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권호 목록

한국문화와 현실역동상담의 상담자-내담자 관계
장성숙(가톨릭대학교) pp.147-160
초록보기
초록

태도변화를 일으키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상담자와 내담자 사이에 형성되는 관계체험이다. 신뢰로운 관계에 대한 체험은 어느 상담접근에서든 중요한 것으로 간주된다. 그런데 우리나라 사람들을 상담할 때, 상담자-내담자 관계는 그동안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많은 기능을 한다. 다차원적 문화 분류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서양과 많은 차이를 보이면서 가족주의, 권위주의, 인정주의와 같은 문화를 형성했다. 우리나라는 유교의 영향으로 아버지와 아들 즉, 부모와 자녀의 관계를 근간으로 하는 문화를 발전시켰는데, 이러한 맥락에서 상담자-내담자 관계도 서양에서의 그 관계보다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우리나라 사람을 상담할 때 상담자가 정서적 지지뿐만 아니라, 양육적 기능, 그리고 부모-자녀 관계의 복원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면 상담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고 본다. 특히, 상담자-내담자 관계에 기초해 부모-자녀간의 유대를 발견하도록 하는 것은 내담자에게 자존감과 자신감을 갖게 해주는 것으로 한국적 상담접근인 현실역동상담에서 상담자의 주요 역할로 간주된다.

Abstract

The experience of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 and cli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attitude change. It is considered as a major factor in any counseling approaches. However, it is more important in Korea than in Western counties. Following the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Korean culture is quite different from Western culture and develops its unique characteristic: familism, authoritarianism, humanism. Since there is comparison between the relationship of counselor-client and the relationship of parent-child in Korea, counselor might guide a client and facilitate the innate value of his parent as well as providing emotional support for counseling effect. Above all, facilitating the value of parent is quite important so that a client might to get self-esteem and self-confidence, and it is necessary for a Korean because the concept of filial piety between father-son(parent-child) is the basis of Korean culture.

상담자의 개입적절성 및 긍정적 태도가 내담자 저항에 작용하는 방식:소수사례에 대한 시계열분석방법의 적용
권희경(고려대학교) ; 장재홍(중앙대학교) pp.161-17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시계열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상담자 개입적절성과 상담자 긍정적 태도가 내담자 저항에 작용하는 방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시계열분석의 다중전이함수잡음모형을 구하고 교차상관을 산출하였다. 상담자 개입적절성과 긍정적 태도는 입력변인(선행변인)이었으며, 내담자 저항이 출력변인(후행변인)이었다. 연구대상은 두 개의 성공 및 실패사례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A사례의 경우 상담자의 긍정적 태도는 lag 1(r=-.313)과 lag 2(r=-.401)에서 저항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상담자의 개입적절성은 lag 6(r=-.314)에서 저항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B사례의 경우 상담자의 긍정적 태도는 lag 0(r=-.357), lag 1(r=-.311), lag 2(r=-.304), lag 3(r=-314)에서 저항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상담자 개입적절성은 lag 3(r=-401)에서 저항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상담자의 긍정적 태도는 상담자 개입적절성보다 내담자 저항을 더 빠른 시간간격에서, 더 지속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작용방식은 성공 및 실패사례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counselor's positive attitude and the appropriateness of counselor's intervention affect the client's resistance. Two cases of counseling process(case A and B)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appropriateness of counselor' intervention, the counselor's positive attitude and client's resistance were measured by 3 teams of raters. The counselor's positive attitude and the appropriateness of counselor's intervention were input variables and the client's resistance was output variable.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in case A, there was a lead-lag relationship in which counselor's positive attitude decreased client's resistances on lag 1 and lag 2. In addition, there was a lead-lag relationship in which the appropriateness of counselor's interventions decreased client's resistances on lag 6. (b) In case B, there was a lead-lag relationship in which counselor's positive attitude decreased client's resistances on lag 0, lag 1, lag 2 and lag 3. Also there was a lead-lag relationship in which the appropriateness of counselor's interventions decreased client's resistances on lag 3. It shows that counselor's positive attitude may decrease more rapidly and continuously client's resistance than the quality of counselor's intervention.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s of this study was discussed.

