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가정학대 피해 가출 청소년을 위한 정서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Emotional Regul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Familial Abused Runaway Youths

초록

본 연구는 가정학대 피해 가출 청소년들의 정서조절 측면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정서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 개발 과정은 김창대(2002)의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토대로 단계적으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도권 소재 쉼터에 거주하는 청소년 중 가정학대로 가출한 청소년 63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31명, 통제집단 32명으로 배정하여, 사전-사후 검사 설계로 진행하였다. 집단상담은 8회기로 구성되어, 각 회기별 90분씩 주 2회 총 4주간에 걸쳐 실시되었다. 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 여부와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해 공분산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정서조절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가정학대 피해 가출 청소년은 우울감, 상태분노, 특성분노, 자아존중감, 공격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제집단의 경우에는 의미 있는 영향이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정서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가정학대 피해 가출 청소년들의 정서조절에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 내용을 토대로 제언이 논의되었다.

keywords
가출, 가정학대, 정서조절, 집단상담, runaway, familial abuse, emotional regulation, group counseli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d develop the emotional regul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familial abused runaway youth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is study followed Kim Changdae’s (2002) systematic program development models. The researcher carried out the independent t-test and conducted the ancov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emotional regul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articipant group in the depression, aggression, self-esteem, state anger and trait anger but didn't show the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trol group. Suggestions based on this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keywords
가출, 가정학대, 정서조절, 집단상담, runaway, familial abuse, emotional regulation, group counseling

참고문헌

1.

강신덕 (1997). 비행청소년분노조절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고미영 (2004). 학대받은 아동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6(1), 71-102.

3.

김연옥, 박인아 (2000). 가정폭력의 유형별 관련성과 아동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5, 103-127.

4.

김은경(2008). 학대받은 아동의 정서와 인지적 편향이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은경, 도현심, 김민정, 박보경 (2007).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부모의 태도, 남녀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및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8(3), 115-131.

6.

김재엽, 송아용 (2007). 가정폭력노출경험과 청소년의 부모폭력에 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23, 99-125.

7.

김정규 (1998). 성피해 심리적 후유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7(1), 331-345.

8.

김정란(2003). 자녀의 가정폭력 노출과 행동문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8(3), 67-88.

9.

김창대 (2002). 청소년 집단상담의 운영.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10.

박인우 (1996). 효율적 집단 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체제적 모형. 지도상담, 20, 19-40. 대구: 계명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1.

박정순, 김춘경 (2000). 공격적 아동을 위한 사회적 관심 증진 놀이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놀이치료연구, 4(1), 83-101.

12.

변창진 (1994). 프로그램 개발: 홍익출판사.

13.

보건복지가족부,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07).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14.

서울 YMCA 청소년쉼터 (1997). 청소년의 가출과 가정과의 관계에 대한 조사연구.

15.

손경숙(2007). 공동생활가정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증진을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신혜섭(2000). 아내구타가정 아동의 행동문제에 관한 연구(아내구타 피해여성을 위한 쉼터거주 아동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연구, 16, 76-85.

17.

양혜원 (2002). 아내구타 노출 아동의 적응향상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개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우애령 (1994).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사회사업 프로그램 개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이경주, 신효식, 김효심 (1998).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일상적 스트레스와 부적응 관계 분석을 위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4), 29-39.

20.

이규미(1999). 청소년의 분노와 분노처리과정에서의 공격행동에 관한 체험분석.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21.

이숙영 (2003). 국내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현황 및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 관련요인. 상담학연구, 4(1), 68-83.

22.

이애령 (2003). 청소년비행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분석.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이종승, 한혜형 (2000). 불안과 공격성 감소에 대한 게슈탈트 집단상담의 효과. 교육학연구, 38(4), 87-100.

24.

이혜련, 최보가 (1999). 부모의 학대가 청소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1(1), 75-85.

25.

전귀연, 배문조(2001). 가출행동 빈도에 따른 청소년의 가족특성비교. 한국가족복지학, 6(1), 107-125.

26.

정혜경, 안옥희(2001). 청소년의 가출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아동간호학회지, 7(4), 483-493.

27.

조옥자, 현온강 (2005). 어머니의 정서적 학대와 방임 및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이 아동의 우울성 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6(3), 141-161.

28.

한국청소년쉼터 협의회 (2002). 전국 가출청소년 실태조사 및 상담사례 연구.

29.

한상철, 이수연(2003). 가출청소년의 우울 및 자살행동에 대한 상담학적 개입전략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1(1), 152-165.

30.

Bloger, K. E., & Patterson, C. J. (2001). Development pathways from child maltreatment to peer rejections. Child Development, 72(2), 549-565.

31.

Bridge, L. J., Denham, S. A., & Ganiban, J. M. (2004). Definitional issues in emotion reach. Child Development, 75, 340-345.

32.

Briere, J. (1992). Child abuse trauma; Theory and treatment of the lasting effects. Newbury Park, CA: Sage.

33.

Bry, A. (1976). How to get angry without feeling guilty. New York: Viking.

34.

Carla, K. D., Michael, A., Dean, G. K., Benjamin, E. S., & Heidi, S. R. (2005). Child maltreatment in depressed adolescents: Differences in symptomatology based on history of abuse. Child Maltreatment, 10(1), 37-48.

35.

Caspi, A., & Moffit, T. E. (1993). When do individual differences matters? A paradoxical theory of personality coherence. Psychological Inquiry, 4, 247-271.

