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예비사서의 도서관실습을 위한 저널피드백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 Application of Journal Feedback Program in Pre-librarians' Library Field Experience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1, v.42 no.2, pp.277-297
https://doi.org/10.16981/kliss.42.2.201106.277
정종기 (경성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예비사서의 도서관실습 교과목에 적용할 저널피드백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로 적용해 봄으로써 도서관실습에 참여한 예비사서들의 저널피드백이 도서관실습에 도움이 되었는지를 탐색해보기 위한 것이다. 저널작성과 초록작성의 원리에 기초하여 저널피드백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실제 현장에 적용한 후 저널의 질적 수준 평가, 설문지 조사, 그리고 개별면담을 통해 효과 분석한 결과, 인지적 사고수준은 피드백이 일정한 수준이 경과한 후에 의미 있게 향상되었으며, 저널피드백 프로그램이 예비사서의 효과적인 도서관실습과 도서관 실습문제 해결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
도서관실습, 저널피드백, 저널작성, 예비사서, Library Field Experience, Journal Feedback, Journal Writing, Pre-Librarian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journal feedback program, based on the ways of writing journal and abstract, for applying it to the course of library field experience in the university, to apply this program to the course of library field experience, and to explor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after applying it to the course of the library field experience for pre-librarians and pre-teacher libraria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these: (1) The thinking level was increased after some feedbacks. (2) Journal feedback program was regarded to be necessary in the library field experience. (3) The program helped them to solve their problems in the course of the library field experience.

keywords
도서관실습, 저널피드백, 저널작성, 예비사서, Library Field Experience, Journal Feedback, Journal Writing, Pre-Librarian

참고문헌

1.

1) 구본영, “한국에 있어서 사서실습교육의 실태조사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10권, 제2호(1983), pp.3-37.

2.

2) 이만수, “문헌정보학 실습실의 교수매체센터화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4권, 제1호(2000), pp.265-292.

3.

이만수, “문헌정보학과 교육 실습실에 관한 이론적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3권, 제2호(2002), pp.188-209.

4.

3) 이승채, “문헌정보학교육을 위한 실습실 최소모형의 개발,” 도서관학논집, 제17권(1990), pp.175-210.

5.

4) 곽동철 등, 사서직원 자격요건 개정을 위한 기초연구(서울 : 문화체육관광부, 2008), pp.131-133.

6.

5) 노동조, “한국의 문헌정보학 교육을 위한 표준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4호(2009), p.465.

7.

6) D. J. Grogan, “Education for Librarianship: Some Persistent Issues,” Education for Information, Vol.25(2007), p.17.

8.

7) Beverly P. Lynch, “Library Education: Its Past, Its Present, Its Future,” Library Trends, Vol.56(2008), pp.931-953.

9.

8)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Guidelines for Professional Library/Information Educational Programs,” 2000, <http://www.ifla.org/VII/s23/bulletin/guidelines.htm> [cited 2011. 1. 18].

10.

9) Ione T. Damasco and Melanie J. McGurr, “A Survey of Cataloger Perspectives on Practicum Experience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Vol.45(2008), pp.43-64.

11.

13) 이종구, 김병기, “한국기업의 인턴사원제도의 사적 전개과정과 시대별 특성 비교분석에 관한 탐색적 연구,” 경영사학, 제48권(2008), p.261.

12.

14) J. Berlin, Rhetoric and reality: Writing instruction in American colleges(Carbondale :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87).

13.

15) Encarta World English Dictionary Encarta Home page, <http://encarta.msn.com/encnet/features/dictionary/DictionaryResults.aspx?lextype=3&search=journal> [cited 2011. 1. 19].

14.

16) G. Tompkins, Teaching writing: Balancing process and product, 3rd ed.(Columbus : Merrill, 2000).

15.

17) J. Berlin, op. cit., pp.23-35.

16.

18) 사공철 등 편, 문헌정보학사전(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1996), p.364.

17.

19) 김태수 등 편역, 초록작성지침(서울 : 문헌정보처리연구회, 1997), p.35.

18.

20) 노진영, 색인초록작성법(공주 : 공주대학교출판부, 2003), p.91.

19.

21) R. J. Marzano, 신 교육목표분류학의 설계, 강현석 등 역(서울 : 아카데미프레스, 2005), pp.151-18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