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선거정보의 페이크뉴스에 대한 유권자 인식 분석 연구 - 제19대 대통령선거 정보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Voters’ Awareness on Fake News related to Elections - Focused on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Data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7, v.48 no.3, pp.113-130
https://doi.org/10.16981/kliss.48.3.201709.113
이종문 (경성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제19대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 선거정보의 페이크뉴스에 대한 유권자 인식을 분석하여 문제를 파악,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전체 응답자 128명(남자 53명, 여자 75명)을 대상으로 분석결과, 첫째 응답자의 99.2(127명)가 선거 정보를 접해본 경험이 있었으며, 주로 방송(77.2%)과 스마트폰(70.9%), 인터넷(63.8%), 신문 32.3%(41명) 등의 순으로 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자의 87.4%가 선거정보가 투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들 모두가 보통 이상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셋째 19대 대통령선거에서 후보자들이 주장했던 선거정보를 표집하여 제시한 후 팩트 인식을 분석한 결과, 연령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Scheffé 사후검증 결과 30-40대가 20대에 비해 팩트 인식 평균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을 토대로 선거정보의 사전 등록제도 및 검증제도를 법제화, 시스템화 할 것,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각 선거조직별로 선거정보 조사분석위원회를 설치하여, 상시적으로 선거정보를 조사 분석하여 팩트성을 유권자인 국민에게 알릴 것 등을 제언하였다.

keywords
선거정보, 페이크뉴스, 팩트뉴스, 대통령선거, 선거 미디어, Election information, Fake news, Fact news, Presidential election, Election media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approaches to improve the voters' awareness by analyzing the voters' awareness on the fake news related to the elections and identifying the problems with the focus on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on the data from 128 respondents (53 male and 75 female respondents), the 99.2% (127 respondents) of respondents had informations on elections mainly through broadcasting(77.2%), smart phone(70.9%), Internet(63.8%) and newspapers 32.3% which accounts for 41 respondents) in that sequence. Next, the 87.4% of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informations on elections had more impact on their voting than the generally expected degree. Meanwhile, the voters' awareness on the facts was analyzed by collecting and presenting the information on elections which stated by candidates in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there w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per age groups. The Scheffe test indicated that the respondents in 30s to 40s had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awareness than those in 20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t was proposed that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install the election information investigation and analysis committee in the election organization, investigate and analyze the election informations each election for providing real facts to the public, the voters.

keywords
선거정보, 페이크뉴스, 팩트뉴스, 대통령선거, 선거 미디어, Election information, Fake news, Fact news, Presidential election, Election media

참고문헌

1.

강미은. 2008. 인터넷매체 선거보도심의의 법제도적 기준과 적용에 관한 연구. 정보법학 , 12(1): 1-29.

2.

김유향. 2016. 미 대선 시기 가짜뉴스(fake news) 관련 논란과 의미. 이슈와 논점 , 1242:1-4.

3.

네이버 홈페이지.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66539&cid=43667&categoryId=43667> [인용 2017. 5. 7].

4.

[카드뉴스] SNU팩트체크, 숫자로 본 19대 대통령 선거. 서울대학교언론정보연구소 홈페이지. <http://factcheck.snu.ac.kr/documents/40> [인용 2017. 6. 5].

5.

유세경. 1997. 텔레비전과 정치. 관훈저널 , (65): 50-61.

6.

유현종. 2008. 선거에서 정보환경이 유권자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정치학회보 , 42(4): 155-188.

7.

이세진. 2016. 선거에서 지식수준과 정보탐색유형이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과학연구 , 29(1): 153-185.

8.

이재진. 2017. 가짜뉴스 문제점과 대응 방안. 한국기자협회 토론회 , 2017년 2월 23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

9.

이정미. 2017. 정치적 의사결정이 필요한 선거기간동안 대학생의 정보 탐색 및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8(1): 293-315.

10.

장우영. 2008. 인터넷과 선거 캠페인: 17대 대선 UCC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42(2): 171-201.

11.

조희정 외. 2014. 지방선거 후보자의 제공 정보와 홍보 연구: 제6회 지방선거 광역시의원 후보의 선거공보를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보 , 24(3): 293-317.

12.

동아시아연구원 편. 2010. 유권자 투표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제5회 지방선거 사례를 중심으로 . 서울: 동연구원.

13.

최영묵. 2003. 제16대 대통령 선거보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언론중재, 23(1): 45-59.

14.

한국방송개발원 편. 1998. 방송과 정치: 선거방송연구 . 서울: 동연구원. 98-13.

15.

황용석. 2012. 인터넷 포털의 선거정보 서비스의 자율규제 방향.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세미나 . 2012년 2월 8일. 서울: 국회의원회관. 15-35. <http://onlinead.or.kr/wp-content/uploads/2014/02/120208> [인용 2017. 6. 5].

16.

Soda 홈페이지. 페이스북의 가짜 뉴스, 미 대선에 영향을 미쳤나. <http://soda.donga.com/Main/3/all/37/781323/1> [인용 2017. 5. 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