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권호 목록

즉시성 개입에 필요한 상담 역량: 개념도 방법을 중심으로
라수현(차의과학대학교) ; 김창대(서울대학교) pp.691-718 https://doi.org/10.23844/kjcp.2022.08.34.3.691
초록보기
초록

즉시성은 상담관계를 직접적으로 활용하여 상담성과를 만들어 내는 상담의 고급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루기 어려운 즉시성의 특성 때문에 상담자들에게 교육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개념도 방법을 통해 상담자들이 즉시성 개입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10명의 숙련 수퍼바이저들의 인터뷰를 통해 45개 역량의 항목들을 도출하였고, 8명의 숙련 수퍼바이저들이 도출된 항목들에 대해 유사성과 중요도 평정을 실시하였다. 다차원척도와 군집분석 결과 최종 개념도는 2차원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로축의 우측이 ‘개인내적 역량’, 좌측이 ‘상호작용 역량’, 세로축의 상단이 ‘체험 기반 역량’, 하단이 ‘이해 기반 역량’이었다. 2차원의 축을 기반으로 한 군집은 총 4개로, 개인내적-체험 기반의 ‘자신의 체험을 수용하고 조절할 수 있음’, 대인관계적-체험 기반의 ‘상호작용을 통해 내담자와 관계를 조율할 수 있음’, 대인관계적-이해 기반의 ‘평가하여 개입을 결정하고 실행할 수 있음’, 개인내적-이해 기반의 ‘이론적 및 경험적인 이해를 가지고 있음’으로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즉시성이 상담에서 갖는 관계적 의미와 본 연구의 상담자 교육 및 훈련에서 갖는 의의, 한계 등을 논의하였다.

Abstract

Immediacy is an advanced counseling technique that directly utilizes the counseling relationship to produce counseling outcomes. However, it is challenging to train counselors about immediacy due to its complex and intimate nature. Therefore, we explored competencies for immediacy through the concept mapping method. Eight supervisors rated the similarity and importance of the forty-five items derived from interviews with ten experienced supervisors. A two-dimensional concept map was determined to be appropriate after conducting multidimensional scale and cluster analysis. The horizontal axis was ‘Intrapersonal competen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The vertical axis was ‘Experience-based competency’ and ‘Understanding-based competency’. The four clusters were ‘Accept and regulate one’s experiences’ based on the intrapersonal & experience-based competency; ‘Attune relationship with clients through interaction’ based on the interpersonal & experience-based competency; ‘Choose and implement interventions upon evaluation’ based on the interpersonal & understanding-based competency; and ‘Have theoretical and empirical understanding.’ based on the intrapersonal & understanding-based competency. Finally, we discussed the relational meaning of immediacy, the study’s implications for counselor education and training, as well as its limitations.

