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상담자들의 사회정의 옹호역량 발달 과정에서의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f South Korean Counselors’ Experiences in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y Development

초록

본 연구는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국내 상담자의 사회정의 옹호역량 발달 과정에서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정의 옹호역량 수준이 높고 암묵적 성 고정관념 수준이 낮은 상담자 9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접을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6개의 영역, 즉 “사회정의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 “옹호역량 증진 과정”, “옹호 추구 과정에서의 어려움”, “사회정의 활동상의 어려움에 대한 대처”, “사회정의 추구 후 삶의 변화”, “사회정의 옹호 상담 발전을 위한 제언”과 22개의 범주, 그리고 18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참가자들은 교육과 다양한 경험을 계기로 사회정의에 관심을 가졌으며, 지식 추구와 옹호 활동 실천, 개인적 성찰, 멘토의 도움을 통해 옹호역량을 증진하였다. 이들은 여러 가지 내외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고정관념에 대한 성찰, 문제 제기, 동료들과의 교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어려움에 대처하였다. 또한, 사회정의를 추구하면서 실제로 사회구조 및 개인적 삶 속에서 변화 등을 경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keywords
social justice, social justice advocacy counseling,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ies, multi-cultural counsel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사회정의, 사회정의 옹호 상담, 사회정의 옹호역량, 다문화 상담, 합의적 질적 연구

Abstract

This study used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explore South Korean counselors’ experiences in developing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ies. A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9 counselors with strong advocacy competencies and low implicit gender stereotypes. Six domains with 22 categories and 18 subcategories emerged. The domains were “becoming interested in social justice,” “developing advocacy competencies,” “difficulties while pursuing social justice,” “coping with difficulties,” “changes in life after pursuing social justice,” and “suggestions for future social justice oriented counseling,” After finding an interest in social justice through diverse experiences, participants developed their advocacy competencies via seeking knowledge, practicing social justice, self-reflecting, and receiving guidance from mentors. Results also revealed that self-reflecting, publicizing social justice issues, and interacting with colleagues helped participants overcome various in/external difficulties along the way. Participants reported that advocating for social justice resulted in changes in both society and their personal lives.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social justice, social justice advocacy counseling,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ies, multi-cultural counsel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사회정의, 사회정의 옹호 상담, 사회정의 옹호역량, 다문화 상담, 합의적 질적 연구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