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Determinant Factors of Media in Solving Performance Assessment Task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7, v.48 no.3, pp.131-152
https://doi.org/10.16981/kliss.48.3.201709.131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richness, media usefulness, media experience and media decision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that determine the media of school library in solving performance evaluation tasks. For this purpose, 132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and their structural equation was set up by hypothesis setting, validity test, and causal model.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media experience of school library is a major factor in media decision. Also, media richness and media experience appeared to influence media decision through media usefulness. The analysis implies that school library is centered on teaching - learning process and evaluation, so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school curriculum and school library is required to provide students experience on media as the center of school education.

keywords
매체 결정, 학교도서관, 수행평가, 정보활용교육, Media decision, School library, Performance assessment, Information literacy

Reference

1.

고재천. 2006. 초등교사의 수행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대응. 아동교육 , 15(3): 83-99.

2.

구철모, 정수현, 전유희. 2009. 매체이론 관점을 통해 휴대전화 커뮤니케이션 효과 분석.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605-624.

3.

권대훈. 2005. 교육평가 . 서울: 학지사.

4.

권혁일. 2002. 수행평가를 위한 교육공학적 접근: 웹 기반 전자포트폴리오 개발. 교육공학연구 , 18(1): 51-78.

5.

김은미. 2006. 휴대전화 문자메시지의 이용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 50(2): 90-115.

6.

김은진. 2009. Web 2.0 환경에서의 미디어 특성과 지식 공유에 대한 실증적 연구: 블로그와 위키를 중심으로 .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7.

노철현. 2009. 수행평가의 타당성: 인식론적 재검토. 교육철학 , 46: 67-89.

8.

박도순, 홍후조. 2006.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 서울: 문음사.

9.

박정현, 김정군, 김종욱, 이희석. 2004. ASP 기반 정보시스템 성공 모형 도출: 소기업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경영정보학회 , 14(1): 43-58.

10.

배영이, 김영귀. 2002. 수행평가 실시에 따른 학교도서관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연구 , (7), 185-212.

11.

백순근. 1999. 수행평가의 이론적 기초. 초등교과교육연구 , 3: 26-49.

12.

부재율, 양길석. 1999. 수행평가의 개념과 양호도. 한국교육학연구 , 5(1,2): 119-140.

13.

서길수. 1998. 과업의 특성과 매체경험이 인지된 매체 풍요도와 사회적 존재성에 미치는 영향. 경영정보학연구 , 8(3): 119-134.

14.

송기호. 2003.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의 개선 방안.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14(2): 27-40.

15.

송기호. 2006. 학교도서관 교육의 실제 .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6.

송기호. 2007. 학교도서관 교육 활성화 전략으로서 통합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38(4): 87-116.

17.

양재호, 이현규, 서길수. 1999. 텍스트매체 사용에 있어서 매체경험이 매체 인지와 의사소통과정에 미치는 영향. 경영정보학연구 , 9(3): 1-23.

18.

원효헌. 2014. 성취평가 시행에 따른 수행평가 내실화 방안. 수산해양교육연구 , 26(1):203-213.

19.

유일, 신선진. 2006. 교수자 요인과 매체풍부성이 원격교육 학습자의 이용의도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보시스템연구 , 15(3): 35-53.

20.

이동진, 이상철, 서영호. 2013. 개인의 특성이 정보시스템 성공에 미치는 조절효과 분석. 한국품질경영학회 , 41(2): 277-288.

21.

이병기. 2003. 다중지능이론에 의한 학교도서관 정보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37(1): 43-60.

22.

이병기. 2006. 학교도서관 중심의 정보매체와 교수매체론 . 고양: 조은글터.

23.

이병기. 2011.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수행과제 개발 도구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2(4): 31-50.

24.

이승길. 2007. 사서교사의 정보활용능력이 도서관활용수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1(4): 161-180.

25.

이승길. 2008. 학교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학습 태도가 고등학생의 생애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2(4): 5-31.

26.

이지연. 2008. 예비교사를 위한 실제적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 서울 서현사.

27.

조영기, 김석우. 2007. 초등학교 수행평가 실시 현황 및 개선 방안: 부산시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평가연구 , 20(2): 77-99.

28.

최성환. 2009. 도서관발전우수사례: 수행평가 연계 도서관 활용수업 .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자료집 13.

29.

최수정, 강경준, 고일상. 2007. 이러닝시스템의 매체풍부성, 매체유용성, 매체경험이 학습자만족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 14(2):27-47.

30.

학교생활기록 작성 및 관리지침 훈령 일부 개정. 2016. 교육부 . 4월 5일.

31.

허경철. 1999. 교육과정과 수행평가. 초등교과교육연구 , 3: 1-25.

32.

현영란, 정소연. 2015. 매체통합 고전문학수업에서 매체풍부성과 매체경험이 매체유용성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6(4): 471-491.

33.

Carlson, J. R. & Robert W. Zmud. 1999. “Channel Expansion Theory and the Experential Nature of Media Richness Perceptions.” Th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2(2): 153-170.

34.

Clark, R. E. 1983. “Reconsidering research on learning from media.”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3(4), 445-459.

35.

Daft, R. L. & Robert H. Lengel. 1983. “Organization As Information Processiong System- Information Richness: A New Approach to managerial Behavior and Organization Design.” Office of Naval Research. TR-ONR-DG-02.

36.

Daft, R. L. & Robert H. Lengel. 1986. “Organizational Information Requirements, Media Richness and Structural Design.” Management Science, 32(5), 554-571.

37.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40.

38.

DeLone, W. H. & Ephraim R. McLean.. 1992. “Information systems success: The quest for the dependent variabl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3(1): 60-95.

39.

Fulk, J. Schmitz,, J. & Steinfield, C. 1990. “A Social Influence Model of Technology Use” In H, Fulk and C. Steinfield (Eds.), Organization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117-142.

40.

Herman, J. L., P. R. Aschbacher, & L. Winter. 1992. A practical guide to alternative assessment.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41.

IFLA, UNESCO. IFLA/UNESCO School Library Manifesto 1999. <http://www.unesco.org/webworld/libraries/manifestos/school_manifesto.html> [cited 2017. 7.11].

42.

Lengel, R. H.. & Richard L. Daft. 1984. “Organization As Information Processiong System- An Exploratory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wteen media Richness and Managerial information Processing.” Office of Naval Research. TR-ONRDG-08.

43.

Loertscher, D. V.. Taxonomies of the school library media program. 2000. <https://www.ala.org/ala/olos/olosprograms/preconferences/school_taxonomies.pdf> [cited 2017. 6. 13].

44.

Seddon, P. B. 1997. “A Respecification and Extension of the DeLone and Model of IS Succes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8(3): 240-253.

45.

Suzuki, K. 1995. “Various Factors Related to the Selection of Media for Instruction.” Research on Audio-Visual Education, 16: 1-10.

46.

Webster, J. & P. Hackley. 1997. “Teaching effectiveness in technology-mediated distance learn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0(6): 1282-1309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