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은 기혼여성의 성역할 특성과 스트레스 지각을 조사하고 성역할 특성이 기혼여성의 스트레스 지각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어떤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두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성역할 특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전업주부, 취업주부, 사회교육참여주부 집단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성역할 특성과 스트레스 지각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가? 조사대상은 전업 주부집단 105명, 취업 주부집단 110명, 사회교육참여 주부집단 115명으로 구분하여 303부가 자료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역할 특성은 세 집단에 따라서 의미있는 차이가 없으며 전체 조사 대상자의 성역할 특성은 미분화가 가장 많았다. 둘째, 스트레스 지각은 사회교육참여 주부집단에서 의미 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집단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는데 사회교육참여 주부집단이 조력추구, 문제해결, 소망적사고 대처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성역할 특성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의미있게 나타났는데 양성성집단이 문제해 결과 문제회피 대처방식을, 미분화집단은 정서적완화 대처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다섯째, 스트레스를 많이 지각한 집단은 정서적완화와 조력추구 대처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여섯째, 스트레스 지각정도는 성역할 특성에 따라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arried women's sex role characteristics and stress perception and to study influence of the sex role char act eris tecs on stress perception and the coping styles for stress. For this purpose, two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sex role characteristics and the coping styles for stress among three groups (housewives, working women and women participating in social educational institutes)? Second, do the sex role characteristics and strees perception make any difference in coping styles for stress? The subjects consisted of housewives(105), working women(110), and women participating in social educational institutes(115).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X², ANOVA and Factor analysis. The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ree groups did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educational institutes (PSEI) showed highest degree of stress perception. Third, in the coping styles for stress partial significant differenece was revealed among three groups. Especially the group participating in social educational institutes used mainly help by the family members or others, solving problems for themselves and wishing for more good circumstances as their coing styles. The coping styles for stress were partially related to the sex role characteristics. The main coping styles 'the androgynous group used' were solving and avoiding problems for themselves and 'the differentially functioning group' used mainly the coping styles of easing strained emotion. The group which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stress perception used mainly the coping styles of easing strained emotion and helping by family members or others. Defference in degree of strees perception was not significant among the types of sex role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