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학교도서관에 대한 초·중등 학생의 장소성 형성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ceness Forma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School Librarie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7, v.48 no.2, pp.73-97
https://doi.org/10.16981/kliss.48.2.201706.73
이병기 (공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학교도서관은 공간임과 동시에 장소이다. 가정과 집의 개념이 다르듯이 공간은 물리적 형태를 말하고, 장소는 각 개개인의 경험에 의한 주관적 개념이다. 초·중·고 학생은 사회적, 인지적 발달단계가 다르기 때문에 학교도서관에 대한 느낌 즉, 장소성이 다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중·고 학생 간에 장소성 형성요인에 대한 차이를 규명하고, 이 장소성이 장소애착과 장소가치인식을 매개로 하여 학교도서관을 이용하고자 하는 행동의도로 이어지는지 그 과정을 검증하였다. 590명의 초·중·고 학생들로부터 수집한 설문 데이터는 SPSS 19와 AMOS 19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물리적 요소, 활동·행태적 요소,, 심리적 요소 모두 초·중·고 학생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장소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초등학생은 중학생과 고등학생에 비해 물리적 요소, 활동·행태적 요소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고 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장소성은 장소애착, 장소가치인식을 매개로 하여 학교도서관을 이용하려는 행동의도로 연결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학교도서관,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장소성, 장소성 형성, School library,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ary school students, Placeness, Placeness formulation

Abstract

School Library is both a space and a place. The difference between space and place is the same as in the difference between house and home. Space may be described in terms of physical shape. Place is concept that formulated by personal experience. The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al stag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different, so the placeness or sense of place may be differ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differenc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and examine the process that those factors are connected to the results of the user behavioral intentions through the medium of place attachment, place value perception. The data are collected from 590 students and analyzed by SPSS 19 and AMOS 19.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hysical, active·behavior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ffect on placeness forma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school librari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significantly affected more by physical factors, active·behavioral factors th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confirmed the process that those factors are connected to the results of the user behavior through the medium of place attachment, place value perception.

keywords
학교도서관,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장소성, 장소성 형성, School library,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ary school students, Placeness, Placeness formulation

참고문헌

1.

강도원, 최창규. 2012. 방문자 특성에 따른 장소성 인식과 행동의도와의 인과구조 분석. 국토계획 , 47(3): 363-379.

2.

김미영, 문정민. 2013. 장소성 형성의 공간구현 전략과 실행요소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22(6): 190-198.

3.

김민숙, 2007. 대형할인점 실내공간의 장소성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 석사학위 논문,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실내설계전공

4.

김혜영, 김세준. 2014. 박물관의 장소성 형성요인이 장소애착과 장소가치인식,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예술경영연구 , (30): 185-217.

5.

백선혜. 2004. 소도시의 문화예술축제 도입과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 대한지리학회지 , 39(6):888-906.

6.

은연정, 김시중. 2010. 인사동문화지구의 장소마케팅이 방문객 만족 및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 국토지리학회지 , 44(3): 415-425.

7.

이경화 외. 2009. 교육심리학 . 서울: 교육과학사.

8.

이남휘, 최창규. 2011. 장소성 형성요인간의 인과구조 실증적 분석. 국토계획 , 46(3): 19-36.

9.

이민아. 2015. 내가 사는 이곳은 장소(Place)인가? 공간(Space)인가?. 황룡닷컴 홈페이지 <http://www.hwangryong.com/news/articleView.html?idxno=2332> [인용 2017. 3. 24].

10.

이정미, 곽동화, 천혜선. 2010. 어린이 도서관에 있어서 장소성 구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5): 198-208.

11.

이정호. 2011.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의 장소애착이 장소가치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5(4): 209-234.

12.

이정호. 2012. 공공도서관의 장소성 형성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3(3):253-278.

13.

차미경. 2006. 유비쿼터스 시대 도서관 공간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17(1): 325-343.

14.

최막중, 김미옥. 2001. 장소성의 형성요인과 경제적 가치에 관한 실증 분석. 국토계획 , 36(2):153-162.

15.

한범수, 김희영, 박상훈. 2008. 문화관광 콘텐츠의 네트워크를 통한 장소성 강화. 서울도시연구 , 9(4): 3-22.

16.

홍경구. 2009. 주제가로의 장소성 형성요인이 장소선택에 미치는 영향.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25(1): 255-262.

17.

Bennett, Scott. 2003. Libraries Designed for Learning. Washington, D.C.: Council on Library and Information Resources.

18.

Bennett, Scott et al. 2005. Library as Place: Rethinking Roles, Rethinking Space. Washington, D.C.: Council on Library and Information Resources.

19.

Bosser, Jacques. 2003. The Most Beautiful Libraries in the World. New York: Abrams Publisher.

20.

Burger, Leslie. 2007. Heart of the Community: The Libraries We Love. Great Barrington, MA: Berkshire Publishing Group.

21.

Buschman, John E., Gloria J. Leckie. 2007. The Library as Place: History, Community, and Culture. Westport, Connecticut: Libraries Unlimited.

22.

Elmborg, James. 2011. “Libraries as the Spaces Between Us: Recognizing and Valuing the Third Space.” Reference & User Services Quarterly, 50(4): 338-350.

23.

Greene, T. C. 1996. Cognition and the Management of Place. In Nature and the Human Sprit edited by B. Driver. Pa: Venture Publishing.

24.

Guiliani, M. V., and R. Feldman. 1993. “Place Attachment in a Developmental and Cultural Context.”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3: 267 74. –

25.

Hart, R. A., G. Moore. 1973. The Development of Spatial Cognition. Chicago: Aldine.

26.

IFLA School Libraries Section Standing Committee. 2015. IFLA School Library Guidelines. Den Haag, Netherlands: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27.

Jackson, Heather Lea and Trudi B. Hahn. 2011. “Serving Higher Education’s Highest Goals: Assessment of the Academic Library as Place.” College & Research Libraries, 72(5): 428 42. –

28.

Mathwick, C., N. K. Malhotra and E. Rigdon. 2001. “Experiential value,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application in the catalog and internet shopping environment.” Journal of Retailing, 77: 39-56.

29.

Moore, R. L. and A. R. Graefe. 1994. “Attachments to Recreation Settings: The Case of Rail-Trail Users.” Leisure Sciences, 16: 17-31.

30.

Proshansky, H. M., A. K. Fabian and R. Kaminoff. 1983. “Place Identity: Physical World Socialization of the Self.”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3(1): 57-83.

31.

Relph, Edward. 1976. Place and Placelessness. London: Pion Limited.

32.

Tuan, Yi-Fu. 1977. Space and Place.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33.

Steele, Fritz. 1981. The Sense of Place. Boston, CBI Pub Co.

34.

Weise, Frieda. 2004. “Being there: the library as place.” Journal of Medical Libraries Association, 92(1): 6 1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