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PBL교과수업과 학교도서관 LAI의 연계를 위한 기술적 분석 - PBL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criptive Analysis for Coordination of the School’s Library-Aided Instruction With the Problem-Based Learning in Korea School Libraries: Focusing on PBL Case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8, v.49 no.4, pp.167-185
https://doi.org/10.16981/kliss.49.4.201812.167
정종기 (경성대학교)

초록

연구의 목적은 PBL 수업과 관련된 사례 연구들을 조사·분석하여 도출된 기초자료를 근거로 PBL 수업과 연계하여 학교도서관의 도서관협력수업을 활성화시키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PBL 수업이 국내 초·중등교육 현장에 도입되어 사례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2000년대부터 2018년 현재까지 수행된 국내 PBL 관련 사례연구들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초·중·고등학교로 구분하여 대상학년, 교과목, 수업형태, 학습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원 종류, 협력수업 여부, 도서관협력수업 여부, 교육적 효과에 중점을 두고 조사·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PBL 사례연구가 가장 많이 실시된 학교급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순으로 많았으며 수업형태는 협력수업보다는 단독수업진행이 대부분이었다. PBL을 적용한 교과목계열은 자연과학, 인문사회, 예체능계열 순으로 많았으며 도서관과 협력하여 실행된 PBL수업은 저조하였다. PBL수업의 주된 교육적 효과로는 학업성취도, 만족도,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신장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초로 학교현장에서 도서관협력수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사서교사들의 적극적인 인식전환 뿐만 아니라 PBL수업에 집중하여 교과교사와 수업지도안 설계단계부터 평가에 이르기까지 협력하여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keywords
PBL, 문제해결학습, LAI, 도서관협력수업,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학교사서, PBL, Problem based learning, Library aided instruction, School library, Librarian teacher, School librari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ases related with PBL and to suggest the activation plan of LAI based on the derived results. The analysis objects were the PBL cases which have been performed from 2000 to 2018 in Korean schools. The PBL cases were analysed in the aspects of school levels, target grades, subject clusters, teaching patterns, information sources, cooperative teaching status, library cooperative teaching status, and educational effects. The results were like these; 1)The PBL was applied at the elementary schools the most, the next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2)The teaching pattern was the exclusive teaching the most, and the next pattern was team teaching with other teacher, and the lowest pattern was with librarian teacher. 3)The subject cluster was natural science cluster the most and the next was the human & social science cluster and the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cluster. 4)The PBL performed with school library was low. 5)The main effects of PBL were the improvements of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satisfaction degree, creative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As the results, it’s proposed that it’s important for librarian teachers to have the aggressive attitude for the activation of LAI as well as the cooperation with PBL subject teachers from the planning step to the evaluation.

keywords
PBL, 문제해결학습, LAI, 도서관협력수업,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학교사서, PBL, Problem based learning, Library aided instruction, School library, Librarian teacher, School librarian

참고문헌

1.

박인옥. 1999. 문제중심학습이 경제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합리적 소비’에 대한 효과를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양소라. 2009. 메타분석과 실증연구를 통한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 .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3.

이보라. 2008. 학교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교사인식에 관한 연구 .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사교육전공.

4.

이종두. 2000. 초등학교 수학과 PBL 설계 및 적용 사례: 지식 구성자로서의 학생과 그 과정에 나타난 수학적인 생각의 유형에 관한 연구 .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이영숙. 2008. 학교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교사인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문헌정보교육전공.

6.

AASL & AECT. 1988. Information Power: guidelines for school library media program. Chicago: ALA.

7.

Clark, L. H. & I. S. Starr. 1967. Secondary School Teaching Methods, 2nd ed(N. Y.: The MaCmillan Co), p.408.

8.

Delisle, R. 1997. How to use problem based learning in the classroom.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9.

Gallagher, S. A. Stepien. W. J. Sher, B. T. &Workman, D. 1995. “Implementing problem based learning in science classroom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5(3): 136-146.

10.

Haycock, Carol-Ann. 1988. Cooperative Program Planning : A Model that works. Emergency Librarian, 16(2): 34-48.

11.

Jonassen, D. H. 1997.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well-structured and ill-structured problem-solving learning outcomes.” ETR & D. 45(1): 65-94.

12.

Savery, J. R. & Duffy, T. M. 1995. “Problem based learning : An instructional model and its constructivist framework.” Educational Technology, 35: 31-38.

13.

Shaplin, J. T. , Team Teaching in R. Grossand, J. Murphy(eds.). 1964. The Revolution in the Schools, New York, Harcourt Brace & World Inc. p.9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