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88
본 연구는 자살의 대표적인 원인으로 밝혀진 스트레스를 중대한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일상적 생활사건 스트레스로 구분하고 각각이 자살사고에 이르는 과정에서 삶의 의미가 각기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알아보았다. 특히, 삶의 의미는 Mascaro와 Rosen(2006)의 제안에 따라 개인적 의미와 영적 의미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306명을 대상으로 생활경험조사 질문지,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인생관점지표-체계, 영적 의미 척도, 그리고 자살사고 질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중대한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개인적 의미와 영적 의미 모두 매개효과를 보였다. 한편, 개인적 의미와 영적 의미를 동시에 고려하였을 때는 영적 의미만 유의미하였다. 일상적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는 개인적 의미와 영적 의미 모두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는 중대한 생활사건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개인에게는 영적 의미를 높여줄 수 있는 치료적 개입이, 일상적 생활사건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개인에게는 삶의 의미를 고취시켜줄 수 있는 예방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meaning in life has a mediating effect or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e ideation and stress. 306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scales, and data wa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eaning in lif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negative life event stress and suicide ide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or daily hassles stress and suicide ideation,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 meaning and spiritual meaning were tested respectively, and both were significant.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rapeutic intervention to raise impaired meaning in life, especially spiritual meaning, may be suitable to individuals who face major negative life event stress, and preventive intervention to enhance meaning in life may be suitable to individuals experiencing minor daily hassles stress.
김정희 (1995). 스트레스 평가와 대처의 정서적 경험에 대한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7(1), 44-69
박명실 (2005). 대학생 자살위험 집단유형의 분류, 평가 및 집단 상담치료 적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미순 (2005). 청소년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민섭 (1992). 자살 기제에 대한 실증적 연구: 자기 도피 척도의 타당화.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심미성 (2006). 스트레스 완충자원으로서 삶의 의미의 역할.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원두리, 김교헌, 권선중 (2005). 한국판 삶의 의미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0(2), 211-225.
이영호 (1993). 귀인양식, 생활사건, 사건귀인 및 무망감과 우울의 관계: 공변량구조모형을 통한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현지, 김명희 (2007).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무망감, 우울, 자살사고의 관계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4(3), 243-264.
이현희 (2002). 스트레스, 통제감 및 대처방식이 결혼생활 적응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은선 (2007.)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비합리적 신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하정희, 안성희 (2008). 대학생들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스트레스, 대처방식, 완벽주의, 우울, 충동성의 구조적 관계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4), 1149-1171.
홍세희 (2006). 상호작용 효과의 검증 방법: 회귀분석과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용. 한국심리학회 2006년 동계 연수회 자료집, 1-24.
통계청 (2009). 2008년 사망 및 사망원인 통계결과. 서울: 통계청.
Battista, J., & Almond, R. (1973). The development of meaning in life. Psychiatry, 36, 409-427.
Debats, D. L., Drost, J., & Hansen, J. (1995). Experiences of meaning in life: A combin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86, 359-375.
DeLongis, A., Flokman, S., & Lazarus, R. S. (1988). The impact of daily stress on health and mood: Psychological and social resources as mediato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3), 486-495.
Dixon, W. A., Heppner, P. P., & Anderson, W. P. (1991). Problem-solving appraisal, stress, hopelessness, and suicide ideation in a college popul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8(1), 51-56
Dixon, W. A., Rumford, K. G., Heppner, P., & Lips, B. J. (1992). Use of different sources of stress to predict hopelessness and suicide ideation in a college popul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9(3), 342-349.
Frankl. V. E. (1992/1959). Man's search for meaning: An introduction to logotherapy. Boston. MA: Beacon Press.
Heisel, M. J., Flett, G. L. (2004). Purpose in life, satisfaction with life, and suicide ideation in a clinical sample.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26(2), 127-135.
Mascaro, N., Rosen, D. H., & Morey L. C. (2004). The development, construct validity, and clinical utility of the spiritual meaning sca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7, 845-860.
Mascaro N. & Rosen, D. H. (2006). The Role of existential meaning as a buffer against stress.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46(2), 168 -190.
Ping, R. A. (1996). Latent variable regression: A technique for estimating interaction and quadratic coefficient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31, 95-120.
Sarason, I. G., Johnson, J. H., & Siegel, J. M. (1978). Assessing the impact of life changes: Development of the life experiences surve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6(5), 932-946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 422-445.
Steger, M. F., Frazier, P., Oishi, S., & Kaler, M. (2006).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Assessing the presence of and search for meaning in lif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3(1), 80-93.
Steger, M. F. & Kashdan, T. B. (2007). Stability and specificity of meaning in life and life satisfaction over one year.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8, 161-179.
Wang, M. C, Lightsey, O. R., Pietruszka, T., Uruk, A. C., & Wells, A. G. (2007). Purpose in life and reasons for living as medi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and suicidal behavior.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2(3), 195-204.
Wilburn, V. R. & Smith, D. E. (2005). Stress,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in late. Adolescents, 40(157), 3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