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정보 시대의 교육과 윤리

Education and Ethics in Information Age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07, v.38 no.4, pp.3-17
https://doi.org/10.16981/kliss.38.4.200712.3
고영만 (성균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정보시대에 들어오면서 사회적 정보문제와 개인적 정보문제, 그리고 정보화에 따른 실체 손실과 경험의 이차화 현상들이 점점 심화되고 있다. 정보교육 또는 정보문해 교육은 변증법적 관점에서 볼 때 정보시대에 들어오면서 자각되어 드러난 갈등들을 통일적인 합으로 나아가게 만드는 중요한 문화적 중재 매체이다. 본 연구는 2001년 발표된 졸고 “정보교육의 문화적 담론”에서 제기 되었던 개인적 정보문제와 사회적 정보문제의 변증법적 해석을 기초로 거시적인 교육 이니셔티브와 정보윤리 문제를 다루었다. 거시적 교육 이니셔티브와 관련해서는 다양한 교육기관과 교육시스템에 요구되는 정보접근성을 위한 교육기회의 균등 문제와 정보문해 교육을 위한 과제가 논의되었다. 정보윤리와 관련해서는 정보의 생산과 사용 측면에서의 정보윤리와 이에 대한 교육적 책임을 다루었다.

keywords
Information Problem, Information Ethics,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Transparency, Dialectic, Information Problem, Information Ethics,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Transparency, Dialectic, 정보문제, 정보윤리, 정보문해, 정보의 투명성, 변증법

Abstract

In information age, information problems are continuously differentiated either in individual or in social domain. The danger of reality lost is also day by day increased by digital media and the changes happen at too fast pace. Form the dialect point of view, the education of information literacy is a very important cultural media to arbitrate the conflict between the reasonable solution of the individual information problem and the social information problem. This study is an attempt to discuss the macroscopic initiative of educational system and information ethics on the basis of the dialectic interpretation of the cultural discourse of the information literacy.

keywords
Information Problem, Information Ethics,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Transparency, Dialectic, Information Problem, Information Ethics,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Transparency, Dialectic, 정보문제, 정보윤리, 정보문해, 정보의 투명성, 변증법

참고문헌

1.

고영만, (2001) 정보교육의 문화적 담론, 한국문헌정보학회지

2.

고영만, (2005) 정보문해 교육과 사서교사의 협동수업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

3.

김성은 ; 이명희, (2006)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교수학습모형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비블리아

4.

민혜령, (2002) 정보소양 통합교육이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5.

한윤옥, (1995) 학교도서관의 협동교수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6.

함명식, (2003) 사서교사의 협동수업 모형 개발과 과정에 관한 3단계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7.

British Columbia Teacher-Librarians Asso, (2001) The Ethics of Information Use - A Teachers' Guide, School Libraries in Canada

8.

Gesprächskreis Informatik, (1999) Informationskultur für die Informationsgesellschaft - Anforderungen an Politik, Wirtschaft, Wissenschaft und Gesellschaft, Berlin; BMBF.

9.

Habermas, J, (1981) Theorie des kommunikativen Handelns. 2, Bd. Frankfurt a.M. ; Suhrkamp

10.

Hegel, G. W. F, (1991) Enzyklopädie der philosophischen Wissenschaften Ⅰ, 6te Auflage, Frankfurt a.M. ; Suhrkamp

11.

Informationswissenschaft Düsseldorf, nformationskultur - Diskussionsergebnisse eines Seminars im Sommersemester 1996 an der Heinrich-Heine-Universität Düsseldorf im Fach Informationswissenschaft,

12.

Loertscher, D. V and Wool, B, The Information Literacy Movement of the School Library Media Field: a Preliminary summary of the Research,

13.

Manuel, K, Information Ethics,

14.

Wersig, G, (1983) Die Gefahr des Realitätsverlustes :Informatisierung und Gesellschaft, München, NY, London, Paris ; KG Saur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