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요인에 관한 연구

초록

진로장벽(career barriers)은 여성의 진로선택 및 진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심리적 요인과 외적, 환경적 요인을 포괄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 개념으로 최근 들어서 주목받고 있다. 왜냐하면 여성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의 내용과 지각 정도에 따라 진로선택 및 진로결정과정이 달라질 수 있고, 여성의 진로장벽 대처방식도 달라지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여성을 위한 진로상담과정에서는 여성이 지각하고 있는 진로장벽의 내용과 지각 양상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진로 상담자들은 여성이 주로 지각하는 진로장벽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들을 구비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여성 특히, 직업선택과 진로준비라는 진로과업을 수행해야 하는 단계에 놓인 여자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하여, 여자대학생용 진로장벽검사를 개발하고, 그 요인구조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진로장벽에 관한 문헌 및 측정도구 분석, 대학생과 일반인 30명에 대한 면담, 대학생 260명에 대한 설문을 통해 진로장벽항목들을 추출하였으며, 이 항목들에 대한 전문가 평정과 예비 검사 문항분석을 거쳐 66문항의 예비검사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7점 척도로 제작된 예비 검사를 895명의 여자대학생에게 실시한 후 요인 분석을 통해 7개 요인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7개 요인은 차별, 직장생활에 필요한 개인특성의 부족, 다중 역할로 인한 갈등, 미결정 및 직업 준비 부족, 노동시장과 관습의 제약, 기대보다 낮은 직업 전망, 여성 취업에 대한 고정관념으로 명명되었다. 7개 요인의 신뢰도와 문항 타당도는 양호한 편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여자대학생의 진로선택에 미치는 내적, 외적 요인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개발된 진로장벽검사는 진로상담장면에서 여자대학생의 진로선택이나 결정과정에 미치는 진로장벽의 영향을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지각된 진로장벽, 진로상담, 여자대학생 진로장벽검사, 진로장벽 요인, career barriers, career guidances, career counseling, Career Barriers Inventory, female college students, career barriers, career guidances, career counseling, Career Barriers Inventory, female college students

Abstract

The aim of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 structure of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female college students. After developing the Career Barriers Inventory for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66 items, the inventory administered to 895 female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er di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viewed the Eigen value and scree test and did a priori factor analysis with 7 factor solution. The experts evaluated the content validity. After that, 9 items were deleted and 7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factor analysis. 7 factors are consists of 1) Discrimination, 2) Lack of personal quality 3) Multiple role conflicts, 4) Indecision and Occupational unpreperation, 5) Job market and Conventional constraints, 6) Low expectation of occupational prospect, 7) Stereotypes of Women employment. The factor structure were well reflected characteristics of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The reliability of factors and item-factor correlations were acceptable. In addition,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practical meanings were discussed.

keywords
지각된 진로장벽, 진로상담, 여자대학생 진로장벽검사, 진로장벽 요인, career barriers, career guidances, career counseling, Career Barriers Inventory, female college students, career barriers, career guidances, career counseling, Career Barriers Inventory, female college student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