트라우마와 사별 경험에 대한 개인의 의미통합 척도(K-ISLES): 한국판 타당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이동훈(성균관대학교) ; 엄희준(성균관대학교) ; 이덕희(성균관대학교) pp.719-744 https://doi.org/10.23844/kjcp.2022.08.34.3.71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고통스러운 사건 경험 이후 개인이 사건에 대해 가지는 의미와 삶의 의미를 통합하였는지를 측정하는 한국판 트라우마와 사별 경험에 대한 개인의 의미통합 척도(Korean version of Integration of Stressful Life Experience Scale; K-ISLES)를 타당화 하였다. 고통스러운 사건을 트라우마 사건과 가까운 사람과의 사별 경험으로 나누어서 트라우마 사건을 경험한 성인 655명과 가까운 사람과의 사별을 경험한 성인 1,219명을 더한 총, 1,874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이후 트라우마 사건 경험집단과 사별 경험집단에 대한 K-ISLES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우선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1요인 구조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적 일치도, 오메가 계수를 검증한 결과 모두 높은 신뢰도를 보여 K-ISLES가 신뢰로운 척도임을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K-ISLES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K-ISLES와 ‘의미 만들기와 이점 찾기’, ‘사건 중심성 척도’, ‘세상에 대한 신념 척도’, ‘우울증 선별도구’, ‘범불안장애 척도’, ‘간이정신진단 검사-18’ 척도들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고통스러운 사건의 의미와 삶의 의미의 통합과 관련된 후속 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Integration of Stressful Life Experience Scale (K-ISLES) in Korea.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1,874 Korean adults (655 with traumatic event experiences and 1,219 with bereavement experi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a one-factor structure. Second, K-ISLES showed robust internal consistency and Omega reliability. Third, to confirm the validity of K-ISLES, correlation analysis with ‘Sense-Making’, ‘Benefit-Finding’, ‘CES’, ‘World Assumptions Scale’, ‘BSI-18’, ‘SCL-10-R’, and ‘PG-13’ was perform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K-ISLES has adequate psychometric properties for measuring the meaning of Korean adults exposed to traumatic events and bereavement.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박유림(경남대학교) ; 이은희(경남대학교) pp.745-764 https://doi.org/10.23844/kjcp.2022.08.34.3.74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하위요인(반추, 자기비난, 타인비난, 파국화)의 상대적 영향을 알아보고자 병렬다중매개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737명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 척도, 자해기능 평가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질문지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여 SPSS 23.0과 Process Macro 3.5를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1년 이내에 비자살적 자해를 하는 대상자는 737명 중 143명(19.4%)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비자살적 자해는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하위요인 중 자기비난과 파국화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거부민감성과 비자살적 자해 간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하위요인의 상대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병렬다중매개효과 검증 결과, 자기비난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파국화만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rumination, self-blame, other-blame, catastrophiz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of college students and non-suicidal self-injury (NSSI). Data from 143 participants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143 out of 737 people (19.4%) were subject to non-suicide within the last year. Second, it was found that rejection sensi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NSSI. Third, among the sub-factors of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it was found that self-blame and catastrophizing had a positive effect on NSSI. Finally, it was found that rejection sensitivity indirectly affects NSSI through catastrophizing. Based on the results, the meaning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oposed.

배우자용서와 자기용서의 부정반응과 긍정반응이 관계만족 및 삶의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영주(한경대학교) pp.765-792 https://doi.org/10.23844/kjcp.2022.08.34.3.76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부부관계에서 배우자용서와 자기용서를 각각 부정반응과 긍정반응으로 구분하고, 배우자용서와 자기용서가 관계만족 및 삶의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성차를 살펴보았다. 남녀 성인 572명의 자료를 독립표본 t-검정,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우자용서와 관계만족 간의 관련성은 자기용서와 관계만족 간의 관련성에 비해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우자용서와 삶의만족 간의 관련성도 자기용서와 삶의만족 간의 관련성에 비해서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우자용서는 부정반응과 긍정반응 모두 관계만족과 삶의만족을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자기용서는 긍정반응만 관계만족과 삶의만족을 설명하였다. 넷째, 배우자용서는 관계만족을 완전매개 하여 삶의만족에 영향을 미쳤고, 자기용서는 관계만족을 부분매개 하여 삶의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용서가 삶의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차가 유의하였는데, 배우자용서 부정반응과 삶의만족 간의 부적 관련성은 남성에 비해 여성의 경우에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가설과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하였고, 연구의 학문적 의의, 상담 실제에 대한 함의와 본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negative and positive responses of spouse forgiveness and self-forgiveness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gender differences in these relationships.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572 adults. The study’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ssociation between spouse forgivenes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stronger than the association between self-forgivenes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 there was a slightly stronger association between spouse forgiveness and life satisfaction than between self-forgiveness and life satisfaction. Third, both negative and positive responses of spouse forgiveness, and only positive response of self-forgivenes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Fourth, relationship satisfact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orgiveness and life satisfaction. Fifth, gender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response of spouse forgiveness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its limitations, were discussed.

