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새터민 동료상담자의 상담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North Korean Defector Peer Counselor's Experience in Counseling

초록

본 연구에서는 새터민 동료상담자의 상담경험을 질적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새터민 동료상담자 경험이 있는 새터민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자 표집방법은 눈덩이 표집이다. 자료분석은 Lieblich, Tuval-Mashiach, & Zilber의 내러티브 분석법으로 진행되었다. 이는 새터민 동료상담자들의 한국에서의 상담경험에 초점을 두고 이들의 이야기 주제들을 범주화 하는데 유용하기 때문이다. 내러티브 분석 방법은 3명에 의한 삼각 검증법으로 진행되었으며 분석한 내용은 9명의 면담자들에게 보내어져 재확인과 승인을 받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심층면담을 통한 자료를 근거로 새터민 동료상담자의 상담경험을 분석한 결과 8개 범주, 23개 하위영역, 61개 개념이 도출되었다. 8개 각 범주는 동료상담자가 바라본 새터민 상담에 대한 인식, 동료상담자의 자세와 역할, 동료상담자로서의 자격요건, 새터민 동료상담 issue, 새터민이 선호하는 상담, 새터민 동료상담의 효과향상을 위한 선행조건, 동료상담자가 생각하는 남한상담자의 과제였다.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 후, 연구의의와 추후 연구를 제안하였다.

keywords
north Korean defectors, peer counseling, qualitative research, narrative analysis, north Korean defectors, peer counseling, qualitative research, narrative analysis, 새터민, 동료상담, 내러티브분석, 질적 연구

Abstract

In this paper, North Korean defector peer counselor's experience in counseling is studied.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the main method of research is the in-depth interview. The subjects of the interview are 9 North Korean defectors. For data analysis, narrative analysis, which is proposed by Lieblich, Tuval-Mashiach, & Zilber, has been used. There were 61 concepts, 23 subcategories and 8 categories extracted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ose 8 categories are as follows: peer counselor's view of North Korean defectors' awareness on counseling, peer counselor's attitude and role, peer counselor's requirement, peer counselor's resources, peer counseling issues for North Korean defectors, counseling style that North Korean defectors' preferring, condition precedents for improving the effect of North Korean defectors' counseling, peer counselor's view of South Korean counselors' tasks for North Korean defectors in counseling.

keywords
north Korean defectors, peer counseling, qualitative research, narrative analysis, north Korean defectors, peer counseling, qualitative research, narrative analysis, 새터민, 동료상담, 내러티브분석, 질적 연구

참고문헌

1.

강경미 (2006). 북한이탈주민 가정의 한국사회 부적응 문제와 기독교상담 전략. 복음과 상담, 7, 117-144.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2.

강숙정 (2009). 새터민의 심리적 적응을 위한 셀프파워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박사학위 논문, 홍익대학교.

3.

강진구 (1997). 동료 집단상담자 훈련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5(1), 183-208

4.

금명자, 장미경, 양미진, 이문희 (2004). 청소년 또래상담.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5.

김광은 (1992). 동료상담자 훈련에 관한 일 연구 - 사관생도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를 중심으로. 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6.

김선현, 송희정, 최순주 (2009). 미술치료가 내적 스트레스 감소와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 탈북아동을 중심으로. 조형교육, 33, 59-79. 한국조형교육학회.

7.

김정미 (2008). 아동중심 미술치료를 통한 새터민 아동의 자아개념과 학교생활 수행 향상 사례연구. 미술치료연구, 15(2), 275- 294. 한국미술치료학회.

8.

김성회, 김현아 (2005). 새터민의 상담에 대한 요구도와 도움요청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6(3), 693-712.

9.

김선화 (2007). 민간단체의 새터민 정신건강 지원 사업현황. 새터민 전문상담서비스 자원봉사단 Map망 구축을 위한 워크샵 자료집. 서울: 북한이탈주민후원회, 공릉종합복지회관.

10.

김태호, 임은미, 김인규, 은혁기, 김명식, 서혜석, 하혜숙, 김영혜, 김수아, 정성진 역 (2008). 다문화상담의 이론과 실제. 서울: 태영출판사.

11.

김현아 (2007). 양파 같은 북한이탈주민의 심리 - 새터민 상담자의 역할과 과제: 치료적 관계형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일반 심포지엄: 308-309.

12.

김현아, 정성란 (2008). 새터민의 가족상담 모형 개발. 상담학연구, 9(3), 1333-1356.

13.

노성덕, 김계현 (2007). 학교 또래상담의 정착 평가 기준에 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5(1), 29-38.

14.

신형미 (2006). 탈북청소년을 위한 집단 미술치료 체험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15.

양미진, 신효정, 송미경 (2008). 군 솔리언또래상담 훈련 프로그램 개발. 청소년상담연구, 1-126.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16.

양승민 (2008). 한국적 다문화상담의 모색을 위한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들의 스트레스 요인과 반응에 관한연구. 박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17.

유영권 (2005). 탈북자들의 적응 스트레스와 목회상담적 대처방안. 기독교상담학회지, 9, 177-220.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18.

유혜란 (2004). 탈북자들의 자아회복을 위한 목회상담적 접근: 자기 심리학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한신대학교.

19.