한국 상담전문가의 역할과 직무 분석
최윤미(강원대학교) pp.179-200
초록보기
초록

연구자는 한국 상담전문가의 직무 영역을 (1) 심리상담/심리치료, (2) 지역사회 상담교육 및 예방, (3) 심리측정과 평가, (4) 기업체 자문과 교육, (5) 상담자 교육 훈련과 자문이라는 5개 영역으로 기술하였다. 이를 근거로 상담 기관, 초․중․고등학교, 대학의 관련학과 및 대학 내 상담소, 개업 상담소, 기업 및 컨설팅 회사, 종교기관, 사회복지시설 등에서 활동하고 있는 상담자들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상담전문가들은 상담원/연구원(시간제 포함) 지위로 종사하는 비율이 높았고 학력 수준은 대졸(96.5%) 혹은 석사 이상(81.6%)이 대부분이었으나 월 평균 소득 수준은 51-100만원(16.6%)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다. 상담전문가들의 주 수행직무는 심리상담/심리치료였고 이 직무를 상담자 자신들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직 상담자들이 경험하는 직무 스트레스 중 가장 큰 것은 사회의 인식 부족과 낮은 보수였다. 효과적으로 상담자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보수 교육내용은 대다수가 개인상담실습을 들었다. 그리고 상담전문가의 직무 내용이 국민의 정신 건강을 다루는 전문 분야인 만큼 엄격한 자격 관리와 함께 국가공인화의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Abstract

This is to define the role of professional counselor in Korea. By the archival description of professional counselor, the counselor's role will be more clear and concrete. The five job area that professional counselor in Korea covers are: (1) counseling practice and psychotherapy, (2) community education and mental health prevention program, (3) psychological measurement, (4) education and counseling companies (5)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In the basics of these job description, the counselor's job is analyze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counselors working in youth counseling center, university counseling center, private counseling center, various religious counseling setting, elementary․high school counselors, counseling related workers in industry. The results are : the status of licensed counselors of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mostly work as full-time counselor/researcher: mostly university graduate(96.5%) or MA degrees(81.6%), the average income is $400-800, it is very low income comparing to average income in other job. The counselor's main job is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nd they think the job is very important and vision in the job is positive. The most burnout factors doing counselor's job are lacking job importance of society and monetary problem. Continuous educating area they need mostly is practice of individual necessity of accrediting the license of Division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of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by government.