성장기의 정서적 학대 경험이 성인기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
이혜숙(인제대학교) ; 김영근(인제대학교) pp.793-818 https://doi.org/10.23844/kjcp.2022.08.34.3.79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장기의 정서적 학대 경험이 성인기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분노억제가 이중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한 참여자는 20대∼50대의 성인 남, 녀를 대상으로 설문지 총 443부의 자료를 얻어서 분석하였다. 이중매개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방정식모형으로 설정하고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살펴보았다. 측정 도구로는 정서적 학대, 신체화 증상, 정서인식명확성, 분노억제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성장기의 정서적 학대 경험은 성인기 신체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 과정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이 부적으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장기의 정서적 학대 경험은 정서인식명확성과 분노억제를 이중매개하여 성인기 신체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성장기에 정서적학대경험이 높을수록 정서인식명확성과 분노억제에 순차적으로 부적 영향력을 나타내며, 분노억제와 성인기의 신체화 간에는 정적 영향력을 나타내는 이중매개효과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emotional abuse during the developmental years on somatization in adulthood, and to verify whether emotional clarity and anger suppression have a double mediation effect. Survey was conducted on 443 adults between the ages of 20 and 50. SPSS 21.0 & AMOS 21.0 was used to validate the dual mediation model, and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was examined using the bootstrapping method. Emotional abuse, somatization symptoms, emotional clarity and anger suppression scales were used. Emotional abuse experienced during the developmental years affected somatization in adulthood. Emotional clarity had a negative mediating effect. Emotional abuse during the during the developmental years had an impact on somatization in adulthood via a doubl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and anger suppression.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이공계 여성 근로자들이 직업현장에서 경험하는 미묘한 성차별과 직무 소진의 관계: 자기침묵, 외로움을 통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박희진(한국기술교육대학교) ; 김민선(단국대학교) pp.819-849 https://doi.org/10.23844/kjcp.2022.08.34.3.81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이공계 기업에 종사하는 직장 여성들이 직업현장에서 경험하는 미묘한 차별과 직무소진의 관련성과 미묘한 차별과 직무소진의 관계 안에 존재하는 심리적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환경적인 어려움으로 볼 수 있는 미묘한 성차별 경험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경로에 있어 자기침묵과 외로움을 통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을 설정하여 모형의 적합성과 각 변인들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이공계 학과를 졸업하고 이공계 기업에 종사하는 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283명의 여성들을 모집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침묵과 외로움은 미묘한 성차별과 직무소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미묘한 성차별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자기침묵과 외로움을 더 크게 인식하게 되며, 이를 통해 직무소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기침묵과 외로움의 경로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자기침묵과 외로움의 관계는 자기자비 수준에 따라 달라짐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미묘한 성차별이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자기침묵과 외로움을 통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 및 상담실제에 대한 함의를 논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nection between microaggression and burnout in women who work in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ender-microaggression experiences on burnout, developed a model of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on this path via self-silencing and loneliness, and examined the fitness of the model and connections among the variables. A convenience sample of 283 women who had graduated from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departments, and were working in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fields was recruited. The findings showed that self-silencing and loneliness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 between gender-microaggression and burnout. The study then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found that it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path of self-silencing and loneliness. Finally, self-compassion significantly moderated the effects of gender-microaggression on burnout via self-silencing and loneliness.

