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88
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 질문지(PQ)에서의 기능적/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에 대한 구분방법, 즉 PQ의 하위척도인 완벽주의 성향(PT)이 높은 집단을 완벽주의 집단으로 보고,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NC)가 높으면 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 부정적 결과(NC)가 낮으면 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으로 나누는 구분방법이 역기능적 집단의 적응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는 점에 이의를 제기하여, PT와 NC가 완벽주의의 긍정적/부정적 특성, 그리고 완벽주의의 동기적 속성과 어떠한 양상으로 연관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째로, 완벽주의의 긍정적/부정적 특성은 각각 완벽주의의 기능/역기능과 관련된다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Hewitt와 Flett(1991)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PS)를 준거로 하여, MPS에서 완벽주의의 ‘긍정적 성취욕구 요인’인 ‘자기지향 완벽성’과 ‘부정적 평가염려 요인’인 ‘사회부과 완벽성’이 완벽주의 성향(PT)과 부정적 결과(NC)와 어떠한 양상으로 연관되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둘째로, PQ에서의 기능/역기능과 관련된 완벽주의 성향을 예측해주는 동기적 속성과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해, 성취목표를 사용하여 완벽주의 성향(PT)과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NC)가 성취목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일관적으로 완벽주의 성향(PT)은 완벽주의의 긍정적 성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완벽주의의 동기적 속성으로서 ‘긍정적인 접근지향성 성취목표’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과 유의미한 설명력을 보였다.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NC)는 완벽주의의 부정적 성향과 긍정적 성향 모두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완벽주의의 동기적 속성으로서 ‘부정적인 회피지향성 성취목표’와 ‘긍정적인 접근지향성 성취목표’ 모두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과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PQ에서 기능적/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을 구분하는 방법의 타당성에 대한 논의와 제안이 언급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examine how Perfectionism Tendency (PT) and Negative Consequence (NC) that consist of Perfectionism Questionnaire (PQ) are related to the positive/negative, adaptive/mal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and the motivational attribute of perfectionism, in regard to dividing groups in functional/ dysfunctional Perfectionism. First, in order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dysfunctional Perfectionism in PQ and positive/negative and adaptive/mal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the correla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to explore how ‘self-oriented perfectionism’, as a ‘positive striving need factor’,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s a ‘maladaptive evaluation need factor’, are related to Perfectionism Tendency and Negative Consequence. For thi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Hewitt and Flett, 1991), which measured positive/ negative and adaptive/mal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was used.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effect of Perfectionism Tendency and Negative Consequence on the achievement goal, for the purpose of pro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dysfunctional perfectionism and the motivational attribute of perfectionism. As a result, Perfectionism Tendency (PT)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elf-oriented perfectionism’, which is a positive and 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And, P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power significantly with the positive approach orientation, which is a motivational attribute perfectionism. And, Negative Consequence (NC)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both th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s a negative and mal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and the ‘self-oriented perfectionism’, as a positive and 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In addition, NC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coefficient significantly with the negative avoidance-oriented achievement goal and positive approach-oriented achievement goal that are the motivational attribute of Perfectionism. From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on the method of dividing groups of functional/dysfunctional Perfectionism in Perfectionism Questionnai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