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공공도서관의 패싯 내비게이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eted Navig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4, v.45 no.1, pp.339-358
https://doi.org/10.16981/kliss.45.1.201403.339
유영준 (나사렛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영미권 공공도서관의 패싯 내비게이션 분석을 통해서 국내 공공도서관 이용자에게 적합한 패싯 내비게이션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국내 공공도서관 19개와 영미권 공공도서관 12개를 선정하여 패싯 내비게이션의 고유한 패싯들을 분석하였다. 국내 공공도서관의 패싯은 대학도서관의 패싯과 차이가 없었지만, 미국과 캐나다 공공도서관은 공공도서관만의 고유한 패싯을 포함하고 있었다. 그 패싯들은 이용자 계층, 문학형식, 유사자료추천(library list), 이용자 생성 태그, 이용자가 대출할 수 있는 도서와 도서관에서만 이용할 수 있는 도서, 온라인으로 접근할 수 있는 도서로 나누어서 제시하는 이용자의 사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패싯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패싯들을 통합서지용 KORMARC 008 부호화정보필드를 활용하여 국내 공공도서관에 적용함으로써,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 목록을 이용한 검색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Faceted navigation, Public library, Facet, Convenience in using catalog, Usability of library users, 패싯 내비게이션, 공공도서관, 패싯, 목록 사용에서의 편의성, 도서관 이용자의 사용성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nstruct faceted navigation useful for domestic users through analyzing English and North American public libraries’ faceted navigations. The 19 domestic libraries and the 12 foreign libraries has been chosen for analyzing their unique facets. Although the domestic libraries ‘facets had no differences to the domestic universities’ facets, the North American libraries have their unique facets. Those facets are target audience, genre, library list, user tags, and availability related facets and the facets are mainly to improve user’s usability in using library catalog. Adopting the facets in domestic public libraries by using Fixed-Length data elements of KORMARC, domestic public libraries will enhance usability of library users in retrieving library materials.

keywords
Faceted navigation, Public library, Facet, Convenience in using catalog, Usability of library users, 패싯 내비게이션, 공공도서관, 패싯, 목록 사용에서의 편의성, 도서관 이용자의 사용성

참고문헌

1.

구중억, 곽승진. “차세대OPAC의인터페이스와기능에관한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8권, 제2호(2010. 6), pp.61-88.

2.

도태현, 정영미. “대학도서관의차세대OPAC 기능채택과확산현황.”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 44권, 제2호(2013. 6), pp.197-215.

3.

박지영. “KDC 조기표를 이용한 국내서의 패싯 내비게이션 기능 개선 방안.” 한국비블리아학회지,제23권, 제1호(2012. 3), pp.47-63.

4.

심 경. “차세대도서관목록의사례: AquaBrowser,” 도서관문화, 제49권, 제10호(2008), pp.48-56.

5.

심 경. “차세대 도서관 목록의 사례: WorldCat Local.” 도서관문화, 제49권, 제11호(2008), pp.54-61.

6.

유영준. “차세대도서관목록에서의패싯내비게이션에관한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28권, 제3호 (2011. 9), pp.13-30.

7.

유영준. “국내 대학도서관 OPAC의 패싯 내비게이션 분석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30권,제2호(2013. 6), pp.189-205.

8.

윤정옥. “차세대 도서관 목록 사례의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1권, 제1호(2010. 3), pp.1-28.

9.

조미라, 오삼균. “패싯기반 네비게이션활용에 관한연구: 서울소재 대학도서관 홈페이지를중심으로.” 제19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0, pp.57-62.

10.

하은하, 이성숙. “공공도서관 OPAC 인터페이스의 발전방안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4권,제3호(2013. 9), pp.5-27.

11.

Hall, C. E. “Facet-based library catalogs: A survey of the landscape.” Proceedings of the 74th Annual Meeting of ASIS&T. (2011), New Orleans, Louisiana.

12.

Jennifer Bowen. “Metadata to support next-generation library resource discovery: Lessons from the eXtensible catalog.” Information Technology and Libraries, Vol.27, No.2(2008), pp.6-19.

13.

Kristin Antelman, Emily Lynema and Andrew K. Pace. “Toward a twenty-first century library catalog.” Information Technology and Libraries, Vol.25, No.3(2006), pp.128-139.

14.

Sharon Q. Yang and Melissa A. Hofmann. “Next generation or current generation?: A study of the OPACs of 260 academic libraries in the USA and Canada.” Library Hi Tech, Vol.29, No.2(2010), pp.266-300.

15.

Tanja Mercun and Maja Zumer. “New generation of catalogues for the new generation of users: A comparison of six library catalogues.” Electronic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s, Vol.42, No.3(2008), pp.243-26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