윤여상, 김현아, 한선영 (2008). 남북 문화 간 통합을 위한 새터민 조력자의 교육모형 탐색. 아시아교육연구, 9(3), 1-28.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

이기영, 박영희, 엄태완, 김현경, 김현아 (2009). 이주 난민의 정신건강과 상담. 서울: 나눔의 집. 150-168.

21.

이귀열 (2008). 군 동료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석사학위 논문, 아주대학교.

22.

이신숙 (2008). 집단미술치료가 새터민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평택대학교.

23.

이장호 (1986). 상담심리학 입문(2판). 서울: 박영사.

24.

이장호 (2008). 크로싱-탈북자 및 새터민에 대한 심리적 이해와 상담: 새터민 상담접근의 쟁점: 새터민 정착 상담의 접근 모형. 한국심리학회 일반 심포지엄: 308-309.

25.

이종아 (2004). 북한이탈주민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6.

이형득, 김정희 (1983). Peer Group Counseling의 효과에 관한 연구. 지도상담, 8, 계명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27.

임기현 (2003). 중증장애인의 동료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석사학위 논문, 가톨릭대학교.

28.

조영아 (2009). 북한이탈주민의 심리 상담에 대한 요구도와 전문적 도움 추구 행동.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285-310.

29.

조영아, 김연희, 유시은, (2009). 남한 내 7년 이상 거주한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 예측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329-348.

30.

조영아, 유시은 (2006). 새터민 정신건강 전문가의 역할과 개입전략. 통일정책연구. 통일부 통일연구원. 15(2), 53-77.

31.

조영아, 전우택 (2006). 북한출신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1), 167 -186.

32.

최명선, 최태산, 강지의 (2006). 탈북아동청소년의 심리적 특성과 상담전략 모색. 놀이치료연구, 12(9), 23-24.

33.

최성숙 (2003). 탈북청소년을 위한 미술치료. 석사학위 논문, 가톨릭대학교.

34.

한성열, 이종한, 금명자, 채정민, 이영희 (2007).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대인관계와 문화적응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한국심리학회: 사회문제, 13(2), 33-54.

35.

Akutsu, P, Snowden, L. R., & Organista, K. (1996). Referral patterns in ethnic-specific and mainstream programs for ethnic minorities and whit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3, 56-64.

36.

Baozhen, X. (2007).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seeking psychological counseling services: A qualitative explor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37.

Bemak, F., & Chung R. C-Y. (2002).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with refugee. In P. B. Pedersen, J. G. Draguns, W. J. Lonner, & J. E. Trimble (Eds.), Counseling across cultures, (5th ed., pp.209-232). Thousand Oaks, CA: Sage.

38.

Bratter, B. & Freeman, E. (1990). The maturing of peer counseling. Generations, 14(1), 49-52.

39.

Daiute, C., & Lightfoot, C. (2004). Narrative analysis: Studying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s in society. London: Sage Publications.

40.

de Vries, B., & Pettu B. J. (1992). Peer-counseling training: Analysis of personal growth for older adults. Educational Gerontology, 18, 381-393.

41.

Fagan, R. W. (1986). The use of volunteer sponsors in the rehabilitation of skid-row alcoholics. J Drug Issues, 16, 321-337

42.

Garcia, Y. E., Metha, A., Perfect, M. C., & McWhirter, J. J. (1997). A senior peer counseling program: evaluation of training and benefits to counselors. Educational gerontology 23(4), 329-344

43.

Giese-Davis, J., Bliss-Isberg, C., Carson, K., Star, P., Donaghy, J., Cordova, M. et al. (2006). The effect of peer counseling on quality of life following diagnosis of breast cancer: an observational study. Psycho-Oncology, 15, 1014-1022.

44.

Joanne, A. T. (2007). Help-seeking attitude and counseling expectations as predictors of Bermudians' help-seeking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lumbia University.

45.

Kate, F. A. J. (2002). We're all foreigners here: What adult mentors learn from youth in urban schoo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ew York University.

46.

Khamphakdy-Brown, S., Nilsson, J. E., Russell, E. B. & Klevens, C. L. (2006). The empowerment program: an application of an outteach program for refugee and immigrant women.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28(1), 38-47.

47.

Komiya, N., Good, G. E. & Sherrod, N, B. (2000). Emotional openness as predictor of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seeking psychological help.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7, 138-143.

48.

Lee, W. M., Blando, J. A., Mizelle, N. D., & Orozco, G. L. (2007).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counseling for helping professionals (2nd). NY: Routledge. 31-34.

49.

Lieblich, A., Tuval-Mashiach, R., & Zilber, T. (1998). Narrative research: Reading,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ousand Oaks Calif: SAGE Publications, Inc.

50.

Mowbray, C. D., Moxley, D. P., Thrasher, S., Bybec, D., McCrohan, N. & Harris, S. et al. (1996). Consumers as community support providers: Issues created by role intervention.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32(1), 47-67.

51.

Riessman, C. K. (2005). 내러티브분석{Narrative Analysis}. (김원옥 외 역). 서울: 군자출판사. (원저 1993 출판)

52.

Stone, M. L., & Waters, E. (1991). Accentuate the positive: A peer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older adults. Journal for Specialist in Group Work, 16, 159-166.

53.

Tran, T. V., Manalo, V. M. & Nguyen, T. (2007).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length of residence and depression in a community-based sample of Vietnamese Americans.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53(1), 85-94.

logo