대학생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인 믿음과 진로불안의 관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의해 조절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매개효과
오영아(가톨릭대학교) ; 정남운(가톨릭대학교) pp.851-874 https://doi.org/10.23844/kjcp.2022.08.34.3.8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당한 세상에 대한 개인적인 믿음(BJW-self)과 진로불안 간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갖는지 조절된 매개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강원, 대구, 경상도 지역 소재 11개 대학의 학부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최종 301부를 가지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BJW-self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불안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BJW-self와 진로불안 간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BJW-self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조절효과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낮거나 평균 수준일 때만 나타났다. 넷째, BJW-self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을 통해 진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효과 또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낮거나 평균 수준일 때에 유의미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intolerance of uncertaint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 in a just world for self (BJW-self) and career anxiety,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CDMSE). A survey was conducted on undergraduate students from 11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 Gangwon, Daegu, and Gyeongsang-do of South Korea, and the data from 301 respondents was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tolerance of uncertain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JW-self and career anxiety. Additionally, CDMSE moderated the impact of BJW-self on intolerance of uncertainty, but only at high or average levels of CDMSE. Finally, CDMSE had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n the path from BJW-self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to career anxiety, and this effect was also significant only when CDMSE was low or average.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발달장애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적극적 대처가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 소극적 대처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미희(계명대학교) ; 최가희(계명대학교) pp.875-896 https://doi.org/10.23844/kjcp.2022.08.34.3.87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적극적 대처의 매개를 통해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소극적 대처가 조절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발달장애인 부모 307명이 양육부담감 척도, 장애수용 척도, 스트레스 대처양식 척도를 포함한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44명의 자료를 제외한 후 263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극적 대처는 양육스트레스와 장애수용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극적 대처는 양육스트레스와 적극적 대처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양육스트레스가 적극적 대처를 통해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소극적 대처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적극적 대처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소극적 대처가 적극적 대처를 촉진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발달장애인 부모의 장애수용 증진을 위한 치료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assive coping on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ing stress, active coping and disability acceptance. 307 parent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ponded to an online survey that included the Parenting Stress Scale, Disability Acceptance Scale, and Stress Coping Scale. After eliminating inattentive responses, data from 263 parents were used to analyz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First, active cop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isability acceptance. Second, passive coping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active coping. Third, passive coping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active coping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isability acceptance.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active coping in understanding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disability acceptance.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passive coping suggested that it has a beneficial impact on facilitating parents’ acceptance of their children’s disability.

아동기 신체학대와 자살의 관계에서 PTSD 증상, 우울 및 사회적 지지의 영향
권애란(초당대학교) ; 홍창희(부산대학교) pp.897-929 https://doi.org/10.23844/kjcp.2022.08.34.3.89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 신체학대의 심각성에 주목하여, 아동기 신체학대, PTSD 증상, 우울, 자살 및 사회적 지지가 포함된 모형을 제시하고, 관련된 변인 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알아보는 데 있다. 성인 남녀 222명(남자 80명, 여자 142명)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국판 아동기 외상 질문지, 자살생각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체크리스트, 병원 불안-우울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이중 매개효과,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PTSD 증상 및 우울은 아동기 신체학대와 자살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다음으로 사회적 지지는 아동기 신체학대와 PTSD 증상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지는 아동기 신체학대, PTSD 증상, 우울 및 자살의 관계에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일반인의 아동기 신체학대, PTSD 증상, 우울, 자살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살펴본 최초의 시도이며, 자살과 PTSD 증상의 보호 요인으로서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확인한 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횡단 자료를 바탕으로 진행되었기에 변인 간의 인과성을 확정 지을 수 없다는 제한점이 있다. 지속적인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며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망을 확장하는 것은 아동기 신체학대 피해자의 PTSD 및 자살 예방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이라고 할 수 있다.

Abstract

The study presented an integrated model that includes childhood physical abuse, PTSD symptoms,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social support,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Two hundred and twenty two healthy individuals (80 males and 142 females) completed the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Scale for Suicidal Ideation, PTSD checklist-5, Hospital Anxiety-Depression Scale and DUKE-UNC Functional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To test the hypothesized model, this study examined the multiple mediation effect, moderation effec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PTSD symptoms and depress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physical abuse and suicidal ideation. Futhermore, the moderation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physical abuse and PTSD symptoms. Finall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among childhood physical abuse, PTSD symptom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To our knowledge,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childhood physical abuse, PTSD symptom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as a protective factor. However,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causalit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based on cross-sectional data. Providing ongoing social support and expanding positive social networks are important steps in preventing PTSD and suicide in childhood physical abuse victims.

