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최근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상담사와 내담자 사이의 성적 접촉과 관련하여 내담자에 대한 보호조치 및 상담사에 대한 제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법원 등의 국가기관이 상담 관계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상담사-내담자 성적 접촉에 관한 사회적 논의의 필요성 및 해당 문제의 유해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에 앞서 1980년대에 상담사-내담자 성적 접촉에 대해 활발한 논의를 펼쳤던 미국의 판례를 살펴보고 판례의 입장을 반영한 각 주의 법률 규정을 검토하였다. 미국 판례는 상담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이 현상으로 인해 상담사-내담자 관계가 상징적인 부모-자식 관계의 양상을 보이게 되고, 이로 인해 상담사와의 성적 관계는 내담자에게 치명적인 피해를 입힌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내담자를 성적 착취한 상담사에 대해서는 법률로 형사처벌, 민사상의 손해배상의무, 면허의 취소 등을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미국에서의 논의를 기초로 내담자와 성적 접촉을 한 상담사에 대한 처벌, 내담자에 대한 손해배상, 국가 공인 심리상담 자격 제도의 도입의 측면에서 우리나라가 앞으로 고려해야 할 법적․제도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s for protection of clients and sanctions against counselors who engage in counselor-client sexual contact. To assist courts and investigating authorities, the specificity of counseling relationships, imbalance of power, and harmful effects of counselor-client sexual contact are presented. The study also examined the precedents and stipulations in the US, in which active discussions were held in the 1980s regarding sexual contact by counselors. Specifically, the US courts have confirmed that a counselor-client relationship represents a symbolic parent-child relationship due to the transference phenomenon, and that sexual relations with counselors cause devastating damage to clients. Moreover, the US provisions stipulate criminal punishment, civil liability, and revocation or suspension of licensure for counselors who sexually exploit their clients. Implications are proposed for the counseling field in Korea regarding sanctions against counselors, compensation for clients, and the implementation of a national counseling certification system.
강진령, 유형근 (2003). 학교상담에서의 비성적(非性的) 이중관계 문제와 그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4(4), 831-843.
권수영, 이신형, 황진태, 손재구 (2016). 전문상담사의 국가자격화 논의를 위한 연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7(4), 9-29.
금명자, 정상화, 이수정, 이은영, 박선민 (2018). 상담의 이중관계에 대한 잠재적 내담자의 윤리인식.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 255-255. 8월 16일. 서울: 세종대학교 컨벤션센터.
김영근 (2013). 치료적 요인으로서의 상담자 요인에 대한 내담자의 인식 차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2), 203- 226.
김영근, 김현령, 이정인, 신재훈, 신동미, 이상민 (2012). 한국 상담사법 제정에 관한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3), 641-670.
김인규 (2018). 국내 상담자격의 현황과 발전방안.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3), 475-493.
김인규, 장숙희 (2019). 국내 상담관련 민간자격의 현황과 발전방안. 교육종합연구, 17 (2), 43-61.
김재원 (2008). 미국 法源에의 체계적 접근. 성균관법학, 20(2), 675-695.
김준호 (2018). 채권법. 법문사.
김중길 (2018). 서비스제공자의 민사적 책임구조: 일본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재산법연구, 35(1), 261-293.
김태명 (2018). 권력형 성범죄의 처벌과 비동의 간음추행죄의 도입. 법학연구 57, 137- 163.
김화자 (2014). 한국과 미국의 상담윤리규정 비교 연구. 복음과 상담, 22(1), 9-50.
남은주 (2016, 3, 14). 정신적 약점 이용해 ‘성폭력’... 법규 없어 처벌도 못해. 한겨례.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34901.html 에서 검색.
박외숙, 고향자 (2007). 비성적(非性的)인 이중관계의 윤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863-887.
박지윤 (2019, 5, 22). 심리상담사의 기괴한 요구 “속옷 벗고 성기 그림 그려라”. 한국일보.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905201249729715?did=NA&dtype=&dtypecode=&prnewsid= 에서 검색.
신용철 (2002). 자격과 면허의 비교연구. 한국산업인력공단.
오송희, 이정아, 김은하 (2016). 상담윤리(counseling ethics)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2), 267-289.
우홍련, 허난설, 이지향, 장유진 (2015). 한국 상담자들이 경험한 윤리 문제와 대처 방법 및 상담 윤리 교육에 관한 실태 연구. 상담학연구, 16(2), 1-25.
유주성 (2016). 강간죄 성립의 판단기준으로서 피해자의 동의와 저항: 대법원 2015.8.27. 2014도8722 판결. 비교형사법연구, 18(1), 33-60.
유지혜 (2019, 11, 13). 성폭력 트라우마 치료해주겠다며 성폭행한 상담사. 세계일보. https://www.segye.com/newsView/20191113506465 에서 검색.
이상민 (2020). 심리상담 법령의 필요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2(1), 547- 557.
이아람 (2019). 상담사-내담자 계약관계에서 상담사의 정보제공의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1(1), 303-324.
