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트위터를 활용한 공공 정보서비스 연구 - 주요 광역도시 트위터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ublic Information Service using Twitter - Focused on Twitters of Major Metropolitans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5, v.46 no.1, pp.115-133
https://doi.org/10.16981/kliss.46.1.201503.115
김지현 (전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서울시와 지방 광역도시의 대표 트위터들에서 제공하는 공공정보의 내용을 심층 분석하고, 시민들의 질의와시 트위터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비교·분석하여 트위터를 통한 정보서비스에 대해 평가하였다. 주 연구방법은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사용하였으며, 6개 도시의 트위터(서울, 부산, 대구, 인천, 대전, 광주)에 게재되었던 석 달 동안의트윗 내용을 모두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트위터상의 정보게재에 대한 빈도수 분석에서 가장 많은 트윗을 게재한 도시는부산시였으며, 서울시는 URL링크를 활용한 트윗글 게재 수가 가장 높았다. 트위터에서 제공되는 공공정보에 대한내용분석 결과 가장 많이 제공되었던 정보는 시민의 생활 편의에 관련된 정보였으며, URL링크를 제공하는 트윗글또한 생활정보, 공모, 서비스 안내 순이었다. 시민들의 질의를 분석하였을 때, 시민들은 생활정보와 교통에 관련된더 많은 정보를 요구하였다. 끝으로 트위터를 통한 더 나은 공공 정보서비스를 위해 몇 가지의 의미있는 제안을 하였다.

keywords
정보서비스, 공공정보, 트위터, 내용분석, 정보제공, Information service, Public information, Tweeter, Content analysis, Providing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tents of twitters serviced by metropolitans and citizens’ questions to propose improvements. Using content analysis as a research method, this study recorded and analyzed all the tweets of six metropolitans (Seoul, Busan, Daegu, Incheon, Daejeon, Gwangju) for three months. As the results, the frequency analysis of tweets revealed that Busan posted more tweets than other cities, and Seoul posted the highest number of tweet using URL link.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frequently provided information from tweeters was about convenience of citizens living. Tweets using URL link were focused on information about citizen living, prize contest, and service announcement. Citizens had a request for information about their life and traffic. For public information service using tweeter in the future, this study provided several important suggestions.

keywords
정보서비스, 공공정보, 트위터, 내용분석, 정보제공, Information service, Public information, Tweeter, Content analysis, Providing information

참고문헌

1.

김유정, 조수선. 2012. 미디어 영역에서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연구동향 분석. 정보화정책 , 19(4): 3-26.

2.

김예린, 정영미. 2010. 마이크로 블로깅을 활용한 도서관 정보서비스 사례 분석: 트위터를 중심으로.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 2010년 8월 2일, 서울: 명지대학교, 81-88.

3.

김지은, 노영희. 2013. 도서관 SNS 마케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4(3), 157-180.

4.

김형아, 배광빈, 최봉. 2011. 서울시 트위터 네트워크의 구조 분석과 정책저 함의. 한국정책연구 , 11(2): 95-114.

5.

변회균, 조현양. 2013. 국내도서관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실태조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4(4): 255-270.

6.

신호경, 신지명, 이호. 2011.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의 정보공유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 42(1): 137-156.

7.

오의경. 2012. 트위터를 활용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방안. 정보관리연구 , 43(2): 133-150.

8.

이강호. 2010. 기업의 트위터 활용유형에 따른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기업경영연구 , 18(1):279-297.

9.

이원태, 차미영, 양해륜. 2011. 소셜미디어 유력자의 네트워크 특성. 언론정보연구 , 48(2): 44-79.

10.

이재진, 김우식. 1999. 공공정보자원의 민간 활용방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33(2): 185-202.

11.

장덕진 김기훈. 2011. 한국인 트위터 네트워크의 구조와 동화.언 론정 보연구 , 48(1): 59-86.

12.

장우영, 류석진. 2013. 소셜네트워크 캠페인의 정치적 효과: 19대 총선의 트위터 빅데이터 분석. 한국정치학회보 , 47(4): 193-213.

13.

조창환 외. 2011. 트위터 이용행태 분석: 이용자 영향력과 기업 이용형태를 중심으로. 광고연구 , 88(1): 98-126.

14.

조태종, 윤혜정, 이중정. 2012. 기업의 홍보 마케팅용 트위터의 리트윗 현황 분석: 이용자 특성과콘텐츠 속성을 중심으로. Information System Review , 14(1): 21-35.

15.

천대윤. 1984. 지혜정부론 . 서울: 선학사.

16.

최영균. 2010. 마케팅 툴로서 소셜미디어의 실제와 전략. 마케팅 , 44(8): 31-37.

17.

Cha, Meeyoung. et al. 2010. “Messuring User Influence in Twitter: The Million Follower Fallacy.”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AAAI Conference on Weblogs and Social Media, 4: 10-17.

18.

Diakopoulos, Nicholas A. and D. A. Shamma. 2010. “Characterizing Debate Performance via Aggregated Twitter Sentiment.”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1195-1198.

19.

Dickey, Michael. et al. 2007. “Do You Read Me?: Perspective Making and Perspective Taking in Chat Communication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8(1): 47-70.

20.

Golbeck, Jennifer, J. M. Grimes and A. Rogers. 2010. “Twitter Use by the U.S. Congres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1(8): 1612-1621.

21.

Heverin, Thomas and L. Zach. 2010. “Twitter for City Police Department Information Sharing.”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47(1): 1-7.

22.

Jansen, Bernard J. et al. 2009. “Twitter Power: Tweets as Electronic Word of Mouth.”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0(11): 2169-2188.

23.

Tumasjan, Andranik. et al. 2011. “Election Forecasts With Twitter: How 140 Characters reflect the political landscape.”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29(4): 402-41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