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국내대학의 학술논문 연구업적평가기준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Universities’ Journal Publication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Standard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7, v.48 no.2, pp.295-322
https://doi.org/10.16981/kliss.48.2.201706.295
이혜경
Yang, Kiduk (경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보다 효율적이고 균일하게 교원의 연구업적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현재 국내 대학의 교원업적평가기준과 한국연구재단의 연구업적평가기준, 그리고 여러 계량서지학 지표를 비교하여 국내의 교원연구업적평가 방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국내 대학 27곳의 교원업적평가기준과 한국연구재단 연구업적평가기준을 수집하였으며, 183명의 국내 문헌정보학과 교수의 2001년부터 2015년 사이 발표된 학술논문 3,863편과 16,978건의 인용을 수집하였다. 이를 토대로 우선 현재 시행중인 국내 대학의 연구업적평가지표들을 비교 한 후, 대학지표들과 저자기여도 산정식을 가중한 계량서지학적 지표들을 수집한 데이터에 적용하여 산출한 저자와 대학별 순위들을 분석하였다. 국내 대학의 연구업적평가지표는 연구업적의 생산성과 영향성을 고루 평가하고자 하였으나, h-index처럼 이와 유사한 계량서지학 지표와 다른 평가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평가지표가 평가결과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keywords
업적평가, 계량서지학, 연구업적, Performance evaluation, Bibliometrics, Research performance

Abstract

As a first step in developing a more effective and robust approach to faculty research performance assessment, this study analyzed the existing faculty research assessment methods by comparing Korean universities’ research evaluation standards,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s (KRF) standard for assessing research proposals, and various bibliometric measures. The study data included research evaluation standards of KRF along with 27 Korean universities with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department, and the publication data of 183 LIS faculties in Korean universities from 2001 to 2015, which consisted of 3,863 papers 16,978 citations. After the comparative analysis of research evaluation standards, the study examined the rankings of institutions and faculty produced by applying the collected standards and bibliometric metrics to the publication data. The study showed that Korean university standards for research evaluation, which aim to consider both productivity and impact of faculty research, differ from similar bibliometric measures such as h-index, and the difference could significantly impact the assessment of faculty research performance

keywords
업적평가, 계량서지학, 연구업적, Performance evaluation, Bibliometrics, Research performance

참고문헌

1.

김동노, 이민행, 박태균. 2006. 인문학 분야 교수 연구업적 평가안 개발. 교육평가연구 , 19(3):1-20.

2.

김두범. 1996. 교수업적평가제의 분석적 접근. 한국여성교양학회지 , 3: 13-29.

3.

김왕준, 윤홍주, 나민주. 2012. 국립대학 교수업적평가 관련규정 비교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 29(1): 143-165.

4.

김판준. 2011. 연구 성과평가와 연구정보서비스의 연계를 위한 기초 연구: 과학기술 분야 연구개발 사업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 28(4): 243-261.

5.

남은경, 박지홍. 2014. 연구자 협업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계량정보학 분야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 31(4): 201-227.

6.

손정표. 2003. 한국의 문헌정보학분야의 연구동향 분석: 1957∼2002. 한국도서관·정보관리학회지 , 34(3): 9-32.

7.

오세훈. 2005. 우리나라 문헌정보학 학술지 논문 및 인용문헌 분석을 통한 연구동향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 22(3): 379-408.

8.

왕상한. 2012. 국내외 대학의 교수업적평가 사례 분석 연구 . 교육과학기술부.

9.

유소영 등. 2015. 연구성과평가 지침 리뷰 및 국내 적용 제안을 위한 고찰. 정보관리학회지 , 32(4): 249-272.

10.

윤석경. 1996. 연구업적 평가를 위한 인용분석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 7:155-177.

11.

윤희윤, 김신영. 2005. 학술지 영향계수와 연구업적 평가비중의 상관성 분석. 정보관리연구 , 36(3): 1-25.

12.

이재윤. 2006. 연구성과 측정을 위한 h-지수의 개량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 223(3):167-186.

13.

이종욱, 양기덕. 2011. 교수연구업적 평가법의 계량적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 28(4): 119-140.

14.

이현청, 나민주. 1995. 대학교수 업적평가의 운영체제와 평가기준. 한국고등교육연구 , 7(1):133-154.

15.

정연경, 최윤경. 2011. 인문,사회과학 분야 교수의 연구업적물 평가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 42(3): 211-233.

16.

정진식. 2001. 한국문헌정보학분야의 연구동향 분석: 1996∼200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35(3): 58-78.

17.

정진식. 2009. 교수연구업적 평가분석(문헌정보학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0(2): 129-142.

18.

조수련. 2006. 오픈엑세스 자원의 논문 및 저자 연구업적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9.

최기석. 2004. A대학교 교수 연구업적평가제도에 대한 사례연구 .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20.

Birnholtz, J. P. 2007. “When Do Researchers Collaborate? Toward a Model of Collaboration Propensity.”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8(14):2226-2239

21.

Cronin, B. and Meho, L. 2006. “Using h-index to rank influential information Scientist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7(9):1275-1278.

22.

Drott, M. C. 1995. “Reexamining the role of conference papers in scholarly communic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of Technology, 46(4): 299-305

23.

Egghe, L. 2006. “An improvement of the h-index: the g-index.” ISSI newsletter, 2(1):8-9.

24.

Hagen, N. T. 2008. “Harmonic allocation of authorship credit: Source-level correction of bibliometric bias assures accurate publication and citation analysis.” PLoS One, 3(12): e4021.

25.

K. Yang and Lee J. 2013. “Bibliometric Approach to Research Assessment: Publication Count, Citation Count, & Author Rank.”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1(1): 27-41.

26.

Katz J. S. and Martin, B. R. 1997. “What is research collaboration?” Research Policy, 26: 1-18.

27.

Lee, J. and K. Yang. 2015. “Co-authorship Credit Allocation Methods in the Assessment of Citation Impact of Chemistry Facul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49(3): 273-289.

28.

Lee, J. Y. and Chung. E. 2014. “A Comparative Analysis on Multiple Authorship Counting for Author Co-citation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2): 57-77.

29.

Lisee C., Lariviere V., and Archambault, E. 2008. “Conference proceeding as a source of Scientific information: A bibliometric 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9(11): 1776-1784.

30.

Meho L. and Yang, K. 2007. “Impact of data sources on citation counts and rankings of LIS faculty: Web of Science versus Scopus and Google scholar.”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8(13): 2105-2125.

31.

Seglen, P. O. 1997. “Why the impact factor of journals should not be used for evaluating research.” British Medical Journal, 314: 498-502.

32.

Vinkler, P. 1993. “Research contribution, authorship and team cooperativeness.” Scientometrics, 26(1):213-230.

33.

Vinkler, P. 2000. “Evaluation of the publication activity of research teams by means of Scientometric indicators.” Current Science, 79(5): 602-61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