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치료는 문학을 통해 개인 욕구의 충족 및 건강한 심신을 이루게 할 뿐만 아니라 건강한 사회성원의 육성, 건전한여가문화의 창달로 인하여 결국 국민의 총체적인 복지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는 점에서 우리사회의 질적 발전을 위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의학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의학도서관의 독서치료 서비스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의학도서관의 독서치료 서비스의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의학도서관협의회 회원 도서관 중에서 의학도서관 57개를 대상으로사서 57명에게 독서치료 서비스에 대한 설문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의학도서관 사서들은 이용자를대상으로 독서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의학도서관의 독서치료 서비스 개발과 운영에 도움을 줄 것이다.
Bibliotherapy personal appetite through literature as well as physical and mental health while it also creates production of healthy society and healthy leisure. As a result, it might be an approach to qualitative development of our society in terms of being an effective tool to contribute to the overall welfare improvement of our n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urrent operation conditions of bibliotherapy services of medical libraries, to conduct survey on the librarians of perception about bibliotherapy services,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urvey, to provide basic data for bibliotherapy services of medical libraries. To do this, Analyses of questionnaires going out to 57 librarians of 57 medical libraries among the member libraries of the Korea Medical Library Associa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can be seen that the librarians in the medical libraries perceive highly of providing bibliotherapy services for the us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likely suggest the need to re-align or shift current bibliotherapy services.
강문국. 2006. 경남지역 개원 의사들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관련된 요인들 . 박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권덕화, 고효정. 2003. 종합병원 일반 간호사의 근무지 이동과 관련된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 간호행정학회지 , 9(1): 141-150.
김경채. 2005. 의학도서관의 독서치료 적용 가능성. 한국의학도서관 , 32(1-2): 39-52.
김수현 외. 2006. 일 의료기관 직원들의 지각된 스트레스, 생활습관 및 건강상태 지표.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17(3): 407-418.
김조자, 박지원. 1991. 간호사의 이직 결정과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 21(3):383-395.
김종연 외. 2004. 개원의사와 개원한의사의 전문직업성, 직무스트레스 및 직업만족도. 예방의학회지 , 37(1): 44-50.
김현희 외. 2004. 독서치료 . 서울: 학지사.
노동조, 김정아. 2010. 의학도서관 웹사이트의 콘텐츠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1(3): 45-56.
박종 외. 1998. 조선대학교 의과대학의 유급제도 개선을 위한 예비조사. 조선의대 논문집 , 23(1): 85-94.
박찬원. 1999. 의과대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 .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이연주. 2009. 의학도서관 이용자교육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이운우. 2005. 암이용자와 가족을 위한 독서치료 .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이학종. 1985. 조직행동 : 이론과 사례연구 . 서울: 세경사.
임성관. 2012. 독서치료 효과에 관한 실행연구 :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 증진을 중심으로 .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장귀녀. 1985. 도서관 봉사로서의 독서요법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도서관학과.
조두영. 1985. 임상행동과학 . 서울: 일조각.
조찬식, 한혜영. 2005. 웹페이지를 통한 의학도서관의 정보서비스 실태조사. 정보관리학회지 , 22(2): 87-101.
조찬식. 2006. 의학도서관의 경영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0(2): 263-280.
조화순. 2011. 의학도서관 이용자의 전자저널 이용행태와 서비스품질 지각 분석 : K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및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최영식. 2014. 대학 도서관에서의 독서치료 서비스 : H대학도서관 중심으로. 디지틀도서관 . 74:69-83.
한국의학도서관협회. 2005. 2005 회원현황 . 서울: 한국의학도서관협회.
한우석, 김재열. 2008. 의료기관평가가 병원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 21(6):2549-2580.
홍을표. 2007. 노인 정신 질환 치료를 위한 독서치료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고찰 . 석사학위논문, 포천중문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실버복지경영전공.
Ames, C. 1992. “Classrooms: Goals, Structures, and Student Motivation.”Journal of Education Psychology, 84(3): 261-271.
Crothers, S. M. 1916. A Literary Clinic, Atlantic Monthly. In M. T. Moody & H. K. Limper(1971). Bibliotherapy: Methods and materials.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Grander, D., Parzen, Z. D., & Stewart, N. 1980. “The Nurse's Dilemma: Mediating Stress in Critical Care Units.”Heart & Lung, 9(1): 103-106.
Guthrie, E. A. et al. 1998. “Embarking upon a Medical Career: Psychological Morbidity in First Year Medical Students.” Medical Education. 29(5): 337-341.
Hannigan, Margaret C. 도서관과 비부리오세라피. 유중희 역. 1964. 국회도서관보 , 1(3):133-139.
Hyness, A. M. and Hyness-Berry, M. 1994. Biblio/Poetry Therapy-The Interactive Process: A Handbook. St. Cloud., M, N: North Star Press of St. Cloud. Johnson, Barbara Coe. 1971. “Services an Intergrated Hospital Library Can and Cannot Provide.” ALA Bulletin, 65(9): 1295.
Karasek, R. A. Jr. 1979. “Job Demands, Job Decision Latitude and Mental Strain:Implications for Job Redesign.”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4: 285-308.
Khaleque, A., Siddique, A. B. 1984.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Shift Work. In: Atwood. D. A., McCann C.(eds) Proc. Int. Cong Occupational Ergonomics, Linzer, M. et al. 2002. “Physician Stress: Results from the Physician Worklife Study.” Stress and Health, 18: 37-42.
Muldary, T. W. 1983. “Burnout and Health Professional: Manifestation and Management.”Appletone-Century-Crofts. Norwalk: 34-50.
Sutherland, V. J. and Cooper, C. L. 1992. “Job Stress,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 Among General Practitioners before and After Introduction of New Contract.”British Medical Journal, 304: 1545-1548.
Tews, Ruth M. 1970. Progress in Bibliotherapy. In Advances in Librarianship, New York: Seminar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