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사서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orean Teacher Librarians' Perception of Expertise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09, v.40 no.3, pp.249-270
https://doi.org/10.16981/kliss.40.3.200909.249
김성준 (전주여자고등학교 사서교사)

초록

우리나라 사서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서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사서교사는 양성과정에서 정보관리와 관련된 전문성에 대해서 많은 교육을 받지만, 현장에서는 학교도서관 교육 및 경영과 관련된 전문성을 보다 중요하게 평가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서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교원자격검정령의 개정, 사서교사 선발제도 개선, 현직연수 강화를 제안하였다.

keywords
School Library, Teacher Librarian, Teacher Librarian’ Expertise, Role Perception,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사서교사 전문성, 사서교사 전문성 인식, 사서교사 역할 인식, School Library, Teacher Librarian, Teacher Librarian’ Expertise, Role Perception

Abstract

This study is to search Korean teacher librarians' perception level of expertise and to grope for effective alternatives to promote their expertise, based on it. The result is as follows: Although Korean teacher librarians were well-educated on the information management and its related expertise, they consider that, in site, the expertise on school library education and its management is more important.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e law amendment of training teacher librarians, and the improvement of their selection system and in-service training.

keywords
School Library, Teacher Librarian, Teacher Librarian’ Expertise, Role Perception,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사서교사 전문성, 사서교사 전문성 인식, 사서교사 역할 인식, School Library, Teacher Librarian, Teacher Librarian’ Expertise, Role Perception

참고문헌

1.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기준(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03), pp.84-88.

2.

IFLA & UNESCO, The IFLA/UNESCO School Library Guidelines, 2002, p.13.

3.

<http://www.ifla.org/VII/s11/pubs/sguide02.pdf> [cited 2009. 6. 16].

4.

AASL & AECT, 정보의 힘, 김병주 역(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04), pp.19-22.

5.

Barbara K. Stripling, “Quality in School Library Media Programs: Focus on Learning,” Library Trends, Vol.44, No.3(Winter 1996), p.633.

6.

D. Neuman, The Library Media Center: Touchstone for Instructional Design and Technology in The Schools, 1991, p.499. <http://www.aect.org/edtech/18.pdf> [cited 2009. 8. 12].

7.

D. M. Shannon, The Education and Competencies of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2002. <http://www.ala.org/ala/aasl/aaslpubsandjournals/slmrb/slmrcontents/volume52002/shannon.cfm> [cited 2009. 8. 5].

8.

D. Ervin, The Effect of Experience, Educational Level and Subject Area on the Philosophical Acceptance, the Perceived Assumption and the Perceived Barriers to Implementation of the Instructional and Curricular Role of the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1989).

9.

I. Schon, “The Role of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s,” School Library Media Quarterly, Vol.19, No.4(Summer 1991), pp.228-233.

10.

A. McCracken,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s' Perceptions of Practice and Importance of Roles Described in Information Power, 2001.<http://www.ala.org/ala/mgrps/divs/aasl/aaslpubsandjournals/slmrb/slmrcontents/volume42001/mccracken.cfm> [cited 2009. 8. 12].

11.

안인자 등, 학교도서관 사서교사(사서) 직무분석(고양 :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2003).

12.

김종성, “학교도서관 영역 교과목 운용실태와 개선방향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5권, 제2호(2004. 6), pp.376-389.

13.

이병기,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조사와 양성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9권, 제1호(2008. 3), pp.51-72.

14.

ALA & AASL, ALA/AASL Standards: For Initial Programs for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Preparation, 2003, pp.10-24. <http://www.ala.org/ala/mgrps/divs/aasl/aasleducation/schoollibrarymed/ala-aasl_slms2003.pdf> [cited 2009. 7. 16].

1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학년도 개편 중등교사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 자격종별 「사서교사(2급)」의 교사자격기준 개발과 평가영역 상세화 연구(서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pp.27-28.

16.

교육과학기술부 교육통계서비스, <http://std.kedi.re.kr> [인용 2009. 7. 30].

1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전게서, pp.17-28.

18.

배병렬, LISREL 구조방정식모델(서울 : 청람, 2005), pp.393-394.

19.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α) 값이 0.50 정도이면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김계수, AMOS 16.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서울 : 한나래, 2007), p.157).

20.

김성준, 서진원, “우리나라 사서교사 양성현황과 수급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제39권, 제3호(2008. 9), pp.176-177.

21.

Ken Haycock, “Integrated Information Skills Instruction,” Emergency Librarian, Vol.25, No.2(Nov./Dec. 1997), p.29.

22.

한국도서관협회 학교도서관 교육과정위원회,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 교육과정 기준(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00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