또래집단상담이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의 자아개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최혜숙(울산대송고등학교) ; 이현림(영남대학교) pp.201-21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또래집단상담이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의 자아개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문제는 첫째, 또래집단상담이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둘째, 또래집단상담이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중학교 2․3학년 남녀 학생 중에서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 32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6명씩 배정한 후, 서울특별시교육연구원(1997)에서 개발한 ‘부적응 학생을 위한 특별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또래상담자가 실험집단에만 매주 1회씩 총 12회에 걸쳐 집단상담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자아개념검사와 학교적응검사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은 통계처리 프로그램인 SPSS를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그 유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개념 하위영역에 대한 사후검사 결과, 실험집단이 일반자아개념, 학문자아개념, 중요타인자아개념, 정의자아개념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자아개념 전체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또래집단상담이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의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교적응 하위영역에 대한 사후검사 결과, 실험집단이 교사관계, 교우관계, 수업태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학교적응 전체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또래집단상담이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의 학교적응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eer group counseling on the self-concept and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ho failed to adapt themselves to school lif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peer counseling on the self-concept of school-maladjusted students.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peer group counseling on the school adjustment of school-maladjusted students. Eight boy and girl students in their third year from a middle school in the city of Ulsan were selected as peer counselo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2 students in their second or third year in a middle school from the city of Ulsan, who failed to adapt themselves to school life and applied for peer group counseling.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ith 16 students each.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concept posttest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made a significant progress in general self-concept, academic self-concept, significant others self-concept, affective self-concept, and overall self-concept areas. Second, the school adjustment post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a significant change in relationship with teachers, social relations and learning set, and their overall school adjustment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초등학생의 대인관계와 교회생활태도 변화를 위한 의사소통훈련 효과 비교
박영준(서울대학교) ; 홍경자(전남대학교) pp.217-234
한국판 청소년용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I(K-SSRS:중고생용I)의 표준화:신뢰도와 타당도 그리고 유용성
문성원(우석대학교) pp.235-25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Gresham과 Elliot(1990)의 중고등학생용 사회적 기술 평정 척도(Social Skill Rating System; SSRS)를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학생용, 부모용, 교사용으로 이루어진 중고등학생용 SSRS중에서 학생용을 중고생용I로 번안하고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고등학생 402명에게 K-SSRS:중고생용I을 실시하였는데, 척도의 내적 합치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며, 요인 분석 결과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4 요인이 추출되었다. K-SSRS:중고생용I의 4 요인은, 공감, 주장성, 자기조절, 협동성으로 명명되었다. K-SSRS:중고생용I에 대한 부가적 타당도 자료를 얻기 위해서 K-SSRS:중고생용I과 더불어, 사회적 문제 해결 질문지, 고독감 척도, 간이 정신 진단 검사를 함께 실시하였다. K-SSRS:중고생용I에 의해 평가된 사회적 기술은 사회적 문제 해결 능력에 대해서는 정적 상관을 보였고, 고독감이나 심리적 증상 차원들에 대해서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문화에 따른 SSRS 하위 구인문화에 따른 개념적 차이와, K-SSRS:중고생용I의 하위 구인들이 예방적 개입 프로그램의 계획 및 적용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응용적 의미가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validity and the ut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Skill Rating System - Secondary Student Form(SSRS-S Secondary Level; Gresham & Elliot, 1991). The SSRS-S Secondary Level was translated into Korean(K-SSRS: S Secondary Level I) and administered to 402 students at the secondary level. And they also completed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Loneliness Scale, SCL-90-R. Factor analysis of the K-SSRS resulted in four interrelated factors, 1 implying 'empathy', 2 'assertion', 3 'self-control', 4 'cooperation'. K-SSRS: S Secondary Level I correlated positively with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negatively with loneliness, and psychological symptoms. The implications of the cultural difference in social skills and the differential relationships of social skills to adjustment indexes, and the planning of preventive intervention were discussed.

한국판 청소년용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I (K-SSRS: 중고생용 I)의 표준화: 신뢰도와 타당도 그리고 유용성
문성원(우석대학교) pp.235-25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Gresham과 Elliot(1990)의 중고등학생용 사회적 기술 평정 척도(Social Skill Rating System; SSRS)를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학생용, 부모용, 교사용으로 이루어진 중고등학생용 SSRS중에서 학생용을 중고생용1로 번안하고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고등학생 402명에게 K-SSRS:중고생용1을 실시하였는데, 척도의 내적 합치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며, 요인 분석 결과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4 요인이 추출되었다. K-SSRS:중고생용1의 4 요인은, 공감, 주장성, 자기조절, 협동성으로 명명되었다. K-SRSS:중고생용1에 대한 부가적 타당도 자료를 얻기 위해서 K-SSRS:중고생용1과 더불어, 사회적 문제 해결 질문지, 고독감 척도, 간이 정신 진단 검사를 함께 실시하였다. K-SRSS:중고생용1에 의해 평가된 사회적 기술은 사회적 문제 해결 능력에 대해서는 정적 상관을 보였고, 고독감이나 심리적 증상 차원들에 대해서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문화에 따른 SSRS 하위 구인문화에 따른 개념적 차이와, K-SSRS:중고생용1의 하위 구인들이 예방적 개입 프로그램의 계획 및 적용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응용적 의미가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validity and the ut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Skill Rating System-Secondary Student Form(SSRS-S Secondary Level; Gresham & Elliot, 1991). The SSRS-S Secondary Level was translated into Korean(K-SSRS: S Secondary Level I) and administered to 402 students at the secondary level. And they also completed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Loneliness Scale, SCL-90-R Factor analysis of the K-SSRS resulted in four interrelated factors, 1 implying 'empathy', 2 'assertion', 3 'self-control', 4 'cooperation'. K-SSRS: S Secondary Level I correlated positively with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negatively with loneliness, and psychological symptoms. The implications of the cultural difference in social skills and the differential relationships of social skills to adjustment indexes, and the planning of preventive intervention were discussed.

