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88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지지 자원인 부모의 지지와 그에 대한 근접성을 반영하는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가 대학생들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그 상호작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지방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남녀 대학생 756명으로, 부모의 지지 척도는 본 연구자가 번역,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는 부모가 있는 집으로부터의 거리가 얼마나 멀게 느껴지는가를 묻는 문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대학생의 적응 측정은 대학생 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적응 및 하위 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학년과 성별을 통제한 상태에서 부모의 지지는 전체 적응과 하위척도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는 전체 적응과 학업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지지와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간 상호작용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두 변인의 상하 집단을 구분하고 학년을 공변량으로 통제한 상태에서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변인의 주효과는 유의미하였으나 상호작용 효과는 의미있게 나타나지 않았다. 성별에 따라 부모의 지지와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가 대학생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효과가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남자 집단과 여자 집단을 분리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자 집단의 경우 부모의 지지는 전체 적응과 하위척도 모두에 영향을 미쳤고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는 개인-정서적 적응에만 영향을 미쳤으며, 여자 집단의 경우 역시 부모의 지지는 전체 적응과 하위척도 모두에 영향을 미쳤고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는 대학환경에의 적응을 제외한 전체 적응과 하위척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지지와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가 대학생들의 정신 건강 및 적응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며, 특히 여학생의 경우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수록 남학생보다 더 적응에 어려움을 겪게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support,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and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adjus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a recruited sample of 756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Moos & Moos's(1994) Life-Stressors and Social Resources Inventory-Youth Form was used to obtain a measure of parental support.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was measured by asking how far they currently reside from their home.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was measured by Baker & Siryk's(984)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All were administered by the author. and if necessary. translated into Korean. The result showed that when the effects of grade and gender were controlled. parental support was positively related total adjustment and all subscales. including academic. Social, personal-emotional. and institutional attachment. and the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was negatively related total adjustment. academic adjustment. and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Parental support might affect differently by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To. explore this possibility. I computed a two-way ANOVA. on psychological adjustment with controlling grade as covariance. Both parental support and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were significant indicators of psychological adjustment. but the interaction effect was not significant. To see the impact of parental support and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on psychological adjustment of male and female stud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applied to each group. In male group. parental support predicted total adjustment and all subscales significantly. and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predicted only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In female group. parental support predicted total adjustment and all subscales. and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predicted total adjustment and subareas except institutional attachmen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arental support and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are imperative to mental health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college students. The greater impact of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on psychological adjustment of female students illustrates that femal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have hardship when they can't receive immediate support from their parents than their male counterpa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