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불안장애 유아의 기질과 역기능적 정서조절의 관계에 대한 어미니 양육행동의 중재효과

Moderating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of preschoolers with anxiety disorders and their dysfunctional emotion regulation

초록

본 연구는 역기능적 정서조절이 유아기 정신병리의 주요증상이라는 임상적 관점에서 불안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기질과 역기능적 정서조절의 관계에 대한 어머니 양육행동의 중재효과를 남아와 여아별로 각각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종합병원 소아정신과 1곳과 아동발달임상센터 1곳에서 불안 장애로 진단된 4세 6개월-6세 유아 105명(남아 64명, 여아 41명)과 그들의 어머니 105명이었다. 유아의 기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오현숙과 민병배(인쇄중)가 번안한 Goth(2003)의 The Junior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JTCI) 유아용 기질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Mash와 Terdal (l981)의 Parent-Child Interaction Play Assessment (P-CIPA) 에 따라 관찰 평정하였다. 유아의 역기능적 정서조절은 유아에게 부정적 정서가 유발되는 MacArthur Story-Stem Battery(MSSB)를 제시한 뒤, 유아가 보이는 정서조절 반응을 관찰하여 Fonagy와 Target(2000)의 MSSB 정서조절 측정도구에 따라 평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t 검증, 부분상관계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불안장애 유아의 기질과 역기능적 정서조절의 관계는 어머니 양육행동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어머니 양육행동의 중재효과는 유아의 성에 따라 각기 다른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불안장애 남아의 경우 어머니의 민감ㆍ반응성 수준이 낮고 침해성 수준이 높은 경우에만, 남아의 위험회피 기질적 취약성이 역기능적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불안장애 여아의 경우 어머니의 침해성 수준이 낮은 경우에만, 여아의 사회적 민감성 기질적 성향이 역기능적 정서조절을 완화시키는 일종의 보호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불안장애 유아, 유아의 성,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아의 역기능적 정서조절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of preschoolers with anxiety disorder and their dysfunctional emotion regulation. Second, it explored sex differences in the moderating effects. The subjects were 105 preschoolers, with 64 boys and 41 girls(aged between four and half years old and six years old) who were diagnosed with anxiety disorder and their mothers. Preschoolers' temperament was assessed by mothers using JTCI(Goth, 2003). Mothers' parenting behaviors were observed during mother-preschooler interactions at a laboratory and analyzed using P-CIPA(Mash & Terdal, 1981). Preschoolers' dysfunctional emotion regulation was measured by Emotion Regulation Scale(Fonagy & Target, 2000).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artial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others' parenting behaviors(sensitivityㆍreactivity and intrusiveness)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boys' temperament(harm avoidance) and their dyfunctional emotion regulation. As mothers were less sensitiveㆍreactive and more intrusive, boys' harm avoidant temperamen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dysfunctional emotion regulation. Mothers' intrusive parenting behaviors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girls' temperament(reward dependence) and their dysfunctional emotion regulation. As mothers were less intrusive, girls' reward dependent temperamen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ir dysfunctional emotion regulation.

keywords
preschooler with anxiety disorder, preschoolers' temperament, mothers' parenting behaviors, preschoolers' dysfunctional emotion regulation
투고일Submission Date
2007-03-14
수정일Revised Date
2007-05-03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7-05-09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