정서인식의 명확성,정서조절양식과 심리적 안녕의 관계
임전옥(원광대학교) ; 장성숙(가톨릭대학교) pp.259-27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심리적 안녕에 대한 정서조절양식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대학생 5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 접근법(EQS)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하였다.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정서조절양식의 매개를 통해서 심리적 안녕으로 연결되는 기본 매개모형을 검증한 결과, 유의미한 경로계수와 좋은 부합도를 보임으로써 적합한 모형으로 확인되었다. 기본 매개모형과의 비교를 위해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심리적 안녕 사이의 직접 경로를 포함한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직접 경로의 경로계수가 유의미하지 않고 모형의 부합도 역시 미세하게 감소하여 본 연구에서 가정한 매개모형이 변인들의 관계를 더 잘 설명함을 확인하였다. 기본 매개모형에 대한 대안모형이 함께 검증되었으나 낮은 부합도를 보임으로써 기본 매개모형의 적합성을 이론적으로 지지해주는 결과를 얻었다. 끝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상담에서의 함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emotion regulation style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ample of the study was 560 college students and I have analyzed the data through path analysi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EQS). The basic mediation model of emotinal clarity leading to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emotion regultion style showed significant path coefficient and good model fitness. To compare with this model, I have examined another model that included a direct path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a result, the path coefficient of the direct path was insignificant and the fitness of the model has also slightly decreased. Therefore, it was verified that the initial hypothetical model of this study better explained the relationship amongst the variables. alternative model has been examined but this model showed low model fitness and thus theoretically strengthen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basic mediation model. Finally, I have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ts limitations and potential implications in counseling.

부모와의 심리적 독립과 역기능적 진로사고의 관계
고향자(숙명여자대학교) ; 강혜원(서라벌대학) pp.277-293
부모로부터의 학대경험과 공격성 및 대인불안간의 관계: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신혜영(영산대학교) ; 최해림(서강대학교) pp.295-3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 5, 6학년 499명을 대상으로 부모로부터의 학대경험이 아동의 공격성, 대인불안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1) 학대경험이 높을수록 공격성 수준이 높았다. 또한 공격성에 대해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방임 모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며, 그 중 신체적 학대가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학대경험이 높을수록 대인불안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인불안에 대해서도 신체적 학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회귀분석을 살펴보면, 학대가 아동의 공격성과 대인불안에 모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공격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child abuse by parents, child's aggression and interpersonal anxiety for 499 5th and 6th graders (256 boys and 243 gir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o the relation between abused experience and aggression, all subscales of aggression are positively related with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and child neglect. And the group of more abused children has higher inclination to aggression than that of less abused. Accordingly physical abuse has main influence on aggression among the types of child abuse. Second, all the subtypes of interpersonal anxiety is positively related with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and child neglect. And the group of more abused children has higher inclination to interpersonal anxiety than that of less abused. Accordingly, physical abuse has main influence on interpersonal anxiety among the types of child abuse. Lastly, child abuse has a critical influence on both child's aggression & interpersonal anxiety and especially on their aggression.