중년기 성인이 인식하는 자기이해에 대한 개념도 연구
최규하(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 주영아(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pp.931-951 https://doi.org/10.23844/kjcp.2022.08.34.3.93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성인이 인식하고 있는 자기이해가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그 개념적 구조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념도 방법을 사용하였다. 13명의 중년기 성인을 인터뷰하여 중년기 자기이해에 관한 아이디어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68개의 최종 진술문을 도출하였다. 진술문에 대한 참여자들의 유사도 분류 자료를 기초로 다차원 척도 분석 및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년기 자기이해는 ‘근원/내재적-환경/외재적’ 축과 ‘관계/맥락적-현실적’ 축의 두 차원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관계 맥락의 인식과 예측’, ‘타인과 삶에 대한 조망 확대’, ‘삶의 태도 자각’, ‘중년기 위기감 수용’, ‘삶의 유한함 자각’, ‘삶의 변화에 대한 적응’, ‘진정한 자기에 대한 인식’의 총 7개 군집으로 나타났다. 각 군집에 대한 중요도 평정 결과 중년기 성인들은 ‘진정한 자기에 대한 인식’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개념도 방법을 통해 우리나라 중년 성인들의 중년기 자기이해에 대한 인식의 내용과 차원 그리고 구성요소를 그들의 고유한 시각에서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ual structure and content of self-understanding held by Korean middle-aged adults. From the interviews with thirteen middle-aged adults, 68 final statements were derived. The self-understanding of middle-aged adults had two dimensions: ‘original/internal- environment/external’ and ‘relational/contextual-realistic’. Seven clusters, including ‘Recognition and prediction of relational context’, ‘Expanding perspectives on other people and life’, ‘Awareness of the attitude of life’, ‘Acceptance of middle-aged sense of crisis’, ‘Awareness of the finiteness of life’, ‘Adaptation to changes in life’, and ‘Awareness of true self,’ emerged. The importance ratings of each cluster confirmed that middle-aged adults consider ‘Awareness of true self’ the most importa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e contents, dimensions, and components of middle-aged Koreans' self-understanding as perceived from their own perspective through the concept mapping method.

출소자의 아동기 가족구조와 현재 가족 연결 여부에 따른 주관적 가족 경험 및 심리기능의 차이
양모현(성균관대학교) ; 박효은(성균관대학교 외상심리건강연구소) ; 이동훈(성균관대학교) pp.953-975 https://doi.org/10.23844/kjcp.2022.08.34.3.95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출소자를 대상으로 양친의 양육 여부와 현재 가족과의 연결 여부에 따라 주관적 가족 경험과 심리기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의 숙식 지원을 받는 출소자를 대상으로 자기보고 설문지를 실시한 자료를 사용하여 2차 분석하였으며, 주관적 가족 경험에 대한 분석은 281명, 심리기능에 대한 분석은 487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주관적 가족 경험은 가족의 지지, 아버지 애착, 어머니 애착, 아동기 학대 외상 경험으로 측정하였다. 심리기능은 공감 능력, 자아 탄력성, 자활 의지, 스트레스 대처방식으로 측정하였다.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과 연결되고 양친에게 양육된 출소자 집단은 양친과 분리되어 양육되었거나 현재 가족과 단절된 출소자 집단에 비해 공감능력,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 자아탄력성, 자활 의지 등의 심리적 기능이 더 높고, 아동기 학대 경험이 적으며, 부모에 대한 애착이 컸다. 본 연구는 출소자의 성장환경과 가족과의 연결이 가족에 대한 주관적 지각 외에도 다양한 심리적 자원 및 스트레스 대처 능력과 관련됨을 보여주었다는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ubjective family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function according to whether former prisoners were raised by parents and are currently connected with their family. Subjective family experiences included experiences of family support, parent attachment, and childhood abuse. Psychological functions included empathy, ego-resilience, will for self sufficiency, and stress coping strategy. According to MANOVA results, former prisoners who are currently connected to their family and were raised by parents have higher psychological functions, less experience of childhood abuse, and more parent attachment than those who have lost contact with their family or were not raised by par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at former prisoners’ connection with their family in the present and in childhood is related to various psychological resources in addition to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ir family.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