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들에 대해 20개 대학도서관 300명(266명 응답)의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응답자의 62.5%가 근골격계 질환 자각 증상을 호소하였다. 근골격계 증상의 요인들을 분석한 후, 각 부위별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즉, 목의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근무조건 만족도였으며, 근무 만족도가 높을수록 목 부위의 증상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깨부위의 증상에 대해서는 근무 만족도, 작업강도, 식사시간이 설명변수로 선택되었다. 식사시간이 불규칙적일수록, 작업강도가 높을수록, 근무 만족도가 낮을수록 증상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에서도 특히 근무 만족도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팔․팔꿈치에서는 숙련도가 설명변수로 선택되었으며, 업무 숙련도가 높을수록 증상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손가락․손목을 설명해주는 설명변수로는 업무 스트레스가 선택되었으며, 업무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증상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등·허리에서는 작업강도, 직장 만족도가 설명변수로 선택되었고, 작업강도가 높을수록, 직장 만족도가 낮을수록 증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무릎·다리의 경우 흡연여부가 선택되었으며 비흡연자일수록 증상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usculo-skeletal symtoms and working conditions of university library's librarians to search for the risk factors related to musculo-skeletal symptoms. The study subjects were 266 librarians who were working at 20 university libraries. A self-recording questionnaire was us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orking conditions, job intensity, job satisfaction and stress, education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nature of musculoskeletal symptom.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using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mplaint proportion of self-reported positive musculoskeletal symptoms was 62.5% and that of severe musculoskeletal symptoms was 26.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low satisfaction of working conditions, high job intensity, irregular mealtime, job stres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positive rat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reduce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and mitigating the job intensity.
1) 임덕순, 사서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분석연구 : 서울시내 종합대학 도서관을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도서관학과, 1985).
유인석, “대학도서관 사서직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1권, 제2호(1997), pp.7-33.
남궁성, 대학도서관 사서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998).
한계문,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사서들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0권, 제4호(1999), pp.163-181.
2) 山重壮一, “図書館職員の健康管理 : 安全衛生委員の立場から,” 図書館雑誌, Vol.98, No.11(2004. 11) pp.842-844.
3) 이혜은, 자동차부품 사업장 노동자의 구조조정에 의한 노동환경 변화 및 인간공학적 위험요인의 근골격계 질병과의 연관성(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4).
4) 김철호, 조선업 근로자의 근골격계증상 유병실태와 관련요인(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4).
5) 임은석, 지하철 차량 정비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조사 : 작업강도 변화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안전공학과, 2007).
6) 박정일 등, “여성 국제전화 교환원들에 있어서의 경견완 장애 : 1.자각적 증상,” 대한산업의학회지, 제1권, 제2호(1989), pp.141-150.
7) B. Bernard et al., “Job Task and Psychosocial Risk Factors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Newspaper Employees,”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and Health, Vol.20, No.6(1994), pp.417-426.
8) 권호장 등, “VDT 작업자에서 업무로 인한 정신 사회적 스트레스에 대한 인지가 근골격계 장애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제8권, 제3호(1996), pp.570-577.
박계열 등, “VDT 작업자의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제9권, 제1호(1997), pp.156-169.
Michael Smith. “Psychosocial Aspects of Working with Video Display Terminals(VDTs) and Employee Physical and Mental Health,” Ergonomics, Vol.40, No.10(Oct. 1997), pp.1002-1015.
9) 박수경 등, “미용사들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장애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제12권, 제3호(2000), pp.395-404.
10) 방성윤, 컴퓨터관련 전문직 종사자들의 근골격계 장애발생 및 그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0).
11) 채창호 등, “일부 출판업 VDT 작업자들의 근골격계 질환 자각 증상 호소율과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韓國의 産業醫學, 제42권, 제2호(2003), pp.67-75.
12) 문태석, 금융업종사자의 직업병실태와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 근골격계 질환을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2005).
13) 최원겸, 간호사의 근골격계 통증 특성(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05).
권윤아, 보건의료 종사자들의 근골격계 질환의 실태조사와 개선대책(석사학위논문, 서울산업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에너지안전공학과, 2009).
14) Vern Putz-Anderson ed., Cumulative Trauma Disorders: a Manual for Musculoskeletal Disease of the Upper Limbs(Bristol, PA : Taylor & Francis, 1994), pp.1-31.
15) 노동부, 근골격계 질환 예방업무 편람 : 노동부고시 제2000-2호(서울 : 노동부, 2004), p.5.
16) P. M. Bongers et al., “Psychosocial Factors at Work and Musculoskeletal Disease : a Review of Literature,”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 Health, Vol.19, No.4(1993), pp.297-312.
17) NIOSH,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Workplace Factor : A Critical Review of Epidemiologic Evidence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Neck, Upper Extremity, and Low Back(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97), <http://www.cdc.gov/niosh/pdfs/97-141.pdf> [cited 2011. 10. 5].
18) E. Viikari-Juntura and H. Riihiwaki, “New Avenes in Research on Musculoskeletal Disorders,”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 Health, Vol.25, No.6(1999), pp.564-568.
19) K. Fredriksson et al., “Work Environment and Neck and Shoulder Pain : The Influence of Exposure Time. Results from a Population Based Case-control Study,”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59, No.3(2002), pp.182-188.
20) 윤희윤, 대학도서관경영론, 완전개정판(대구 : 태일사, 2002), p.29.
21) 한국산업안전공단, 근골격계 부담작업 유해요인 조사지침 : KOSHA CODE H-30-2003(인천 : 한국산업안전공단,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