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의 가치는 구성원의 신뢰를 형성하고 참여를 활성화한다. 따라서 전통적인 도서관 가치인 접근성과 지원 이외에 학교도서관의 새로운 핵심 가치를 찾는 활동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적인 학교도서관 기준의 사명과 비전의 중심 단어를 분석하고 교육, 협동, 접근성, 문화적 소양, 민주시민 등 5개 영역의 핵심 가치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미국, 호주, 영국, 캐나다 학교도서관 기준의 사명과 비전을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평생학습능력과 물리적 접근성 그리고 사회적 책임감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에 학교도서관 기준을 개정한 영국과 미국은 정보공학기술과 다중 정보활용능력 그리고 통합 정보활용교육과정 운영을 강조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핵심 가치는 국내 학교도서관의 사명과 비전을 수립할 때 방향 설정과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values of a organization generate belief and activate participation of community member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find new core values of the school library in addition to access and assistance which are the library's traditional values. This study analyzed the central keywords in the contents of mission and vision appeared in the International School Library Standards and acquired core values being composed of 5 fields such as education, collaboration, access, cultural awareness and sensitivity, and democratic citizenship. As a result of analyses of missions and visions in America, Australia, UK, and Canada School Library Standards, it seems that life-long learning skills, physical access and social responsibility are common core values. America and UK School Library Standards which were revised recently are underlining technology skills, multiple literacies and integrated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particularly. Ultimately, these core values will be utilized as the directions and basic materials for the establishment of missions and visions for the school library in Korea.
Peter Hernon and Ellen Altman, Assessing Service Quality : Satisfying the Expectations of Library Customers : 이은철 옮김, 도서관 서비스 품질관리론 : 고객만족을 위한 도서관 경영(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01), p.83.
Blanche Woolls and David Loertscher, The Whole School Library Handbook(Chicago :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05), p.1.
한국. 교육인적자원부, 서울특별시교육청, 학교도서관 운영 편람(서울 : 서울특별시교육청, 2003), p.6.
차미경, 김선애, 심효정, 박홍석, 도서관 활성화 2단계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서울 :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p.66.
이희수, 학교도서관 활성화 대책 수립 계획 연구(서울 : 교육인적자원부, 2002), pp.35-36.
변우열,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 평가(서울 : 교육인적자원부, 2003), pp.46-51.
학교도서관교육과정위원회,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 교육과정 기준, 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1997.
송기호, “학교도서관 컨설팅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사서교사 미배치 학교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0권, 제2호(2009), p.336.
조윤희, “사명, 비전을 통해서 본 대학도서관의 핵심 가치,”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9권, 제4호(2005), p.73.
곽동철, “도서관의 사명 및 이상 수립에 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7권, 제2호(2003), pp.271-275
Emanuel T. Prostano and Joyce S. Prostano. The School Library Media Center, 5th. ed.(Englewood : Libraries Unlimited, 1999), pp.22-23.
유네스코 21세기 세계교육위원회, 21세기 교육을 위한 새로운 관점과 전망: 유네스코 21세기 세계교육위원회 종합보고서, 김용주, 김제웅, 정두용, 천세영 옮김(서울 : 오름, 1997), pp.125-143. 제5장 교육의 네 기둥을 요약정리 함.
한국. 교육인적자원부, 초․중등학교교육과정(서울 : 교육인적자원부, 2007), pp.3-5.
윤재홍, 안기명, 안영면, 현대 경영학 원론, 개정판(서울 : 박영사, 2004), pp.237-238.
이순자, 도서관․정보센터경영론(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1997), p.86.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hip(IASL), Policy Statement on School Library. 1993. <http://www.iasl-slo.org/policysl.html> [cited. 2009. 7. 1], 번역 자료는 이병기. 학교도서관 경영 통론(고양 : 조은글터, 2008) 부록3을 활용할 수 있음.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IFLA) and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UNESCO). School Library Manifesto. 1998. <http://www.ifls.org/VII/s11/pubs/ manifesto-kr.pdf> [cited. 2009. 7. 1]. 번역 자료는 이병기. 학교도서관 경영 통론(고양 : 조은글터, 2008) 부록 1을 활용할 수 있음.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IFLA) and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UNESCO). School Library Guidelines. 2002. <http://www.ifla.org/VII/s11/pubs/ sguide02.pdf> [cited. 2009. 7. 1]. 번역 자료는 이병기. 학교도서관 경영 통론(고양 : 조은글터, 2008) 부록2를 활용할 수 있음.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School Library & Resource Center(Paris : OECD, 2001), pp.120-130. 한상완 등, 지식기반사회의 학교도서관 정책 방향 : 학교도서관 기본 계획 검토 작업단 구성․운영(서울 : 교육인적자원부, 2002), pp.80-81에서 재인용.
한국도서관협회 도서관기준작성특별위원회, 한국도서관기준(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03), pp.71-72.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AASL) and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AECT), Information Power : Building Partnerships for Learning(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998), p.1. 이 책의 국내 번역본은 김병주, 정보의 힘: 학교도서관을 위한 협동 체제 구축(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04)이 있음.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AASL),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Chicago :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07), <http://www.ala.org/aasl/standards> [cited. 2009. 7. 1].
Australian School Library Association(ASLA). <http://asla.org.au/policy/> [cited. 2009. 8. 1].
Australian School Library Association(ASLA). Statement on school libraries in Australia. 2001. <http://asla.org.au/policy/school.libraries.Australia.htm> [cited. 2009. 7. 1].
Australian School Library Association(ASLA). Policy Statement : School Library Bill of Rights. 2000. <http://asla.org.au/policy/p_bor.htm#TopOfPage> [cited. 2009. 7. 1].
Chartered Institute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CILIP), Primary school library guidelines. (London : CILIP, 2002). <http://www.cilip.org.uk/specialinterestgroups/bysubject/youth/publications/youngpeople/primaryguidelines.htm> [cited. 2009. 8. 2].
Chartered Institute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CILIP), CILIP’s new Guidelines for Secondary School Libraries(London : CILIP, 2006). <http://www.cilip.org.uk/publications/updatemagazine/archive/archive2004/september/article2.htm> [cited. 2009. 8. 2].
School Library Association(SLA). School Library Purpose. 2009. <http://www.sla.org.uk/pol-school-library-purpose.php> [cited. 2009. 8. 1].
Canadian Library Association(CLA). Position Statement on Effective SchoolLibrary Programs in Canada. 2000. <http://www.cla.ca> [cited. 2009. 8. 1].
곽철완, 최재황, “미국 학교도서관 발전에 있어서 연방 법률과 학교도서관 기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9권, 제2호(2008), pp.109-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