임주환 (2019). 심리상담 내담자 법적 보호 현실. 제3회 상담정책 포럼: 심리상담 법령없는 대한민국, 이대로 괜찮은가?. 8월 29일. 서울: 국회의원회관 제2간담회실. 미간행.
조경건 (2020, 4, 2). ‘성폭력 피해 여성 성폭행’ 유명 심리상담사, 2심서 집행유예로 감형. 부산닷컴.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0040210482738556 에서 검색.
조은향 (2008). 미국법 이해. 법문사.
최수아 (2017). 상담에서의 전문가 윤리와 경계문제. 인문사회 21 8(2), 1235-1254.
최해림 (2002). 한국 상담자의 상담윤리에 대한 기초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 805-828.
하명호 (2019). 행정법. 박영사.
한국상담심리학회 (2019). 상담심리사 윤리강령.http://www.krcpa.or.kr/sub01_5.asp?menuCategory=1 에서 검색.
한국상담학회 (2019). 사단법인 한국상담학회 윤리강령. http://www.counselors.or.kr/ 에서 검색.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20). 민간자격정보서비스 민간자격검색.https://www.pqi.or.kr/inf/qul/infQulList.do?searchQulCpCd=0001.에서 검색.
Allen, T. (1996). Civil liability for sexual exploitation in professional relationships. The Modern Law Review, 59(1), 56-77.
Bhat, C. S. (2005). Enhancing counseling gatekeeping with performance appraisal protocols. International Journal for the Advancement of Counselling, 27(3), 399-411.
Bouhoutsos, J., Holroyd, J., Lerman, H., Forer, B., & Greenberg, M. (1983). Sexual intimacy between psychotherapists and patient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14(2), 185-196.
Butler, S., & Zelen, S. L. (1977). Sexual intimacies between therapists and patients.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14(2), 139-145.
California Department of Consumer Affairs (2019). Therapy never includes sexual behavior. Sacramento, CA: California Department of Consumer Affairs.
Coleman, E., & Schaefer, S. (1986). Boundaries of sex and intimacy between client and counselor.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64(5), 341-344.
Gale, A. U., & Austin, B. D. (2003). Professionalism’s challenges to professional counselors’ collective identity.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1(1), 3-10.
Galletly C. A. (1993). Psychiatrist-patient sexual relationships: The ethical dilemmas.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27(1), 133-139.
Galletly, C. A. (2004). Crossing professional boundaries in medicine: The slippery slope to patient sexual exploitation.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181(7), 380-383.
Haspel, K. C., Jorgenson, L. M., Wincze, J. P., & Parsons, J. P. (1997). Legislative intervention regarding therapist sexual misconduct: An overview.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28(1), 63-72.
Heppner, P. P., Leong, F. T. L., & Chiao, H. (2008). A growing internationalization of counseling psychology. In S. D. Brown & R. W. Lent (Eds.),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pp. 68-85). Hoboken, NJ: Wiley.
Homrich, A. M. (2009). Gatekeeping for personal and professional competence in graduate counseling programs. Counseling and Human Development, 41(7), 1-24.
Kagle, J. D., & Giebelhausen, P. N. (1994). Dual relationships and professional boundaries. Social Work, 39(2), 213-220.
Lee, A. (2018). Comparative study of the legal provisions regarding the counseling profession in the US and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Moleski, S. M., & Kiselica, M. S. (2005). Dual relationships: A continuum ranging from the destructive to the therapeutic.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3(1), 3-11.
Pope, K. S. (1988). How clients are harmed by sexual contact with mental health professionals: The syndrome and its prevalence.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67(4), 222-226.
Pope, K. S., Keith-Spiegel, P., & Tabachnick, B. C. (1986). Sexual attraction to clients: The human therapist and the (sometimes) inhuman training system. American Psychologist, 41(2), 147-158.
Quadrio, C. (1996). Sexual abuse in therapy: Gender issues.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30(1), 124-131.
Smith, D., & Fitzpatrick, M. (1995). Patient- therapist boundary issues: An integrative review of theory and research.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26(5), 499-506.
Somer, E., & Nachmani, I. (2005). Constructions of therapist-client sex: A comparative analysis of retrospective victim reports. Sex Abuse, 17(1), 47-62.
Stake, J. E., & Oliver, J. (1991). Sexual contact and touching between therapist and client: A survey of psychologists’ attitudes and behavior.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22(4), 297-307.
Twemlow, S. W., & Gabbard, G. O. (1989). The lovesick therapist. In G. O. Gabbard (Eds.), Sexual exploitation in professional relationships (pp. 71-87).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Inc.
Vasquez, M. J. T. (1988). Counselor-client sexual contact: Implications for ethics training.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67(4), 238-241.
Wheeler, A. M., & Bertram, B. (2015). The counselor and the law: A guide to legal and ethical practice. Alexandria, VA: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Wilson, G. (2007). Comparative legal scholarship. In M. McConville & W. H. Chui (Eds.), Research methods for law (pp. 87-103).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