36.

Dodge, K. A., Bates, J. E. & Pettit, G. S. (1990). Mechanism in the cycle of violence(how child abused affects later aggressive behavior). Science, 25(4), 1678-1684.

37.

Gill, R., & Pierce. O'Carroll (2004). Cognitive behavioral psychotherapy intervention in childhood sexual abuse: Identifying new directions from the literature. Child Abuse Review, 13, 51-64.

38.

Grus, C. L. (2003). Child abuse: correlations with hostile attributions. Journal of Development & Behavior Pediatrics. 24(4), 296-298.

39.

Hartman, C., Burgess, A., & McCormack, A. (1987). Pathways and cycles of runaways: A model for understanding repretitive runaway behavior. Hospital and community Psychiatry, 38(2), 292-299.

40.

Hemenway, D., Solnick, S., & Carter, J. (1994). Child-rearing violence. Child Abuse & Neglect, 18, 1011-1020.

41.

Homer, L. E. (1973). Community-based resource for runaway girls. Social Casework, 54, 473-479.

42.

King, L. A., & Emmons, R. A. (1991). Psychological, physical and interpersonal correlate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conflict, and control.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5, 131-150.

43.

Kriseten, W, S., Jennifer, S., Daphne, K., & Molly, C. (2007). Long-term physical and mental health consequences of childhood physical abuse: Results from a large population-based sample of men and women. Child Abuse & Neglect, 31(5), 517-530.

44.

Kurtz, P. D., Kurtz, G. L., & Jarvis, S. V. (1991). Problem of maltreated runaway youth. Adolescence, 26, 543-555.

45.

Larson, J. D. (1992). Anger and aggression management techniques through the think first curriculum. Journal of Offender Rehabilitation, 18(1), 101-117.

46.

Lazarus, R. S. (1991). Emotion and adapt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7.

Lew, B., & Bert, B. (2001). Abusive home environments as predictors of poor adjustment during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9(3), 195-217.

48.

Lindsey, W. E., Kurtz, P. D., Jarvis, S., Williams, R. N., & Nackerud, L. (2000). How runaway and homeless youth navigate troubled waters: Personal strengths and resources. Child and Adolescent Social Work Journal, 17(2), 115-141.

49.

MacMillan, H. L., Fleming, J. E., Streiner, D. L., Lin, E., Boyle, M. H., Duku, E. K., Jamieson, E., Walsh, C. A., Wong, M. Y., & Beardslee, W. R. (2001). Childhood abuse and lifetime psychopathology in a community sampl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8, 1878-1883.

50.

Martinez, R. J. (2006). Understanding runaway teens.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Nursing, 19(2), 77-88.

51.

May, M., Housley, W. (1996). The Effects of group counselling on the self-esteem of sexually abused female adolescents. Guidance & Counselling, 11(4), 38-50.

52.

Mayer, J. D., & Salovey, P. (1993). The intellig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Intelligence, 17, 433-442.

53.

Molnar, E. B., Shade, B. S., Kral, H. A., Booth, E. R., & Watters, K. J. (1998). Suicidal behavior and sexual / physical abuse among street youth. Child Abuse and Neglect, 22(3), 213-222.

54.

Pears. K. C., & Capaldi, D. M. (2001).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buse: a two-generational prospective study of an at-risk sample. Child Abuse & Neglect, 25(11), 1439-1461.

55.

Renner, L. M., & Slack, K. S. (2006).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child maltreatment: Understanding intra - and intergenerational connections. Child Abuse & Neglect, 30(6), 599-617.

56.

Rosenberg, M. (1985). Self-concep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In R. L. Leahy(ed), The development of the self. New York: Academic Press.

57.

Salovey, P., & Mayer, J. D. (1997). What i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Basic Books.

58.

Sarri, C. (1999).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compet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85-211.

59.

Scherer, K. R., Wallbott, H. G., & Schmmerfield, A, B. (1986). Experiencing emotion: A cross - cultural syudy.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60.

Simons, R. L., Whitbeck, L. B., Conger, R. D., & Wu, C.(1991).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harsh parenting. Developmental Psychology, 27, 159-171.

61.

Slesnick, N., Bartle-Haring, S., & Gangamma, R. (2006). Predictors of substance use and family therapy outcome among psychically and sexually abused runaway adolescents.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32(3), 261-281.

62.

Sullivan, M. P., & Knutson, F. J. (2000). The prevalence of disabilities and maltreatment among runaway children, Child Abuse and Neglect, 24(10), 1275-1288.

63.

Sussman, S. (2001). Handbook of program development for hearth behavior research & practice. Thousand Oaks, CA: Sage.

64.

Tyler, A. K., & Cauce, M. R. (2002). Perpetrators of early physical and sexual abuse among homeless and runaway adolescents, Child Abuse and Neglect, 26(12), 1261-1274.

65.

Welsh, L. A., Archambault, F. X., Janus, M. D. & Brown, S. W. (1995). Running for their lives. N. Y.: Garland Publishing.

66.

Wise, L. A., Zierier, S., Krieger, N., & Harlow, B. L. (2001). Adult onse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relation to early life violent victimization: A case-control study, Lancet, 358, 881-887.

67.

Yoder, K. A., Hoyt, D. R. & Whitebeck, L. B. (2003). Gang involvement and membership among homeless and runaway youth. Youth and Society, 34(4), 441-467.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