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생물학적 성과 성역할정체감의 일치여부가 진로태도성숙과 진로결정장애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조사대상자는 서울시내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대학생 373명 (남학생: 128명, 여학생: 245명)이였다. 남녀차이를 보인 변인은 진로태도성숙수준에서는 준비성, 독립성 차원과 진로결정장애요인에서는 직업정보부족, 필요성인식부족에서 어느 정도의 경향성을 보였다. 성역할정체감의 차이를 보인 변인은 진로태도성숙수준에서는 진로태도총점, 결정성, 확신성, 준비성, 독립성 차원과 진로결정장애요인에서는 진로결정장애요인총점, 우유부단한 성격요인에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생물학적 성 특성과 성역할정체감의 일치여부에 따른 진로태도성숙수준과 진로결정장애요인의 차이를 살펴본 바에 의하면, 진로태도총점과 독립성 차원을 제외한 4개 하위요인결정성, 목적성, 확신성, 준비성에서 일치집단이 불일치집단보다 높은 성숙점수를 보였으며, 진로결정장애요인에서는 진로결정장애요인총점과 외적장애를 제외한 4개 하위요인직업정보부족, 자기명확성부족, 우유부단한 성격, 필요성인식부족에서 불일치집단이 일치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발달과 관련하여 성변인에 대한 효과를 알아본 기존의 연구결과들의 불일치를 보이는 원인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생물학적 성 특성과 성역할정체감의 일치여부를 고려해야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accordance of the biological gender characteristics and sex-role identity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barriers of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73 college students(male: 128, female: 245). The sex differences was shown in preparation, independence. And sex-role identity differences was shown in the total score of career attitude maturity, decisiveness, confidence, preparation, independence, the total score of career decision barriers, and indecisiveness. The differences shown in the degree of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barriers by the accordance of the biological gender characteristics and sex-role identity was that the accordant group had a significant higher score than the unaccordant group in the total of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the four subfactorsdecisiveness, goal orientation, confidence, and preparation. And the unaccordant group had a significant higher score in the total score of career decision barriers, and the four subfactorslack of career information, lack of self-clarity, indecisiveness, and lack of necessity recognition than the accordant group. The results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to consider the accordance of the biological gender and sex-role identity in explaining the causes of the inconsistency with the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 gender variables related with the career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