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도서관법」 및 「도서관법 시행령」에서는 지역 도서관 자료에 대한 통합적 관리의 책임을 ‘지역대표도서관'에 부과하고 있다. 이는 지역의 도서관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수장공간의 부족 문제를 ‘공동보존서고’의 설치를 통해 해결하도록 유인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실정법에 따라 지역대표도서관을 설립하였거나 지정하고 있는 광역자치단체에서는 빠른 시일 내에 공동보존서고의 건립과 운영을 위한 종합적인 계획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부산시’를 사례로 하여 도서관의 수장공간 부족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공동보존서고가 갖는 의미를 세밀히 검토하고, 공공도서관 중심의 ‘지역 거점형’ 공동보존서고의 건립 및 운영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부산시 공공도서관의 수장공간의 부족 정도를 객관적으로 산출하고, (2) 공동보존서고에 대한 부산시 공공도서관 사서와 이용자의 요구를 조사한 다음, (3) 국내외의 대표적인 공동보존서고 사례를 참조해 가면서 부산시에 가장 적합한 공동보존서고의 건립 및 운영(안)을 제안하였다.
According to the Korean Library Act, a regional representative library is fully responsible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all collections held by local libraries. It intends to resolve space problem for collections and to prepare room for new materials in local libraries. Under the Act, a regional representative library should make a plan for a regional repository library to accomodate overflows from local library collections as soon as possi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meanings of 'regional repository library' as a cooperative storage facility of local library collections, and to suggest the proper solutions for developing a regional repository library with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To the end, this study (1) examined the extent of space shortage in local libraries of Busan, (2) assessed the needs of both local libraries and library users for a regional repository library, and finally, (3) suggested the detailed procedure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nd managing a regional repository library in Busan metropolitan city.
강현민. “공공도서관협력망을 이용한 공동보존도서관 및 국가보존도서관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7권, 제1호(2006), pp.29-53.
곽동철. 대학도서관 공동보존서고 설치, 운영 및 국가대출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서울 : 교육인적자원부, 2006.
문헌정보학용어사전 편찬위원회. 문헌정보학 용어사전. 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10.
한국도서관협회 도서관기준작성특별위원회 편. 한국도서관기준. 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03.
신지연, 김유승. “지역대표도서관 중심의 공동보존도서관 설립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2권, 제3호(2011), pp.129-150.
윤희윤. 지역단위 공동보존서고 건립 타당성 연구. 서울 : 문화체육관광부, 2012.
이제환. 디지털시대의 도서관정보정책. 서울 : 한울아카데미, 2003.
조용완. “보존도서관 공동설립을 위한 연구.” 국립대학도서관보, 제21권(2003), pp.130-145.
Bridegam, Willis. “Print Preservation at the Local Level: The Five College Experience.” Library Collections, Acquisitions & Technical Services, Vol.28, No.1(2004). pp.29-38.
Henriksen, C. H. “The Danish Repository Library for Public Libraries.” Scandinavian Public Library Quarterly, Vol.25,No.2(1992), pp.21-24.
Kempf, Klaus. “Storage solutions in a co-operative library system: The case of Germany/Bavaria." Library Management, Vol.26, No.1(2005), pp.79-88.
Kohl, David F. “Paper and Digital Repositories in the United States.” Liber Quarterly, Vol.13(2003), pp.247-248.
Nitecki, Danuta and Curtis L. Kendrick. Library Off-Site Shelving: Guide for High-Density Facilities. Englewood, CO: Libraries Unlimited, 2001.
O'Connor, Steve, Andrew Wells, and Mel Colier. “A Study of Collaborative Storage of Library Resources.” Library Hi Tech, Vol.20, No.3(2002), pp. 258-269.
Payne, Lizanne. “Library Storage Facilities and the Future of Print Collections in North America.” OCLC Programs and Research (2007) <http://www.oclc.org/research/publications/library/2007/2007-01.pdf> [cited 2011. 12. 5]
Russell, Judith C.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federal depository libraries in the digital age." Against the Grain, Vol.22, No.5(2010), pp.32-36.
Seaman, Scott. “High-density off-site storage in North American research libraries", The 25th IATUL Annual Conference(May 30-June 3 2004), p.3. <http://www.iatul.org/doclibrary/public/Conf_Proceedings/2004/Scott20Seaman.pdf> [cited 2012. 1. 30]
Young, Heartsill. The ALA glossar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hicago : ALA,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