남녀청소년들의 성지식,성태도,성행동의 현황 및 관게분석
김혜원(호서대학교) pp.309-32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남녀 청소년들의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관한 남녀간 차이를 알아보며,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의 남녀 고등학생 5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남학생은 여학생들에 비해 더 부정확한 성지식을 갖고 있고, 더욱 개방적이고 불평등적인 성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행동에서는 남학생들이 여학생에 비해 자위행위, 성관계, 매춘, 음란물접촉에서 더 많은 경험을 갖고 있고, 여학생들은 남학생들에 비해 임신의 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간의 관계에서는 남학생집단에서 성개방성과 성행동의 관련성이 두드러졌고,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바에서는 남학생의 경우 성평등성이, 여학생의 경우 연령, 성평등성, 성지식이 성행동에 대한 주요한 예언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의 의미와 이를 통해 제시될 수 있는 청소년의 성문제 상담에 대한 시사점들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tried to explore the current data on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s, sexual behavior of adolescents,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variabl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600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Results showed that male students had more opened and equal sexual-attitude, but lower level of sexual knowledge. Compared to female counterparts, male students also had more experiences of masturbation, intercourse, pornopraphy, but less experiences of the pregnancy of partner.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openness and sexual equality was significant and interactive among male group. In regression, sexual equality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male students' sexual behavior meanwhile age, sexual equality, and sexual knowledge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female students' sexual behavior.

남녀청소년들의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의 현황 및 관계분석
김혜원(호서대학교) pp.309-32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남녀 청소년들의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관한 남녀간 차이를 알아보며,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의 남녀 고등학생 5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남학생은 여학생들에 비해 더 부정확한 성지식을 갖고 있고, 더욱 개방적이고 불평등적인 성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행동에서는 남학생들이 여학생에 비해 자위행위, 성관계, 매춘, 음란물접촉에서 더 많은 경험을 갖고 있고, 여학생들은 남학생들에 비해 임신의 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간의 관계에서는 남학생집단에서 성개방성과 성행동의 관련성이 두드러졌고,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바에서는 남학생의 경우 성평등성이, 여학생의 경우 연령, 성평등성, 성지식이 성행동에 대한 주요한 예언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의 의미와 이를 통해 제시될 수 있는 청소년의 성문제 상담에 대한 시사점들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tried to explore the current data on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s, sexual behavior of adolescents,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variabl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600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Results showed that male students had more opened and equal sexual-attitude, but lower level of sexual knowledge. Compared to female counterparts, male students also had more experiences of masturbation, intercourse, pornography, but less experiences of the pregnancy of partner.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openness and sexual equality was significant and interactive among male group. In regression, sexual equality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male students' sexual behavior meanwhile age, sexual equality, and sexual knowledge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female students' sexual behavior.

해외 귀국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 특성에 관한 연구:질적 분석을 통한 귀국 중학생들의 경험 파악 중심으로
정재옥(덕성여자대학교) ; 주은선(덕성여자대학교) pp.329-3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해마다 급증하고 있는 해외 거주 후 귀국한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이들의 적응을 위한 효율적인 상담 및 생활지도를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부천시의 10개 중학교에서 서구권 국가에서 거주 1년 이상의 경험을 한 14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을 통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녹음된 면접을 축어록으로 풀어쓴 자료를 주요개념과 범주로 유목화하는 방법을 통해 공통적인 경험을 추출해내었다. 분석결과는 3개의 영역과 9개의 주제로 나왔다. 이는 다음과 같다. 영역 1. 친구: 주제 1. 적응에 도움을 주는 한 명 이상의 친구가 있었다; 주제 2. 친구와의 공감대를 위해서는 문화적인 이해에 대한 도움이 필요하다; 주제 3. 자신의 마음을 털어놓을 진솔한 친구를 원했다. 영역 2. 학업: 주제 4. 외국과의 학력 수준차이를 경험하고 있다; 주제 5. 시험 (중간고사, 기말고사)에 대한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고 있다; 주제 6. 흥미로운 수업을 경험하고 싶다. 영역 3. 교사: 주제 7. 다른 학생들과 동등하되 드러나지 않는 나름대로의 관심과 배려를 원한다; 주제 8. 친절하고 알기 쉽게 설명해주는 친밀하고 다정한 교사를 원한다; 주제 9. 체벌과 수직적인 지시관계의 권위적인 교사의 태도를 혐오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해외 거주 후 귀국한 청소년들의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mon adaptational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returned from the Western countries. Based on the findings, the researchers seek to provide appropriate guidance and counseling programs for the students who had similar experience. The three domains of friends, academic life and teachers among 14 students were identified through intensiv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Results suggest that the students (1) had at least more than one friends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in both countries, abroad and Korea; (2) expressed that they need help in understanding cultures in order to make friends; (3) wanted friends who are genuine and sincere; (4) experienced academic gap between what they have learned abroad and in Korea; (5) expressed that they are pressured by midterm and final examination; (6) wanted interesting and motivating academic activities (7) wished that teachers treat them equally as they would treat other students, yet show care and interest; (8) hoped that teachers are kind, warm and intimate; (9) were disgusted by teachers who are violent, authoritative and directive. Several suggestions are presented to support and help the growing number of returning students who had experience living abroad.

