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공도서관은 지역주민의 지적 및 독서 활동을 위한 지식정보서비스, 문화향유 및 평생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서비스, 공동체 발전에 기여할 제3의 공간과 시설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충실한 인프라 구축을 전제로 사회적 요구가 적시에 반영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대구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공인통계에 근거하여 핵심지표 중심의 현황을 분석한 후 설문조사와 연계하여 보완 또는 주력해야 할 정책적 과제를 제안하였다. 그 결과, 전국 대비 대구시의 핵심지표는 제3의 대도시에 부합하지 않을 정도로 취약할 뿐만 아니라 기초자치단체별 편차도 상당히 심하였다. 그리고 대구 시민은 일상생활에서 공공도서관을 중시한 반면에 교통 불편, 필요한 자료 및 희망 프로그램 부족, 각종 규제의 순으로 불만족률이 높았다. 따라서 대구시는 자료구입비 증액과 신간 장서개발 강화, 전문사서 확충, 기초자치단체별 서비스 격차해소를 위한 공공도서관 건립 확대, 접근편의성 제고, 이용 저해요인 개선 등에 주력해야 한다. 그 외에 2024년 대구도서관 건립․운영을 계기로 공공도서관 운영시스템 구축, 다른 지식문화기관과의 상생협력을 통한 외연 확장 등을 통해 대구시 공공도서관을 발전시키고 시민을 위한 지식문화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
The purpose of all public libraries is to provide knowledge and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intellectual and reading activities of local residents, program services that provide opportunities for cultural enjoyment and lifelong learning, and third-party spaces and facilities tha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To this end, social needs must be reflected in a timely manner with the establishment of a sound infrastructure as a prerequisite.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centered on key indicators of the public libraries in Daegu City and presented policy issues that need to be improved through a survey. The key indicators in Daegu City, compared to the national average, were not only significantly weak for the 3rd largest city but also showed considerable vari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While Daegu citizens valued public libraries in their daily lives, the dissatisfaction rate was high in the order of transportation inconvenience, lack of necessary materials and desired programs, and various regulations. Therefore, Daegu City should focus on increasing the acquisition budget, strengthening the development of new book collections, expanding the number of librarians, expanding the construction of public libraries to address service disparities among local governments, improving accessibility, and addressing factors that hinder usage. In addition, with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Daegu Library in 2024,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an operational system for public libraries, expand the scope through collaborative partnerships with other knowledge and cultural institutions, and enhance knowledge and cultural services for the Daegu citiz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