of program would benefit self-critical university students.
김경의, 이금단, 조용래, 채숙희, 이우경 (2008).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4), 1023-1044.
김명소, 김혜원 (2000). 우리나라 기혼여성들의심리적 안녕감의 구조분석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5(1), 27-41.
김연수, 조성호 (2014). 자기자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공상의 자각과 탈중심화의 매개효과 검증. 발달지원연구, 3(2), 93-108.
김완석, 이성준, 유연재 (2013). 자기연민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수용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1), 219-238.
김정미 (2009).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부적응적 정서의 관계: 자기비난과 수치심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6(10), 205-225.
김정미, 조현재 (2009). 대학생의 스트레스와우울의 관계에서 자기비난 및 의존성의역할. 한국청소년연구, 20(2), 283-306.
김희은, 이미현, 김인규 (2014). 국내 대학생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및 연구동향. 상담학연구, 15(4), 1441-1456.
노상선, 조용래 (2013).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자를 위한 자기자비 함양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1), 97-121.
민윤기 (2004). 사회과학 연구법과 결과해석. 서울: 시그마프레스.
박미옥, 고진호 (2013). 마음챙김의 치유적기능이 가지는 교육적 함의-위빠사나(vipassanā) 수행을 중심으로. 종교교육학연구, 42(0), 97-120.
박성현 (2006). 마음챙김 척도 개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세란 (2015). 자기자비가 자기조절과정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세란, 이훈진 (2013). 자존감, 자기자비와 심리적 부적응 및 안녕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1), 123-139.
손보영, 정남운 (2006). 자기 비판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에서 나타나는 대인관계 패턴:CCRT 방법을 통한 질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1), 21-45.
심은수 (2013). 자기초점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혜란 (2014). 자기자비 증진 프로그램이 아동의 스트레스와 대인불안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연화, 이신혜, 조용래 (2010). 자기자비, 생활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증상들의 관계. 인지행동치료, 10(2), 43-59.
이현희, 김은정, 이민규 (2003). 한국판 정적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의 타당화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935-946.
조용래 (2007). 정서조절곤란의 평가: 한국판척도의 심리측정적 속성.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6(4), 1015-1038.
조현주, 노지애, 이현예, 정성진, 현명호 (2014). 초보 상담자들의 자기 성장을 위한 마음챙김 자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청소년학연구, 21(12), 25-47.
조현주, 현명호 (2011). 자기비판과 우울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기자비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1), 49-62.
최영민 (2011). 사회비교 성향이 높은 대학생을 위한 자기자비 훈련. 연세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Anderson, N. D., Lau, M. A., Segal, Z. V., & Bishop, S. R. (2007).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and attentional control. Clinical Psychology & Psychotherapy, 14(6), 449-463.
Blatt, S. J. (1974) Levels of object representation in anaclitic and introjective depression. Psychoanalytic Study of the Child, 29(1), 107-157.
Blatt, S. J., D'Afflitti, J. P., & Quinlan, D. M. (1976). Experiences of depression in normal young adult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5(4), 383-389.
Blatt, S. J., & Shichman, S. (1983). Two primary configurations of psychopathology. Psychoanalysis & Contemporary Thought, 6(2), 187-254.
Cox, B. J., Fleet, C., & Stein, M. B. (2004). Self-criticism and social phobia in the US national comorbidity surve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82(2), 227-234.
Cox, B. J., MacPherson, P. S. R., Enns, M. W., & McWilliams, L. A. (2004). Neuroticism and self-criticism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2(1), 105-114.
Duarte, C., Pinto-Gouveia, J., & Ferreira, C. (2014). Escaping from body image shame and harsh self-criticism: Exploration of underlying mechanisms of binge eating. Eating Behaviors, 15(4), 638-643.
Dunkley, D. M., Zuroff, D. C., & Blankstein, K. R. (2006). Specific perfectionism components versus self - criticism in predicting maladjustmen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0(4), 665-676.
Germer, C. K., & Neff, K. D. (2013). Self-compassion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9(8), 856-867.
Gilbert, P. (2010). Compassion focused therapy. London & NY: Routledge.
Gilbert, P., & Procter, S. (2006). Compassionate mind training of people with high shame and self-criticism: Overview and pilot study of a group therapy approach.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13(6), 353-379.
Hayes, S. C., Luoma, J. B., Bond, F. W., Masuda, A., & Lillis, J. (2006).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Model, processes and outcome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4(1), 1-25.
Kabat-Jinn, J. (1990). Full catastrophe living. New York: Bantam Deli.
Klainin-Yobas, P., Ramirez, D., Fernandez, Z., Sarmiento, J., Thanoi, W., Ignacio, J., & Lau, Y. (2016). Examining the predicting effect of mindfuln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A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pproach.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91, 63-68.
Leary, M. R., Tate, E. B., Adams, C. E., Allen, A. B., & Hancock, J. (2007). Self-compassion and reactions to unpleasant events: The implications of treating oneself kindl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5), 887-904.
MacBeth, A., & Gumley, A. (2012). Exploring compassion: A meta-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self-compassion and psychopathology. Clinical Psychology Review, 32(6), 545-552.
McKay, M., & Fanning, P. (2005). Self-esteem. New: Harbinger Publications.
Neff, K. D. (2003a). Self-compassion: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a healthy attitude toward oneself. Self and Identity, 2(2), 85-101.
Neff, K. D. (2003b).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selfcompassion. Self and Identity, 2(3), 223-250.
Neff, K. D.(2011). Self-compassion, self-esteem, and well-being. Social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5(1), 1-12.
Neff, K. D., & Germer, C. K. (2013). A pilot study a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mindful self-compassion program.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9(1), 28-44.
Neff, K. D., Kirkpatrick, K. L., & Rude, S. S. (2007). Self-compassion and adaptive psychological functioning.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1(1), 139-154.
Raes, F. (2011). The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symptoms in a non-clinical sample. Mindfulness, 2(1), 33-36.
Rosenzweig, S., Greeson, J. M., Reibel, D. K., Green, J. S., Jasser, S. A., & Beasley, D. (2010).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for chronic pain conditions: Variation in treatment outcomes and role of home meditation practic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68(1), 29-36.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Shapiro, S. L., Astin, J. A., Bishop, S. R., & Cordova, M. (2005).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Results from a randomized t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12(2), 164-176.
Van Dam, N. T., Sheppard, S. C., Forsyth, J. P., & Earleywine, M. (2011). Self-compassion is a better predictor than mindfulness of symptom severity and quality of life in mixed anxiety and depression.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5(1), 123-130.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6), 1063-1070.
Whelton, W. J., & Greenberg, L. S. (2005). Emotion in self-criticis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8(7), 1583-15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