대학생의 생물학적 성과 성역할 정체감의 일치여부에 따른 진로태도성숙과 진로결정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이기학(연세대학교) pp.353-36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생물학적 성과 성역할정체감의 일치여부가 진로태도성숙과 진로결정장애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조사대상자는 서울시내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대학생 373명 (남학생: 128명, 여학생: 245명)이였다. 남녀차이를 보인 변인은 진로태도성숙수준에서는 준비성, 독립성 차원과 진로결정장애요인에서는 직업정보부족, 필요성인식부족에서 어느 정도의 경향성을 보였다. 성역할정체감의 차이를 보인 변인은 진로태도성숙수준에서는 진로태도총점, 결정성, 확신성, 준비성, 독립성 차원과 진로결정장애요인에서는 진로결정장애요인총점, 우유부단한 성격요인에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생물학적 성 특성과 성역할정체감의 일치여부에 따른 진로태도성숙수준과 진로결정장애요인의 차이를 살펴본 바에 의하면, 진로태도총점과 독립성 차원을 제외한 4개 하위요인­결정성, 목적성, 확신성, 준비성­에서 일치집단이 불일치집단보다 높은 성숙점수를 보였으며, 진로결정장애요인에서는 진로결정장애요인총점과 외적장애를 제외한 4개 하위요인­직업정보부족, 자기명확성부족, 우유부단한 성격, 필요성인식부족­에서 불일치집단이 일치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발달과 관련하여 성변인에 대한 효과를 알아본 기존의 연구결과들의 불일치를 보이는 원인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생물학적 성 특성과 성역할정체감의 일치여부를 고려해야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accordance of the biological gender characteristics and sex-role identity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barriers of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73 college students(male: 128, female: 245). The sex differences was shown in preparation, independence. And sex-role identity differences was shown in the total score of career attitude maturity, decisiveness, confidence, preparation, independence, the total score of career decision barriers, and indecisiveness. The differences shown in the degree of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barriers by the accordance of the biological gender characteristics and sex-role identity was that the accordant group had a significant higher score than the unaccordant group in the total of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the four subfactors­decisiveness, goal orientation, confidence, and preparation. And the unaccordant group had a significant higher score in the total score of career decision barriers, and the four subfactors­lack of career information, lack of self-clarity, indecisiveness, and lack of necessity recognition than the accordant group. The results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to consider the accordance of the biological gender and sex-role identity in explaining the causes of the inconsistency with the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 gender variables related with the career development.

심각한 폭력(살인) 가해 학생에 대한 사례 분석:폭력 유발 요인과 예방안
이규미(아주대학교) ; 이대식(경인교육대학교) ; 김영혜(아주대학교) pp.367-382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