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교육청 공공도서관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경기도교육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Future Development for Public Libraries in Office of Education- Focusing on Public Libraries in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3, v.44 no.3, pp.183-209
https://doi.org/10.16981/kliss.44.3.201309.183
이상복 (대진대학교)
박옥남 (상명대학교)
배경재 (동덕여자대학교)
류주현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경기도교육청 공공도서관 정체성 확립 및 발전방안을 논의하고 이를 통해 교육특화형 공공도서관으로의 모형개발을 수립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교육청 도서관의 운영현황 및 학교도서관 지원체계를 분석하고 연구결과로 교육중심의 패러다임 전환, 학교도서관 지원과 평생교육영역의 구분 및 확대, 지역교육청 중심의 협의체 구성 및 역할정립, 공공도서관의 창의지성교육 공간으로의 변화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청과 지자체 소속 공공도서관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제시하고, 다른 지역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의 발전모형을 제시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공공도서관, 공공도서관 모형, 학교도서관, 교육청, 창의지성, Public libraries, Public library model, School libraries, Office of education, Creative and intellectual framework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model for public libraries in K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e study discusses identities and development strategies for public libraries. The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libraries as well as cooperative systems between public and school libraries. The study suggests education - centric paradigm, differentiation between school library support and lifelong education, establishment of council by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space changes for public libraries within the creative and intellectual framework. The study shares thoughts on identities of public libraries in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will be utilized as the model for future development for public libraries in other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keywords
공공도서관, 공공도서관 모형, 학교도서관, 교육청, 창의지성, Public libraries, Public library model, School libraries, Office of education, Creative and intellectual framework

참고문헌

1.

경기도교육청. 기초교양 창의지성 프로그램. 경기 : 경기도교육청, 2011.

2.

김지봉. “서울시 공공도서관 운영의 과제와 발전방향.” 디지털도서관, 제63권(2011), pp.3-46.

3.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 디지털자료실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 문화체육관광부, 2008.

4.

송기호, 이병기, 김도연, 소병문.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활성화 모델 개발 연구. 서울 : 국립중앙도서관, 2011.

5.

양승의,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협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6.

이병기. 학교도서관 중심의 정보매체와 교수매체론. 서울 : 조은글터, 2010. pp.89-93.

7.

장지숙, 송경진, 이진우, 차미경. “지방자치단체의 공공도서관 정책분석: 중장기 계획과 담당 조직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1권, 제2호(2010), pp.15-28.

8.

정미경, 남태우. “도서관 통합서비스 모델로서의 Information Commons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1권, 제4호(2007), pp.347-363.

9.

조성일. “공공도서관 현안과 과제: 교육청공공도서관의 미래.” 서울시도서관연구회, 제27권(2011), pp.113-123.

10.

차미경, 김선애, 심효정, 박홍석, 서민정, 임지영, 홍강표. 도서관 활성화 2단계 대책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서울 : 교육인적자원부, 2006. p.86.

11.

최문경.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상호협력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2.

한윤옥, 곽철완.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협력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5권, 제1호(2010), pp.337-357.

13.

허춘자. 학교도서관 지원 체제의 분석을 통한 협력 방안 연구: 경기도 공공도서관과 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4.

Donald R. The Information Commons Handbook. New York : Neal-Schuman Publishers, 2006. p.iii-iv.

15.

Learning Commons and Public Libraries. <http://www.slideshare.net/APierpaoli/the-informationlearning-commons-and-thepublic-library> [cited 2013. 5. 15].

16.

The Library as Places: Tales from the Community Learning Commons. <http://www.accessola2.com/superconference2012/1803-1.pdf> [cited 2013. 5. 1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