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집단상담으로서 대학생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The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Bibliotherapy for University Students as a Group Psychotherapy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7, v.48 no.1, pp.291-318
https://doi.org/10.16981/kliss.48.1.201703.291
이현실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집단상담으로서 효과와 장점이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1) 집단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기존 집단상담의 장점을 포괄하고, 단점을 보완하는 안전한 치료방법임을 확인하였다. 2) 모방행동, 응집력, 현실수용에서 의미 있는 변화가 조사된 것은, 대학에서 진로를 주제로 하는 집단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3) 청년들의 암울한 현실에 비추어, 대학생들이 사랑을 논하고 연애에 소망을 드러낸 희망적 현상이 의미가 있었다. 독서치료에서 집단상담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독후 활동 방안 및 대학에 요구되는 특정 주제나 매체에 대해서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 널리 보급될 수 있는 접근하기 쉽고 전문적인 집단 독서치료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다.

keywords
대학생, 독서치료 프로그램, 독서요법, 집단상담, 치료요인, University students, Bibliotherapy program, Group psychotherapy, Therapeutic factors

Abstract

In this study, We found out that bibliotherapy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 has its strong point and effectivenes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follows: 1) bibliotherapy program is a safe method which covers the advantage of group psychotherapy and make up for the disadvantages. 2) significant changes in imitational behavior, cohesion and acceptance of reality suggest the necessity of bibliotherapy program that focuses on university career. 3) In light of the gloomy reality of young people, the fact that university students discuss love and hope for romance was meaningful phenomenon.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after reading activities that can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bibliotherapy program and the specific topics and media that is needed by universities. The study is an approach that is widely available in university and will be the first step to establish the professional direction for bibliotherapy program

keywords
대학생, 독서치료 프로그램, 독서요법, 집단상담, 치료요인, University students, Bibliotherapy program, Group psychotherapy, Therapeutic factors

참고문헌

1.

구자경, 장은정. 2016. 집단상담 참여경험에 나타난 대학생의 자아정체성 변화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청소년학연구 , 23(10): 155-180.

2.

김수경. 2008. 대학생을 위한 독서치료의 적용과 평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39(3): 213-245.

3.

김종성. 2013. 문헌정보학 분야 독서 연구의 경향과 과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4(3): 99-124.

4.

김창대, 권경인. 2000. 집단상담활동의 유형화 연구: 치료적 요인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 1(1):53-73.

5.

김현희 외. 2010. 상호작용을 통한 독서치료 . 서울: 학지사.

6.

다음백과 홈페이지.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47XXXXXXXd20> [인용 2017. 2. 20].

7.

박민근. 2016. 치유의 독서: 심리학과 철학이 만나 삶을 바꾸는 지혜 . 서울: 와이즈베리.

8.

박연주, 유형근. 2012. 고등학생의 분노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청소년상담연구 , 20(2): 295-314.

9.

서기자. 2012.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적 적용. 문학치료연구 , 25: 76-101.

10.

양명숙 외. 2013. 상담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11.

오현숙. 2008. 대학생이 지각하는 취업전망, 영역별 삶의 목표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 14(4): 19-37.

12.

유동수. 2009. 집단상담에서의 변화원리와 상담자 역할. 한국독서치료학회 학술대회지 , 7:1-14.

13.

이명우. 2009. 독서자료를 활용한 독서치료 사례개념화 집단교육 프로그램: 인지행동주의 접근으로. 한국독서치료학회 학술대회지 , 7: 39-56.

14.

이승채. 2014. 대학생 행복지수 제고를 위한 독서치료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ˑ정보학회지 , 45(4): 391-408.

15.

이현림, 김순미, 천미숙. 2007. 집단상담의 이론과 실제 . 파주: 양서원.

16.

이현림, 이혜경, 배강대. 2005. 독서 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인간관계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 6(4): 1245-1260.

17.

전국재, 우영숙. 2009. 놀이로 하는 집단상담 . 서울: 시그마프레스.

18.

정춘순. 2012. 대인관계가 어려운 기독청년들의 집단 독서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23(3): 239-280.

19.

황금숙. 2005. 외국 독서치료 연구동향 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39(2): 305-320.

20.

Barlow, Sally H. and Gary M. Burlingame. 2006. “Essential Theory, process, and procedures for successful group psychotherapy: Group cohesion as exemplar.” Journal of Contemporary Psychotherapy, 36: 107-112.

21.

Bate, Jonathan and Andrew Schuman. 2006. “The art of medicine, Books do furnish a mind: the art and science of bibliotherapy.” The Lancet, 387: 742-743.

22.

Bibliotherapy Fact Sheet. 1982. Urbana, IL: ERIC Clearinghouse on Reading and Communication Skills.

23.

Corey, Marianne Schneider and Gerald Corey. 2003.『집단상담 : 과정과 실제』5판. 김명권 외역. 서울 : 시그마프레스.

24.

Eliasa, Eva Imania and Sri Iswant. 2014. “Bibliotherapy with the career topic to increase the student’s career motivation of guidance and counseling.”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 114: 434-438.

25.

Leader, Elaine. 1991. “Why Adolescent Group Therapy?.”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group therapy, 1(2): 81-92.

26.

Pehrsson, Dale E. and P. McMillen. 2005. “A bibliotherapy evaluation tool: grounding counselors in the therapeutic use of literature.” The art in psychotherapy, 32:47-59.

27.

Sandahl, Christer and Annika Lindgren. 2006. “Focused group therapy: An integrative approach.” Journal of Contemporary Psychotherapy, 36:113-119.

28.

Shechtman, Z and M. Ben-David 1999. “Individual and group psychotherapy or childhood aggression: A comparison of outcomes and process.” Group Dynamics, 3(4): 263-274.

29.

Weinstein, Deborah. 1987. “Self psychology and group therapy.” Group, 11(3): 144-154.

30.

Yalom Irvin D. 1993. 집단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 제4판. 최혜림, 장성숙 옮김. 서울: 하나의학사.

31.

Yalom Irvin D. 2005. 집단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 제5판. 최혜림, 장성숙 옮김. 서울: 하나의학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