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88
본 연구는 동료 상담을 위한 이론적 근거 및 타당성 있는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동료 상담자 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개발된 프로그램의 평가에 촛점을 두고 살펴본 것이다. 본 프로그램 개발에는 선행 연구 이외에 현장 욕구 조사 및 상담 사례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걸쳐 개발된 프로그램의 특징은 10명 내외의 소집단 지도 형태로, 경청, 관심기울이기, 공감, 질문, 진실성 등 대인관계에서의 의사소통 능력 기술 배양을 주 목적으로 하며, 생도들의 주요 갈등인 선후배 관계, 이성 교제, 진로, 생활 적용 등의 사례를 가지고 총 20시간의 훈련을 통해 실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용성을 진단하기 위한 프로그램 평가는 공군사관학교 3학년 생도를 대상으로 유사 실험적인 훈련장면에서 이루어졌다. 평가의 목적은 개발된 프로그램이 동료 상담자로서의 자질 함양에 얼마나 적합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가와, 동료 상담자 훈련이 생도 집단 응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추론하는 데 있었다. 이러한 평가 결과 피훈련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은 훈련 후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고, 모의 내담자에 의한 상담자 평가에서 훈련 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호감적으로 평가되었으며, 자아개념은 9개 하위 요인 중 자아 수용만이 훈련 후 의미있는 향상을 보였고, 생도 집단 응집력은 전 중대에 걸쳐 훈련 후 급격히 감소했다가 추수 측정시 사전과 같온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용성 및 한계면에서 집중적으로 논의되었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의 내용 및 평가 방법상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 개발에서 평가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담관련 프로그램을 위한 하나의 모델이 될 수 있으며, 개발된 동료 상담자 훈련 프로그램 및 여기에 수반된 훈련 자료는 동료 상담자 뿐 아니라 초보적인 상담 실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배양을 위한 훈련 과정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pply theoretical bases and training materials for peer counseling. The study is composed of two parts : a discuss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peer counselor training program and the evaluation. To develop the peer counselor training program for cadets, a review of former studies, an assessment of needs, and an analysis of counseling cases were carried out. The charateristics of this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purpose is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in human relations, which include listening, attending, emphathy, questioning, and genuineness. Second, these skills are designed for the practical cases, which mainly concentrate on senior-junior relations, sex, career, and adaptation, all of which cause major conflicts for cadets. Third, this program is suitable for a small group of about 10, and it needs 20 hours of train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evaluated through the pseudo- training experiment in which the subjects were cadets of the 3rd year in the Air Force Academy. In the evaluation, the emphasis was put on whether the program was helpful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peer counselors and on what effects the peer counselor training has on the group cohesion of cade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communication skills, counselor attitude, and self-acceptance of the trained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the training. However, cadet group cohesion decreased sharply in the post evaluation in both groups, but was restored to the previous level in the follow-up evaluation. This peer counselor training program and relevant material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for the training of beginner counselors. Despite some limitations, this study presents a systematic process of peer counselor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It is expected, therefore, that this study could provide a model for developing relevant counseling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