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전문도서관의 이슈와 정책제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ssues and Policy Proposals of Specialized Librarie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21, v.52 no.3, pp.129-155
https://doi.org/10.16981/kliss.52.3.202109.129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박양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문도서관에 대한 이슈화가 곧 전문도서관 발전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전문도서관에 대한 여러 가지 이슈에 대해서 언급하면서, 전문도서관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헌분석을 통해서 전문도서관과 관련된 문제점과 이슈를 도출하고, 이에 대해 사서들의 인식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기반으로 제시된 정책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종합발전계획에 전문도서관 발전계획과 관련된 부분이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우리나라 전문도서관 주제지도가 필요하다. 셋째, 전문도서관에 대한 구분을 기준으로 여러 개의 협의체를 구성해서 운영하는 것도 필요하다. 넷째, 전문도서관 사서의 직무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전문도서관이 수행할 수 있는 전문정보서비스가 개발될 필요도 있다. 여섯째, 전문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정보자원 중 국가자원으로서 보존가치가 있고 공유가능한 정보원을 통합적으로 구축하고 공동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전문도서관은 도서관 평가에 한 도서관도 빠짐없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문도서관 개선방안이 도출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여덟째, 전문도서관 우수사례집의 발간도 필요하다고 본다.

keywords
전문도서관 이슈, 정책제안, 활성화 방안, 전문도서관 발전방안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suggest the revitalization plans for specialized libraries by referring to various issues regarding specialized libraries in the sense that the issue of specialized libraries can soon become an opportunity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libraries. Through literature analysis, problems and issues related to specialized libraries were derived, and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was investigated through surveys. The policy directions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ibrary Development Plan' should strengthen the part related to the specialized library development plan. Second, topic maps for specialized libraries in Korea are needed.(Second, the topic map for specialized libraries in Korea is needed.) Third, it is also necessary to operate to configure multiple councils ba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pecialized library. Fourth, an analysis of the duties of specialized library librarians should be made. Fifth, professional information services that specialized libraries can perform need to be developed. Sixth, among the information resources owned by specialized libraries,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establish and jointly utilize information resources that are valuable and shareable as national resources. Seventh, specialized libraries should allow every library to participate in library evaluation, and make improvement plans for specialized librarie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Eighth, it is also necessary to publish a collection of best practices for specialized libraries.

keywords
전문도서관 이슈, 정책제안, 활성화 방안, 전문도서관 발전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